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소동
혼잡
난잡
무질서
분규
당황
복잡
d라이브러리
"
혼란
"(으)로 총 966건 검색되었습니다.
전통 수학의 발자취를 찾아서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형성할 시기에 서구의 영향을 크게 받았기 때문이다. 전통과 현대 사이에 정체성의
혼란
을 느끼는 것과 다르지 않다. 한국 수학의 전통을 되돌아보고 현대적으로 계승하는 일은 수학의 균형적이고 체계적인 발전을 도모하기 위해서뿐만 아니라 우리의 문화적 정체성을 회복하는 데도 필요한 일이다 ... ...
미래 대 예측
어린이과학동아
l
2010년 01호
”그러자 여우가 말했어.“아니야. 오히려 사람이 사라지고 나서 생태계는 오랫동안 큰
혼란
을 겪었단다. 지금처럼 안정되기까지 20년이 넘는 시간이 걸렸어.”사람이 없다면?無 과연 생태계가 저절로 살아날까?사람이 사라진다고 금세 바다 생태계가 저절로 되살아나지는 않는다. 만약 한반도와 ... ...
두 남자의 호주 사막 조난기
과학동아
l
2010년 01호
불이 동물의 접근을 막아준다고는 하지만, 불을 보고 우리 위치를 파악하는 건 아닌지
혼란
스러웠다. 호주 대륙 유일의 맹수 딩고는 캥거루와 양을 잡아먹을 정도로 힘이 세다. 마지막 방어벽이라고 생각하고 불을 크게 피웠다. 한치 앞도 보이지 않는 어둠 속에서 이동은 더 위험했다.다행히 ... ...
Part 1. 암호의 세대교체!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많이 배출됐어.19세기 말 비즈네르 암호의 해독 방법이 알려지면서 암호전문가들은
혼란
에 빠져있었어. 게다가 이탈리아의 물리학자 굴리 엘모 마르코니가 무선통신 기술을 개발해 새로운 암호의 필요성은 더욱커졌지. 전선이 없어도 통신을 할 수 있었지만 적이 통신 내용을 듣는다면 정보가 ... ...
오른쪽? 왼쪽? 보행의 과학
어린이과학동아
l
2009년 11호
그런 예 중 하나다. 지금까지 사람들의 신기한 습성을 재미있게 보셨나요? 어린이들은
혼란
을 겪을 수도 있겠지만, 좀 더 편하고 안전한 생활을 위한 과정이니 관심을 갖고 지켜봐야겠습니다.마지막으로 의문 하나! 사람들은 왜 왼쪽, 오른쪽을 구분해서 이렇게 머리 아픈 일을 겪을까요?200만 년 ... ...
옮기고~ 뒤집고~ 돌리고~ 도형을 춤추게 하라!
수학동아
l
2009년 11호
하지만 ‘왼쪽 거울’, ‘어느 쪽에서’라는 표현 때문에 자칫 무슨 뜻인지 몰라
혼란
스러울 수 있다. ‘왼쪽’이라는 단어는 빼고 ‘어느 쪽’ 대신 ‘어느 선 위에다’라는 말로 바꿔 생각하자. 교과서를 자세히 읽다보면 ‘그림’, ‘무늬’, ‘도형’이 의미하는 것이 정확히 구별되지 않고 ... ...
제4회 청소년 표준올림피아드
과학동아
l
2009년 11호
하는데 건물마다 화장실을 나타내는 그림문자(픽토그램)가 다르다면? 당연히 무척
혼란
스러울 것이다. 기호나 단위 등을 모든 사람이 이해하기 쉽게 하나로 통일하자는 약속, 즉‘표준화’가 필요한 까닭이다.표준화란 미국 경영학자 프레드릭 테일러가 만든 과학적 관리법(테일러 시스템)의 원리로 ... ...
미국산 쇠고기 파동은 과학적 지식에 근거했을까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뜨겁게 달궜던 미국산 쇠고기 수입 반대 촛불 시위. 넘쳐나는 정보와 엇갈리는 주장에
혼란
스러워했던 대중들은 무엇보다도 ‘객관적’이며 ‘과학적’인 판단의 기준을 원했으리라. 그러나 그 판단의 기준으로 삼고자 하는 최소한의 과학지식마저도 여전히 미완이며 불확실한 논란거리일 뿐이고 ... ...
삼척동자와 도량형
과학동아
l
2009년 10호
고려시대까지는 시대에 따라 여러 종류의 도량형을 사용해 매우
혼란
스러웠다. 도량형의
혼란
은 조선 전기까지 지속되다가 세종대왕의 명에 따라 정확하고 통일된 도량형을 정했다. 도량형을 정하는 일은 나라의 기본질서를 바로잡는 데 매우 중요했는데, 세종대왕은 한글과 여러 가지 과학기구를 ... ...
Part 2. 세계 곳곳에서 쓰였던 χ의 다양한 이름들
수학동아
l
2009년 09호
표현하는 방법도 배우게 됐어. 하지만 각 나라에서 미지수를 서로 다르게 사용하다 보니
혼란
이 생길 수밖에 없었겠지. 적당한 방법으로 미지수를 통일하면 좋겠다는 생각이 들기 시작했어. 1637년 프랑스의 수학자인 데카르트도 그 중 한 명이었어.데카르트는 수학과 관련된 많은 글을 쓴 사람이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