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업종
뉴스
"
산업종류
"(으)로 총 435건 검색되었습니다.
[3D프린터 발암물질 논란] 폐기물 처리 규정 부재... 대안 노력도 필요하다
과학동아
l
2016.01.03
‘제조혁명’이라는 말을 들으며 세계적인 열풍을 일으키고 있는 3D 프린터 중 일부가 초미세먼지와 발암물질을 내뿜는다는 연구 결과가 나왔다. 최근 몇 년 사이 아무런 규제 없이 전세계 구석구석에서 사용되고 있어 주의가 필요하다. 그 중에는 학생들이 이용하는 교육용 3D 프린터도 있다. [긴 ... ...
그냥은 절대 안섞이는 물과 기름, 어떻게 섞으실래요?
2015.12.29
추민철 책임연구원이 초음파를 이용한 분산 실험을 진행하고 있다. - 한국표준과학연구원 제공 물과 기름은 서로 섞이지 않는다. 하지만 빨래나 청소 등을 할 경우 기름을 물에 녹여내야 때가 깨끗하게 지워진다. 이 때문에 ‘계면활성제’라는 화학물질을 사용해 왔지만 인체에 해로운 종류가 ... ...
테러 현장서 유독가스 성분 검사 한번에 끝낸다
2015.12.21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제공 공장 사고나 테러, 화생방 공격 같이 유해가스 유출 현장에서 쓸 수 있는 초소형 유해가스 진단 장비를 국내 연구진이 개발해 상용화에 나섰다. 김현식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기초연) 연구장비개발사업단장 팀은 여러 종류의 유해가스를 현장에서 손쉽게 측 ... ...
맞춤형 모바일 검색, 한발 앞서가는 네이버
동아일보
l
2015.11.18
[동아일보] ‘CONNECT 2015’개최 이용자 특성-취향 맞춰 정보 제공… ‘라이브 피드백’ 등 새 서비스 공개 스포츠와 주식에 관심이 많은 30대 남성 A 씨. 아침에 일어나 스마트폰을 보니 영국 런던에서 열린 유로파리그 조별리그에 참가한 토트넘 소속 손흥민의 활약상을 담은 동영상이 보인다. 미국 ... ...
[삼시세끼 만재도2] 참바다 유해진의 통발 도전! 된장과 돼지 비계를 좋아하는 문어의 정체
동아사이언스
l
2015.11.06
tvN 제공 ‘불금’은 일주일을 고단하게 보내는 사람들이 가장 좋아하는 단어일 겁니다. 그리고 또 하나, 요즘에는 집 근처에 해산물 집이 어디 있는지 되돌아 보게 만듭니다. 금요일 밤 9시 45분, TV 앞에 맥주를 들고 앉게 만드는 ‘삼시세끼 어촌편 2’때문이지요. 이번주 방송이 지나고 한바탕 고 ... ...
생물권의 암흑물질 박테리오파지를 주목하라
2015.11.02
박테리아가 있는 곳 어디서나 박테리오파지가 있다. - 펠릭스 데렐 필자가 예전부터 궁금한 게 하나 있다. 1960년대 미항공우주국(NASA)의 과학자들이 아폴로 11호의 달착륙선 이글(Eagle)을 설계할 때 박테리오파지(bacteriophage. 이하 파지)의 모습을 참고했을까 하는 점이다. 달 표면에 착륙한 달착륙선 ... ...
“1인 기업 시대에 산업계 부응해야”
2015.10.22
짐 뉴튼 테크샵 회장은 21일 가진 기자간담회에서 “앞으로는 아이디어의 발빠른 제품화가 중요한 만큼 1인 기업이 주목받을 것”이라고 내다봤다. - 대전=전승민 기자, enhanced@donga.com 제공 “앞으론 아이디어를 빠르게 상품으로 만들 수 있는 ‘1인 기업’ 시대가 옵니다. 대기업을 비롯해 모든 산 ... ...
접을 수 있는 고효율 태양전지 대량생산 가능해졌다
2015.09.20
연세대 제공 태양광 발전장치를 종이처럼 접거나 둘둘 말 수 있게 만드는 기술을 국내 연구진이 개발했다. 박철민 연세대 신소재공학과 교수팀은 차세대 반도체 물질인 ‘티엠디(TMD)’를 이용해 유연한 수광(受光)소자를 대량 생산할 수 있는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티엠디는 여러 층이 ... ...
투명 디스플레이 개발 이끌고 환경오염도 막고
2015.09.10
은나노 입자 측정기술을 개발한 김덕종 박사 - 한국기계연구원 제공 물 속에 존재하는 극미량의 은(銀)나노 입자 농도를 측정하는 기술이 개발됐다. 은나노 제품은 각종 화학약품 개발 등에 유용하지만 농도를 정확히 측정하기 어려워 산업화의 걸림돌이 돼 왔다. 김덕종 한국기계연구원 나노 ... ...
자일리톨 만드는 ‘슈퍼 미생물’ 개발
2015.07.02
이성국 울산과학기술대(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맨 왼쪽)와 연구진. - UNIST 제공 국내 연구진이 친환경 화학제품의 원료인 바이오매스를 효율적으로 생산하는 ‘슈퍼 미생물’을 개발했다. 이성국 울산과학기술대(UNIST) 에너지 및 화학공학부 교수팀은 여러 종류의 바이오매스를 동시에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