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지하도
땅굴
굴
토굴
지하
tunnel
구멍
d라이브러리
"
터널
"(으)로 총 440건 검색되었습니다.
뉴멕시코사막에 핵폐기물 영구처분장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기술적인 과제들이 제기돼왔다. 폐수가 스며나온다든지, 예상보다 지층이 불안정해
터널
에 금이 간다든지, 최근에 제기된 우려로는 폐기물이 썩어 생긴 가스압 때문에 폭발할 위험이 있다든지 하는 등이다. 이에 대해서는 5년간의 시험 결과가 어느 쪽인가를 증명해줄 것이다.그러나 이러한 ... ...
피라미·지렁이·이끼가 사라지고 있다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촛불을 켜서 내려보낸다. 촛불 대신 작은 새를 내려 보내기도 한다.또 자연 동굴이나 인공
터널
같은 땅굴을 탐험할 때 십자매가 든 새장을 들고 들어간다. 새가 못견디게 몸부림치거나 기운없이 쓰러지면 산소의 부족을 직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방금 한 얘기는 모두 새라는 생물을 이용, 비록 ... ...
일본의 기술
과학동아
l
1991년 01호
현재, 이러한 자연격리는 어느 나라를 막론하고 불가능하게 됐으며 수년내로 도버해협의
터널
공사는 완공되어 운용가능하게 될 것이다.그런데 이제 여러 일본기업가들은 소위 "일본의 세계구조기금 연구재단"을 설립하여 그 나름대로의 기술적 꿈을 현실화시키고 있다.예를 들어, 중국으로부터 ... ...
플라스틱으로 만든 미니숲 조성돼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영국 옥스포드대학의 오스니연구소는 플라스틱을 활용, 미니숲을 조성했다. 여기에 바람
터널
, 즉 풍동(風洞)을 설치, 나무를 어떤 모양으로 심느냐에 따라 달라지는 나무의 피해정도를 조사했다.실제로 나무가 손상을 입기 시작하는 시기는 풍속이 시속 1백㎞에 달한 시점부터였다. 물론 이 수치는 ... ...
가속기 시대가 열린다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불리는 이 가속기는 길이만 27㎞로 프랑스와 스위스 접경지역의 지하를 둥글게 돌고 있는
터널
을 이루고 있다. 10억달러의 비용이 들었으며 공사기간만 만 7년이 걸렸다. 가속에너지는 20~55GeV. 공사비를 댄 나라는 14개국이다.전자와 그 반물질인 양전자를 충돌시키면 이들은 사라지면서 에너지를 ... ...
수출부진과 내수폭발의 희비쌍곡선
과학동아
l
1990년 12호
판단이 이미 나오고 있다. 따라서 PC업계로서는 수출에 관한한 끝이 안보이는 불황의
터널
에서 당분간을 허덕일 수 밖에 없을 것으로 보인다. 올 내수시장 60만대수출부진으로 적자폭이 눈덩이처럼 불어나던 PC업계에 숨통을 터준 것은 내수의 폭발적 성장세. 지난해 총 22만대의 PC가 팔렸던 ... ...
바퀴식 TGV·신칸센의 신화, 곧 무너진다
과학동아
l
1990년 11호
아니라 마음 먹고 기록을 낼 때나 작성되는 속도다. 실제로 프랑스의 TGV는 전 노선에
터널
이나 지하궤도를 전혀 설치하지 않고 있다.그러나 자기부상열차는 기울기에 거의 영향을 받지 않는다. 자기부상기술을 발전시키면 극단의 경우 수직 엘리베이터의 실현까지 가능한 것이다. 아무튼 ... ...
세계최대 초전도 가속기 건설에 한국 참여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유럽 14개국이 10억달러의 건설비를 7년동안 투입해 스위스 제네바에 건설했는데
터널
의 둘레는 16.6마일이다.LEP이전에는 미국 시카고 근교 '페르미연구소'에 있던 3억달러규모의 고에너지가속기가 가장 큰 가속기였다. LEP의 등장으로 당분간 유럽은 입자물리학에서 미국에 비해 우세한 위치에 서게 ... ...
원자 하나씩
과학동아
l
1990년 07호
가장 우수한 것은 IBM의 과학자인 거드 비닝과 하인리히 로러가 1985년 발명한 '검색용
터널
현미경'이다. 그들 역시 1986년에 노벨상을 수상했다.이 새로운 전자 현미경은 탐색면에 거의 닿을 정도의 위치로 가느다란 텅스텐 바늘을 부착한다. 작은 전류가 바늘을 거쳐 전자를 쏘면 전자는 표면을 뛰게 ... ...
고려청자와 비색(翡色)
과학동아
l
1990년 06호
도자기는 가마에서 구워 낸다. 그 가마에도 한국인의 특색이 보인다. 등요(登窯)라는
터널
식 가마가 그것이다. 등요는 우리나라 도공들이 오랫동안 써 온 훌륭한 가마다. 여기서 불을 조절하기에 따라서 가마 속의 불길은 산화염도 되고 환원염도 된다. 이 두 종류의 불의 성질이 마음대로 조절되면서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