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여과성병원체
virus
병원체
병원균
병균
세균
해독
뉴스
"
바이러스
"(으)로 총 10,144건 검색되었습니다.
일본 치사율 30% 감염병 유행…일본 여행 주의보
동아사이언스
l
2024.03.20
것을 감안하면 확산 속도가 빠르다. 감염 확산 속도가 증가한 이유는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격리 해제 시점과 연관이 있을 것으로 분석되고 있다. 일본 보건당국은 코로나19 팬데믹 기간 지켜온 위생 수칙 등 감염 예방 조치를 따르지 않으면서 급작스러운 확산세를 보이고 있다고 ... ...
신변종 호흡기
바이러스
수십초만에 선별 바이오센서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3.18
개발했다. 또 소재 특성 변화 없이 표면을 박막 코팅하는 패시베이션 층을 형성해
바이러스
수용체와 인터페이싱 화합물, 그래핀 소재 간 적층 구조의 안정성을 확보했다. 외부 환경에서도 성능 저하 없이 안정적인 신호전달이 가능한 센서다. 이 센서는 타액(침)에 별도의 전처리를 하지 않고도 ... ...
'외상후스트레스장애' 고통 치유 실마리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5
발견했다. 쥐를 대상으로 급성 스트레스가 발생하기 전 배측봉선핵에 아데노부속
바이러스
(AAV)를 주입해 GABA의 합성을 담당하는 유전자를 억제하자 공포의 일반화가 발생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는 점도 확인했다. 이번 연구는 필요 이상의 공포가 발생하는 메커니즘에 대한 중요한 통찰력을 ... ...
의료폐기물 소각장 안보내고 병원서 직접 처리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3
부담이 컸다. 연구진이 이번에 개발한 의료폐기물 멸균장치는 생물학적으로 유해한
바이러스
, 박테리아 등을 고온, 고압으로 99.9999% 멸균한다. 138℃에서 10분 또는 145℃에서 5분 이상 처리해 멸균한다. 기존 개발된 의료폐기물 멸균 장치에서 걸리는 시간 대비 약33% 시간을 단축시켰다. 병원에서 ... ...
눈길 끄는 비만치료제 위고비의 새 효능…HIV 환자 치료 부작용에 효과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증가 추세는 일반인과 유사하다. 하지만 HIV를 억제하는 데 사용되는 특정 항레트로
바이러스
약물이 환자의 체중 증가에 영향을 미친다. 이런 가운데 위고비나 당뇨병치료제 '오젬픽'으로 판매되는 세마글루타이드는 혈당 수치를 낮추고 식욕을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되는 '글루카곤 유사 ... ...
치료 까다로운 간암, AI가 최적의 치료법 찾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3.12
위다. 국내에서 암으로 사망한 사례 중 간암이 12.2%를 차지한다. 간암 환자는 대부분 간염
바이러스
에 의한 간질환이나 간경변증을 갖고 있다. 종양의 위치나 크기, 전이 여부뿐 아니라 남아있는 간 기능 등 고려할 요소가 많고 치료 방법이 다양해 치료 방향을 결정하기가 어렵다. 의료진은 이러한 ... ...
AI 설계 단백질이 생물학 무기?…과학자들 첫 '오용 방지 협약'
동아사이언스
l
2024.03.11
AI를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파악하는 데 시간과 비용을 대폭 줄임으로써 암세포나 독감
바이러스
등에 맞서 싸울 수 있는 인공 단백질을 쉽게 만들 수 있다. 구글 딥마인드는 2019년 단백질 구조 예측 AI인 ‘알파폴드’를 개발해 학계를 놀라게 했다. 이어 2021년 베이커 교수가 당시 ... ...
나노소용돌이 일으켜 코로나19 조기 진단 '일회용 칩'
동아사이언스
l
2024.03.06
곽노균 한양대 기계공학과 교수. 한국연구재단 제공 복잡한 과정 없이도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등 감염병을 조기에 진단할 수 있는 일회용 칩이 개발됐다. 한국연구재단은 이준석 한양대 화학과 교수, 신용 연세대 생명공학과 교수, 곽노균 한양대 기계공학과 ... ...
[의학사로 보는 세상] 수술후 합병증 해결 '무균처리법'의 발견
2024.03.03
교수 ※필자소개 예병일 연세대학교 의학과를 졸업하고 같은 대학 대학원에서 C형 간염
바이러스
를 연구하여 박사학위를 받았다. 미국 텍사스 대학교 사우스웨스턴 메디컬센터에서 전기생리학적 연구 방법을, 영국 옥스퍼드 대학교에서 의학의 역사를 공부했다. 연세대학교 원주의과대학에서 1 ... ...
mRNA 보호하는 '혼합 꼬리' 메커니즘 규명
동아사이언스
l
2024.02.28
전달하는 매개체다. 단백질의 ‘생산 설계도’와 같다고 보면 된다. 가령 신종 코로나
바이러스
감염증(코로나19) mRNA 백신은 약 4000개의 RNA 분자로 이루어져 있으며 코로나19 스파이크 단백질의 유전 정보와 RNA 변형을 활용해 스파이크 단백질 생산을 조절하도록 설계돼 있다. RNA 기능과 조절에 따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