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차이"(으)로 총 5,965건 검색되었습니다.
- [이슈1] 렛 잇고~♬ 겨울 스포츠의 왕국으로 초대합니다! 어린이수학동아 l2022년 02호
- 크게 바뀌어요. 짧은 거리에서는 그 변화가 눈에 띄지 않다가도, 먼 거리를 이동하면서 차이가 점점 커지지요. 컬링스톤을 밀 때 각도가 조금만 틀어져도 엉뚱한 곳으로 가게 돼요. 매끄러운 아이스링크를 쓰는 스케이팅 종목과 다르게, 컬링은 ‘페블’이라는 작은 얼음 알갱이가 있는 ... ...
- 과학 마녀 일리의 과학 용어어린이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생겼지만 새끼를 낳을 수 있지요. 하지만 아종끼리 오랫동안 떨어져 있다 보면 유전적 차이가 커져 나중에는 별개의 종이 될 수도 있답니다. 발굽(hoof)말, 사슴 등 몇몇 초식 포유동물의 발에는 발굽이 있어요. 발가락 끝에 있는 두껍고 딱딱하게 자란 부분을 ‘발굽’이라 부르는데, 이는 특이하게 ... ...
- [METAVERSE] 현실에선 부자인 내가 이세계에선 상거지?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또 다른 나’인 아바타로 소통해. 일반적인 소셜미디어(SNS)와는 큰 차이지. 사소해 보일 수도 있지만, 아바타는 비대면 의사소통에큰 영향을 미쳐.한 예로, 프로테우스 효과라는 게 있어. 심리학에서 쓰이던 용어지. 내 외모가 행동에 영향을 미친다는 이론이야. 프로테우스 효과를 메타버스에 ... ...
- [이달의 아이템] CES 혁신상, 모두 주목한 혁신 아이템과학동아 l2022년 02호
- 강아지를 스캔하면 인공지능(AI)이 코를 자동으로 인식하고 다른 강아지의 코 무늬와의 차이점을 구분해 등록한다. 혹시 강아지를 잃어버리더라도 등록된 데이터로 찾을 수 있다. 가족을 잃는 반려동물이 없는 세상이 머지 않았다 ... ...
- [과학뉴스] 자외선 반사하는 나비 날개, 진화 결정한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있는 자외선 반사 날개에서 찾았다. 두 종의 나비는 성염색체에 있는 특정 유전자에서 차이가 있었는데, 연구팀은 이 단일 유전자가 큰미국노랑나비 수컷에게만 있는 자외선 반사 날개를 만든다는 사실을 밝혔다. 수컷은 이 날개를 이용해 같은 종의 암컷을 유인해 짝짓기하고, 그 결과 다른 종과 ... ...
- 사라진 골목의 시계장인들과학동아 l2022년 02호
- 비단 국내에서만 일어나는 일이 아니라, 많은 선진국에서도 겪고 있는 현상”이라며 “차이점이라면 그들은 이미 없어진 산업을 다시 구축하고자 막대한 예산을 들여가며 노력하고 있지만, 우리는 아직 존재하는 산업이 사라지지 않도록 노력하는 단계라는 점”이라고 했다. 그는 “역설적이지만 ... ...
- 세계적인 수학자 故 김범식 교수님을 그리며…수학동아 l2022년 01호
- 별세 소식을 듣고 멍해졌다. 같은 고등학교와 대학교에 다녔지만 몇 년의 나이 차이와 나는 물리학, 그는 수학으로 전공이 달라 서로 알지 못하다가 미국 버클리 캘리포니아대학교(UC버클리)의 수학과 대학원에 함께 다니며 가까워졌다. 1989년 그가 UC버클리 수학과 대학원에 들어올 때 그를 포함해 ... ...
- 손으로 빚은 식재료 풍성한 식탁 만드세요과학동아 l2022년 01호
- 것입니다. 영양성분표에 따르면 저스트 에그는 실제 달걀과 비교해 단백질 함량은 큰 차이는 없는 반면 포화지방과 콜레스테롤은 없습니다. 또 식용으로 쓰이기 위해 비윤리적으로 사육되는 가축을 대체할 수도 있습니다.달걀로 만드는 다른 식자재에도 대체 식품기술이 이용되고 있습니다. ... ...
- [인터뷰] “훌륭한 연구원을 넘어 독보적인 리더로”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동료와 똑같은 무게의 장비를 들었어요. 시간이 차츰 지나며 힘과 같은 어쩔 수 없는 차이를 인정하는 법을 배웠고, 대신 내가 더 잘할 수 있는 일을 찾았죠.”무기에 대해 하나씩 배워 나가며 10년쯤 연구에 매진하니 연구소 경영을 총괄하는 참모 부서에서 함께하자는 제안이 왔다. “연구를 ... ...
- [엣지 사이언스] 윤리·데이터법 개정 물꼬 트나? 희귀질환 게놈 진단 시대과학동아 l2022년 01호
- 돌연변이는 400만 개였는데, 코레프를 활용하면 300만 개로 25% 감소한다. 100만여 개는 인종 차이에 따른 변이라고 추측할 수 있다. doi: 10.1038/ncomms13637게놈 코리아 프로젝트는 점점 분석 수를 늘려 2020년 5월에는 한국인 1094명의 게놈을 해독한 결과를 논문으로 발표했고, 지난해 4월에는 초기 목표였던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