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수렵
포획
헌팅
발포
발사
헌트
산행
뉴스
"
사냥
"(으)로 총 806건 검색되었습니다.
[이강운의 곤충記] 반짝임 뒤에 숨겨진 반딧불이의 힘
2018.08.22
늦반딧불이 알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포투리스(Photuris)속의 암컷 반딧불이는
사냥
감인 포티누스(Photinus)속(屬) 암컷의 짝짓기 신호를 흉내낸다. 먹이를 유인하고자 포식자가 먹이 흉내를 내는 공격 의태(Agressive Mimicry)로, 가짜 신호를 따라 온 포티누스(Photinus)속(屬) 수컷을 잡아먹음으로써 ... ...
[이강운의 곤충記]살려면 먹어야 한다… ‘물장군’의 동종포식
2018.08.08
아니라 자매동종포식(Sibling cannibalism)도 서슴치 않는다. 단지 속도가 빠른 물고기보다는
사냥
하기 수월하다는 이유로. 왕사마귀 말벌 포식 - 홀로세생태보존연구소 제공 일반적으로 암수 모두가 생식세포를 만드는 데 영양과 에너지, 시간을 투자한다. 그렇지만 투자량은 늘 암컷이 수컷보다 많아 ... ...
도마뱀을
사냥
하는 코브라 ‘포착’
팝뉴스
l
2018.07.29
팝뉴스 제공 대형 코브라 뱀이 또 다른 대형 도마뱀을 공격하는 영상이 촬영되어 화제다. 코브라는 도마뱀의 목덜미를 물고 늘어졌다. 도마뱀의 반응은 의외다. 강력히 저항하지 않았다. 도망치려고 발버둥치지도 않았다. 가만히 있거나 천천히 걷는 것이 전부였다. 코브라는 집요했다. 입을 최 ... ...
“식충식물과 함께 산책해 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23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충식물의
사냥
법) 하지만 벌레를 잡아 먹는
사냥
꾼의 역할만 하는게 아닙니다. 동남아시아에 사는 벌레잡이통풀은 다른 동물들과 공생도 하기 때문입니다. (☞식충식물의 공생법) 이런 놀라운 생태계를 가진 식충식물을 키울 때는 어떤 점을 주의해야 할까요? ... ...
이상한 애들은 다 모였다, 특이한 식충식물 BEST 3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23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식충식물의
사냥
법) 하지만 벌레를 잡아 먹는
사냥
꾼의 역할만 하는게 아닙니다. 동남아시아에 사는 벌레잡이통풀은 다른 동물들과 공생도 하기 때문입니다. (☞식충식물의 공생법) 아직 놀라기엔 이릅니다. 이제부터는 특이한 식충식물 BEST 3를 소개합니다! ... ...
[짬짜면 과학 교실] 생태계 어르신의 한 말씀: 생물과 환경
2018.07.21
돋아 내어요. 선인장과 비슷한 방어력을 가지려고 적응한 동물은 고슴도치예요. 또한
사냥
하거나 숨는 데 유리하기 위해 주변의 눈에 띄지 않으려는 동물도 많아요. 메뚜기, 카멜레온, 빙어, 북극곰이 그들이에요. GIB 제공 생태 피라미드의 ‘최종 소비자’는 어떤 생물일까요? 인류가 막강한 힘을 ... ...
달콤살벌한 식충식물...누군가에겐 편안한 휴식처?!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20
식물로 알려져 있습니다. (기사보기☞식충식물의
사냥
법) 하지만 벌레를 잡아 먹는
사냥
꾼의 역할만 하는 건 아닙니다. 동남아시아에 사는 벌레잡이통풀은 다른 동물들과 공생도 하기 때문입니다. ● 식충식물이 내집처럼 편안한 화장실?! 보르네오섬의 구눙물루 국립공원에는 ... ...
휴가철, 동반자처럼 함께하면 좋을 과학책 3선
동아사이언스
l
2018.07.19
대해 학문적으로 밝힌 최신 성과를 소개해 의미가 더 깊다. 1월 9일자 자료사진 중 - 인류학적 고고학 저널(Journal of Anthropological Archaeology) 제공 ● 나 스스로가 동반자가 되는, '나, 지금 이대로 괜찮은 사람' (2018.5) 반려동물이 ... ...
달콤살벌한 식충식물의
사냥
법
어린이과학동아
l
2018.07.19
전 세계에서 발견되고 있어요. 한반도에는 14종이 살고 있답니다. 식충식물의 대표적인
사냥
법을 알아볼까요? ● 끈끈이식 : 끈끈한 액체를 사용하는 방법. 향기에 이끌린 곤충이 식물 위에 앉으면 끈끈한 액체에 사로잡혀 도망칠 수 없다. 벌레를 잡은 식물은 소화액을 분비하여 곤충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코알라는 어떻게 유칼립투스 잎만 먹고 살까
2018.07.17
발견되면서 시련이 시작됐다. 먼저 보드라운 털 때문에 20세기 초까지도 무지막지한
사냥
이 이뤄졌다. 한창이던 1870년대에서 1920년대 후반까지 수백만 마리가 희생됐다. 생태계 변화도 큰 타격을 입혔다. 사람들이 거주지를 넓히며 유칼립투스 숲을 파괴한 결과 서식지가 줄어들고 단절돼 종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