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스펙트럼
원광
폐니
뉴스
"
분광
"(으)로 총 557건 검색되었습니다.
스트레스가 다재다능한 그래핀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9.11.07
그래핀을 형성할 때 구리 기판 표면의 결정구조에 따라 반응성을 분석한 결과. 라만
분광
법을 이용해 구리 001과 110, 111 등 결정구조에 따라 실험했다. 그 결과 구리 111 표면에서 가장 빠르고 균일하게 반응이 일어났다(맨 윗줄). UNIST 제공 탄소가 육각형 벌집 구조로 이어진 얇은 탄소막 '그래핀'에 ... ...
태양보다 3.3배 무거운 초소형 블랙홀 발견
동아사이언스
l
2019.11.01
천체와 쌍성계를 이뤄야 가능한 수치임을 확인했다. 연구팀은 틸링해스트 반사 격자
분광
기(TRES)와 별의 위치와 밝기를 정밀 관측하는 유럽우주국(ESA)의 가이아 위성을 활용해 이 별과 쌍성계를 이룬 천체가 태양 질량의 3.3배 질량의 블랙홀임을 확인했다. 톰슨 교수는 “블랙홀을 검색하는 새로운 ... ...
속속 완공되는 암흑물질·암흑에너지 관측장비..2020년 초 본격 가동
동아사이언스
l
2019.10.29
와 하버드대, 영국 런던대(UCL)는 미국 애리조나에 건설 중인 우주 관측시설 ‘암흑에너지
분광
학장비(DESI)’를 완공하고 시험 관측을 시작했다고 28일(현지시간) 밝혔다. DESI는 우주의 68%를 차지하고 있으며 공간을 밀어 팽창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미지의 존재인 ‘암흑에너지’를 ... ...
이화여대 연구팀 "세계최고 해상도 '고채도 구조색' 구현"
연합뉴스
l
2019.10.25
요구되는 '스냅샷 초
분광
이미징' 카메라 등에 활용될 수 있다고 설명했다. 스냅샷 초
분광
이미징은 한 번의 촬영으로 사물의 화학적 조성까지 분석할 수 있을 정도로 해상도가 높은 이미지를 얻는 기술이다. 이번 연구 성과는 이달 21일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즈'(Nature Communications)에 게재됐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2억 년 전 화석 계보 밝힌 고(古)단백질체학
2019.10.22
노벨화학상을 받지 않을까 하는 생각이 문득 든다. 예일대 브리그스 교수팀은 라만
분광
법으로 화석에 남이 있는 단백질 변형체의 데이터를 얻어 분석하면 화석의 실체를 규명하는데 도움일 될 수 있다는 사실을 발견했다. 원래 단백질의 아미노산 서열이 다르면(왼쪽) 변형체의 구조도 달라 ... ...
외계 행성에서 수증기 존재 가능성 발견
과학동아
l
2019.10.15
있는 암석 행성 또는 얼음 행성인 것으로 추정된다. 연구팀은 허블우주망원경으로 얻은
분광
데이터를 이용해 K2-18b의 대기 조성을 분석했다. 그 결과 K2-18b의 대기에 수증기가 존재하며, 행성 표면에 많은 양의 수소가 분포한다는 사실을 확인했다. 연구를 주도한 앙겔로스 트시아라스 UCL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먼 우주도 태양계와 비슷하다"는 편견 깬 외계행성
2019.10.10
교수는 페가수스자리 51번별에서 태양을 닮은 별을 공전하는 외계행성을 처음 찾았다.
분광
기 기술 개발과 함께 관측 데이터를 편견과 고정관념 없이 해석한 덕에 전에는 도저히 발견할 수 없을 것으로 생각하던 대상을 찾았다. 노벨위원회 제공 이후 외계행성 관측기술은 더 정확해지고 더 ... ...
오른손-왼손 대칭 같은 괴짜물질 광학이성질체 쉽고 빠르게 분석하는 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9
분석할 수 없었는데 이 방법은 상온에서도 가능하다”고 설명했다. 김 교수는 “NMR
분광
기를 활용한 광학활성 분석 관련 최고 수준의 기술”이라며 “신약개발에 필요한 광학활성 분석에 활용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장수민 박사과정생이 1저자로 참여한 연구결과는 지난달 27일 ... ...
김성수 의원 "달탐사 궤도 수정, NASA와 협의 안해"
동아사이언스
l
2019.10.03
국내에서 개발한 고해상도 카메라와 광시야 편광 카메라, 달 자기장 측정기, 감마선
분광
기, 우주 인터넷 시험 장비와 NASA가 개발하는 섀도 카메라 등 탑재체 총 6기가 실릴 계획이다. 과기정통부는 지난달 10일 세종에서 국가우주위원회 우주개발진흥실무위원회를 열고 '달 탐사 사업계획 변경안 ... ...
2차원 반도체 상용화 앞당길 측정기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19.10.02
흑연, 그래핀, SC-TMD 등 2차원 물질이 적층된 수직이종접합 구조를 제적하고 전자터널링
분광
법을 이용해 양자전기물성을 정확하게 측정했다. 고유 물성값은 물론 원자결함 상태의 기원과 영향력까지 규명하는 데 성공했다. 정수용 책임연구원은 “원자결함 제어의 가능성을 제시한 이번 기술은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