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싸움
투쟁
격투
분쟁
대결
전쟁
교전
d라이브러리
"
전투
"(으)로 총 7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인어공주가 살 것 같은 바다이야기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3년 전 진주만에서 당한 분노를 앙갚음한 것이다. 일본군 제 4함대는 60척이 넘는 군함과
전투
기를 잃었다.매캐한 화약 냄새와 피비린내 풍기는 광풍이 휩쓸고 지나간지 60년이 넘는 세월이 흐른 지금 축은 아름다운 세계 3대 다이빙 지역의 하나로 유명하다. 세계 어느 바다에서도 볼 수 없는 해저 ... ...
2. 디지털 솔저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생명유지 패치로 필요한 영양분을 공급하며 인간 병사를 ‘불사조’로 만들 ‘꿈의
전투
복’이 등장하는 것은 시간문제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1. 한반도 지키는 첨단 국방기술 2. 디지털 솔저 3. 달려라 달려, 무적 로봇 4. 총성 없는 ... ...
4. 총성 없는 우주전쟁
과학동아
l
2006년 10호
나중에는 하늘이 육지와 바다에 이어 제3의
전투
공간이 됐던 것처럼 우주도 점차 제4의
전투
공간이자 전쟁의 승패를 가름하는 주 전장으로 변해갈 것이다.그렇다면 가속되고 있는 우주전쟁의 제동장치는 없을까. 사실 우주무기에 대한 세계의 여론은 매우 부정적인 편이지만 국제법에 따르면 ... ...
바다에 이산화탄소 저장하기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완성을 목표로 한다 지휘통제를 실시간으로 내리고 명령에 따라 부대가 동시에 움직여
전투
의 효율을 높이는 것이 가장 큰 목표다 오브젝티브 포스 워리어는 세부 계획 중 하나로 총기 강화를 주된 목표로 하고 있다혜성이 태양에 접근하면 온도가 상승하면서 가스가 증발하고 먼지가 나오는데,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대포의 가장 큰 장점은 무게가 가벼워 소형 함선에 탑재할 수 있다는 것이었다. 특히 해상
전투
에서 몰려오는 적함에 대응하는데 진가를 발휘했을 것이다.권위에 굴하지 않은 창조성그런데 르네상스 미술의 거장 레오나르도가 전쟁무기 설계와 제작에서 천재적인 재능을 발휘했다는 사실은 어딘지 ... ...
태권V 몸 속엔 뭘 담나?
과학동아
l
2006년 09호
달리 다시 사용할 수 있는 무기는?3. 근접전에 사용할 무기는 어떤 형태가 좋을까?
전투
로봇에 사용하는 강력한 톱날은?4. 비행능력을 추가하자. 날개는 어떤 형태가 좋을까?5. 조종은 어디서 해야 할까? 직접 할까? 리모컨으로 할까 ... ...
문자를 음성으로 듣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위상배열 레이더, 음성인식시스템, 헬멧장착 시현장치, 적외선탐지조준장치 등 다른
전투
기에서 아직까지 흉내내지 못하는 최첨단장비가 설치돼 있다 특히 여기에 장착된 미카(MICA)는 장단거리를 모두 소화해내는 첨단 미사일이다 최대속도는 마하 20이고 1986년 첫 비행에 성공했다육지의 지뢰와 ... ...
태권V 지하기지냐, 수중기지냐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하다.기지를 설계하려면 먼저 건설부지가 중요하다. 적이 미사일을 쏘거나
전투
기를 충돌시켜 공격해도 안전하게 보호받을 수 있는 곳이어야 한다. 따라서 원작 애니메이션에 등장하는 돔형태의 지상기지보다 지하기지가 유리하다. 지하기지는 내구성도 좋다.지하에 구조물을 설치할 경우 대상 ... ...
러시아제 선내 우주복 입는다
과학동아
l
2006년 08호
3명 모두 질식해 사망한 것이다.그뒤 러시아의 비행·우주복 연구소 ‘NPP 츠베츠다’에서
전투
기 조종사용 비행 압력복을 개조해 우주복 ‘소콜K’를 개발했다. 소콜KV2는 소콜 우주복의 최신 개량형이다. 1980년에 처음 사용된 소콜KV2는 26년간 세계에서 가장 많은 우주인이 착용한 우주복이다.소콜 ... ...
내 몸에 꼭 맞는 재료 설계사
과학동아
l
2006년 07호
가져 덩어리로 만들 수 있었다. 김 교수는 미국공군연구소(Air Force Lab.)와 함께 차세대
전투
기의 외장재로 쓸 니켈기 비정질 합금을 공동 개발하고 있다. 세라믹의 한계를 넘어비정질 합금을 외장재로 사용하려면 제품의 모양에 맞게 만들어야 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재료가 단단하면서도 늘어나는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