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진"(으)로 총 11,349건 검색되었습니다.
- [5년 후, 과학은] 맞춤형 치료의 새로운 열쇠, 장내미생물과학동아 l2023년 07호
- 있습니다. AI와 머신러닝 기술이 발전하며 양질의 데이터 확보가 무엇보다 중요해진 때입니다. 한국인의 건강을 위한 장내미생물 정보 확보와 이를 활용한 기술 개발을 위해 계속해서 노력하겠습니다 ... ...
- [뉴스&인터뷰] 올해 엘니뇨? 전기요금 폭탄? 당신의 여름은 안녕하십니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국지성 호우’와 같은 극단적인 강수 현상은 인명피해와 재산피해 등으로 이어진다. 실례로 2022년 8월, 서울에 150년 만의 기록적인 폭우가 내렸고, 서울 동작구에는 이틀 동안 시간당 141.5mm의 폭우가 쏟아졌다. 이 비로 신림동 반지하주택이 침수되고 맨홀 뚜껑이 열려 추락 사고가 발생하는 등 1 ... ...
- [SF영화로운 덕후생활] 트랜스포머: 비스트의 서막 진화된 로봇 군단 현실에서 얼마나 구현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때문입니다. 발사체는 지구 중력을 뚫고 나아가는 데 엄청난 추력을 필요로 합니다. 버진 오빗은 비행기로 고도 15km가량까지 발사체를 싣고 올라가 필요한 추력을 최소화하려고 했습니다. 이런 방식은 발사장에 구애받지 않는 것도 큰 장점입니다. 어디든 비행기가 뜰 수만 있으면 그곳이 발사대가 ... ...
- [SF소설] 귀향과학동아 l2023년 07호
- ›“나, 이제 새 삶을 살 거야.”하필 그날, 지아는 운전대를 잡으며 그렇게 말했다. 난 조수석에 앉아있었는데, 또 지아가 말장난을 하는 거겠거니 싶어 대수롭지 않게 ... 지원을 받아 수행된 성과물로 우리나라의 과학기술 발전과 저소득·소외계층의 복지 증진에도 기여하고 있습니다 ... ...
- [꿀꺽! 수학 한 입] 직사각형 경기장이 품은 도형어린이수학동아 l2023년 06호
- 농구, 테니스 경기장 등이 대표적인 직사각형 경기장이지요. 하지만, 경기장 안에 그려진 도형의 모습은 경기 종목에 따라 다르답니다. 배구 경기장과 테니스 경기장은 직사각형으로만 이뤄져 있어요. 배구 경기장은 커다란 직사각형 경기장을 똑같은 크기의 직사각형 3개로 나눈 뒤, 가운데 ... ...
- [기획] 바이러스를 먹고, 알리고, 무찌르는 면역 정예 부대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롤프 마르틴 칭커나겔은 림프구성맥락수막염바이러스에 감염된 쥐에게서 만들어진 킬러 T 세포를 채취했습니다. 그리고 같은 바이러스에 감염된 다른 쥐에게 해당 킬러 T 세포를 주입했어요. 그런데 다른 쥐에게 주입한 킬러 T 세포는 바이러스를 인식하지 못했습니다. 도허티와 칭커나겔은 B ... ...
- [통합과학 교과서] 거울 나라의 우유는 마실 수 없다고?어린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이부프로펜은 효과가 있는 이부프로펜(S형)과 효과가 없는 이부프로펜(R형)이 반반 합쳐진 약이랍니다. 그런데 거울상 이성질체 중 한 분자는 약물 효과가 있지만, 다른 한 분자는 독성이 있어 위험한 경우도 있어요. 그래서 약을 만들 때는 거울상 이성질체를 분리해서 필요 없는 쪽을 없애거나, ... ...
- [Reth?king] 2000년 유클리드 기하학 체계에서 새로운 기하학은 어떻게 탄생했을까?수학동아 l2023년 06호
- 없는 체계에는 증명하지 못하는 명제가 있다는 거지요. 이는 수학이 계속해서 새롭게 진화할 수 있다는 걸 의미해요. 그렇게 보면 유클리드 기하학에서 비유클리드 기하학으로 넘어가는 과정은 인류 지성사의 발전을 볼 수 있었던 한 단면이 아닐까 하고 생각합니다. 인문학자 : 비유클리드 ... ...
- [전지적 독자 시점] “화성에서 마크 와트니처럼 살아보고 싶어”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앤디 위어의 소설이 원작인 리들리 스콧 감독의 영화 ‘마션’에서는 화성에 홀로 남겨진 ‘마크 와트니’의 감자로운(?) 생존기가 그려지는데요. “화성은 내 식물학적 능력을 두려워하게 될 거예요”라고 외치더니 이내 감자를 키워내는 데 성공한 마크 와트니! 그런데 가까운 미래에 화성에서 ... ...
- 습도 따라 모양 바뀌는 4D 프린팅 씨앗 로봇과학동아 l2023년 06호
- 실제 토양에서 주변 습기를 흡수해 모양을 바꿀 뿐만 아니라, 토양의 거친 정도와 갈라진 틈에 맞춰 형태와 자세를 조정했다. 로봇이 모양을 바꾸면서 이동할 수 있고, 토양 틈에 위치를 고정할 수도 있다는 뜻이다. 이번 연구의 1저자인 루카 세치니 이탈리아기술연구원 박사과정 연구원은 “씨앗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