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파멸
분열
파괴
황폐
분해
파산
파손
뉴스
"
붕괴
"(으)로 총 789건 검색되었습니다.
[동일본대지진 10년] 로이터 "원전사고 후유증, 일본 탄소중립 정책도 흔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원자로 재가동이 필요하지만 국민들은 10년 전 발생한 후쿠시마 제1원자력발전소
붕괴
사고가 재현될까 두려워하고 있다. 일본 경제산업성은 지난해 12월 25일 2050년까지 연간 탄소 배출량을 0t으로 만들기 위한 ‘2050년 탄소중립 실현을 위한 녹색성장전략’을 발표했다. 재생에너지를 활용해 ... ...
[동일본대지진 10년] "일본 원전사고 뒤이은 과도한 공포, 냉정한 대응 어렵게 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말했다. 일본 방사능 전문가들은 후쿠시마 근처 지역의 방사능 수치가 자연적인 물리적
붕괴
와 꾸준한 제염 작업 등을 통해 꾸준히 감소하고 있다는 분석 결과를 공개했다. 미카미 사토시 일본원자력연구원 연구원은 ‘대규모 환경방사선 모니터링’을 주제로 발표에 나서 후쿠시마 지역 2200곳의 ... ...
동해에 규모 6.6지진 발생하면 지진해일 영향
동아사이언스
l
2021.03.12
지진은 해일이나 도로 및 가옥
붕괴
등의 큰 피해를 가져온다. 지진해일(쓰나미)이 덮쳐 큰 피해를 입은 2011년 3월의 일본 이와테 현 오후나토 시의 모습. 동아사이언스 DB 2011년 3월 11일 일어난 규모 9.0의 동일본 대지진은 지진해일(쓰나미)의 무서움을 실감케 한 재난이었다. 최대높이 약 40m의 ... ...
[동일본대지진 10년] 후쿠시마 사고 발생부터 영구 폐로 결정까지 19일의 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1.03.11
방사능이 누출됐다. 3월 16일 원전 3호기의 내부 압력이 급격히 떨어져 격납 용기
붕괴
가능성 제기됐다. 전기 공급이 계속 중단된 탓에 사용후핵연료 저장고의 온도도 상승했다. 국제원자력기구(IAEA)는 사용후핵연료 저장고를 25도 미만으로 유지하라고 권고하고 있지만, 당시 4호기의 ... ...
[동일본대지진 10년]“오염수 탱크 10개 방사성 핵종 우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된다고 강조했다. 뷰슬러 소장은 “삼중수소의 반감기는 12.35년으로 삼중수소의 97%가
붕괴
하려면 60년 이상 걸릴 것”이라며 “후쿠시마 원전 부지에 공간이 부족해 오염수 탱크를 추가로 건설할 수 없어 해양 방류를 결정하는 것이라면 원전 바로 옆 외곽 부지에 탱크를 짓는 것도 방법”이라고 ... ...
아레시보 전파망원경 피해 수습에만 570억원…재건 여부 불투명
동아사이언스
l
2021.03.09
고 말했다. 현재 푸에르토리코 아레시보 남쪽 아레시보 천문대에서는 전파망원경
붕괴
에 따른 피해를 수습하기 위해 현장의 잔해를 처리하고 환경을 복구하는 작업이 진행되고 있다. 아레시보 전파망원경은 1963년 아레시보 천문대와 함께 건설된 이후 57년 동안 외계 신호 포착, 노벨상 수상 ... ...
[동일본대지진 10년]방사능 피해 고향 떠난 10년, 스트레스가 육신을 갉아먹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3.05
1만5899명이 사망하고 2527명이 실종됐으며 50만여명이 집을 잃었다. 후쿠시마 원전
붕괴
와 폭발로 약 538.1페타베크렐의 방사능이 대기로 방출되기도 했다. 이 수치는 1986년 일어난 체르노빌 원전 사고에서 방출된 방사능의 약 10분의 1이다. 일본 정부는 후쿠시마 원전 반경 20km 이내 모든 주민들을 ... ...
3·1절 전국에 많은 눈·비…중부지방 100mm '많은 비' 강원 영동 50cm 큰 눈
동아사이언스
l
2021.02.28
천둥·번개와 돌풍이 동반되며, 눈이 비교적 무거운 특징이 있어 축사와 비닐하우스
붕괴
등 시설물 피해에 각별한 주의가 필요하다”고 강조했다. 기상청은 “수도권을 중심으로 2일 새벽부터 비가 눈으로 바뀌어 내리면서 녹거나 조금 쌓인 가운데 영하의 기온으로 노면에 얼어붙어 도로 ... ...
핵융합 1억도 유지 가로막는 플라스마
붕괴
조건 찾았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4
만드는 요인을 조절해야 한다”며 “난류를 제어해 자기섬에 의해 플라스마가
붕괴
하는 현상을 억제하는 데 이번 연구를 활용할 수 있을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국제학술지 ‘네이처 커뮤니케이션스’ 1월 14일자에 실렸다 ... ...
500번 충·방전해도 높은 에너지 밀도 유지하는 양극 소재 합성법 개발했다
동아사이언스
l
2021.02.23
소재는 리튬이 많아 에너지 밀도가 높지만 충·방전을 반복하면 리튬이 이탈해 구조적인
붕괴
가 일어나 양극 소재의 에너지 밀도가 대폭 줄어드는 단점이 있다. 연구팀은 앞선 연구에서 니켈, 망간 같은 전이금속과 리튬층이 완전히 분리돼있는 것보다 리튬층에 니켈 등이 일부 섞여 있으면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