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압박
강제력
조사
수사
고문
추적
압도
d라이브러리
"
압력
"(으)로 총 2,259건 검색되었습니다.
[매스미디어] 스튜디오 지브리 대박람회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중력의 합보다 크면 비행기는 하늘로 떠오릅니다. 베르누이는 공기의 속도가 빨라지면
압력
이 줄어든다는 걸 발견했습니다. 비행기의 아래쪽 공기보다 위쪽 공기가 충분히 빠르게 움직인다면, 즉 위쪽 바람이 빨리 분다면 비행기가 하늘을 나는 거죠. 그래서 대부분의 비행기는 위 그림처럼 날개를 ... ...
Part 1. 빙하의 수난시대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수백 미터에서 수 킬로미터의 두께로 계속 쌓이지요. 이 무게 때문에 눈의 아랫부분은
압력
을 받아요. 그 결과, 눈이 다져지고 굳어져서 단단한 얼음이 되지요. 이 거대한 얼음 덩어리가 바로 빙하예요. 대부분의 빙하는 남극과 북극 지역에 있어요. 남극은 대륙 전체가 빙하로 이루어져 있지요. ... ...
[다중이용시설] 피난 약자 위한 대피공간 설계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설비와 스프링클러를 설치했다. 급기 설비를 이용해 화장실에 공기를 주입하자 내부의
압력
이 외부에 비해 50파스칼(Pa) 높아지면서 연기 유입 속도가 더뎌졌다. 다음은 문 상부에 설치된 스프링클러를 작동시켰다. 수도 배관과 연결된 스프링클러에서 물이 나오면서 출입문에 수막을 형성했다. 10분 ... ...
[Issue] 그레이트배리어리프에 가다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속. 손전등을 끄고 손을 휘휘 저으면 바다에는 ‘은하수’가 떠오른다. 플랑크톤이
압력
을 받거나 파도의 움직임에 휩쓸리며 반딧불이처럼 스스로 빛을 내기 때문이다. 이런 플랑크톤이 바로 산호의 먹이다. 산호는 플랑크톤을 잡아 삼킨 뒤, 몸 속 플랑크톤이 광합성으로 만든 에너지를 양분 삼아 ... ...
[Origin] 지구온난화 주범 vs. 청정에너지 진흙화산의 두 얼굴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조각이 박혀있었다. ‘불타는 얼음’으로 불리는 가스하이드레이트는 높은
압력
과 낮은 온도에서 가스와 물이 결합돼 만들어진 고체 에너지로, 차세대 에너지원으로 각광받고 있다. 격자 구조 안의 빈 공간에 메탄이나 이산화탄소처럼 작은 기체 분자가 결합된 상태다. 상자가 표층을 뚫고 ... ...
[Career] 땀과 공기 통하는 숨 쉬는 전자피부
과학동아
l
2018년 02호
관절이 구부러지면 자연스럽게 휘어 신호 전달에도 문제가 없다. 전자피부에 온도와
압력
, 터치 센서를 붙이고 측정한 결과 신호가 잘 전달되는 것으로 확인됐다. 일반인 18명을 대상으로 전자피부를 붙인 뒤 피부 자극을 측정한 결과도 좋았다. 일주일간 연구팀이 개발한 전자피부와 기존의 ... ...
Part 2. 수학적으로 만드는 눈결정의 비밀
수학동아
l
2018년 02호
수증기의
압력
을 포화수증기압이라고 한다. 물이나 얼음의 포화수증기압보다 수증기의
압력
이 높으면 일부 수증기는 물이나 얼음이 된다. -16~-12℃ 온도 구간에서는 0℃ 이하에서 얼지 않고 물인 상태로 있는 ‘과냉각수적’도 풍부하다. 이 과냉각수적이 씨앗에 달라붙으면서 아름다운 가지가 달린 ... ...
[과학뉴스] 종이로 만든 고감도
압력
센서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따라 소문자와 대문자를 구분해 출력했다. 심 교수는 “재료 자체의 거친 표면을 활용해
압력
센서 연구의 새로운 패러다임을 제시했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스몰’ 2017년 11월 14일자에 실렸다. doi:10.1002/smll.20170036 ... ...
[Culture] 혼밥족을 부탁해, 3대 간편식 분석
과학동아
l
2018년 01호
뜯지 않고 조리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자동증기배출 포장’은 특정 온도와
압력
에서 내부의 증기를 포장지 밖으로 배출시킨다. 반대로 찜기처럼 오히려 용기 안에 증기가 발생하도록 해 식품을 쪄낸 것 같은 효과를 주는 기술도 있다. 식품의 특성에 따라 맞춤형 옷을 입게 된 것이다 ... ...
Part 4. 호모 사이보그, 새로운 감각을 얻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8년 01호
생각만으로 로봇팔을 움직일 수 있었어요. 이뿐만 아니라 로봇팔의 손끝에 있는
압력
센서에 뭔가 닿으면 뇌 촉각 영역에 전기 신호가 전달돼 촉각을 느낄 수도 있었답니다. 연구팀이 코플랜드의 눈을 가리고 로봇 손가락을 만지자 어떤 손가락인지도 맞힐 수 있을 정도였지요. 촉감의 정확도는 84%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