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청사진
도면
평면도
도표
투시도
배선도
플랜
뉴스
"
설계도
"(으)로 총 4,301건 검색되었습니다.
[과기원NOW] KAIST 개발 산소 발생기, '다이슨 어워드' 탑 20 선정 外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배상민 KAIST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의 의료용 산소 발생기 '옥시나이저(Oxynizer)'. KAIST 제공 ■ KAIST는 배상민 산업디자인학과 교수팀이 개발한 의료용 산소 발생기 '옥시나이저(Oxynizer)'가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 2024' 세계 상위 20에 선정됐다고 16일 밝혔다. 제임스 다이슨 어워드는 영국 가전업체 다 ... ...
초당 117GB 속도로 무선 데이터 전송 '세계 신기록'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스마트폰 등 모바일 기기에서 쓰는 데이터는 일반적으로 광섬유를 타고 대륙이나 데이터 센터 사이를 이동한 뒤 인터넷 공유기에서 무선으로 전달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영국 연구팀이 무선으로 초당 약 117GB(기가바이트)의 속도로 데이터를 전송하는 데 성공하며 세계 신기록을 세웠다. 통신 ... ...
[어린이 우주인의 기록]② 지질연의 달 자원 탐사 '눈높이 교육'
어린이과학동아
l
2024.10.16
모사토를 선물받은 어린이 우주 기자단. 어린이과학동아 제공 [편집자 주] 동아사이언스는 20주년을 맞아 제1회 어린이 우주인 선발대회를 열었습니다. 5월부터 8월까지 1654명의 초등학생이 어린이 우주 기자단으로 활동하며 각종 미션을 수행했습니다. 최종 어린이 우주인 선발을 ... ...
인간 뇌 닮은 '전자피부', 물방울 압력까지 감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뇌를 포함해 신경계를 구성하는 뉴런(신경세포)들은 아교세포와 협력해서 복잡하고 빠르게 신호를 전달한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국내 연구팀이 웨어러블·헬스케어 기기나 투명디스플레이 등 다양한 분야에서 활용될 수 있는 전자피부를 개발했다. 대구경북과학기술원(DGIST)은 이윤구 에너지공 ... ...
10배 빠르게 발효시키는 '장류 발효균'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다양한 발효식품이 발효되고 있는 장독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팀이 효소 활성화를 10배 가량 빠르게 만드는 미생물을 개발했다. 된장과 청국장 등 장류 식품의 발효 세균으로 알려진 고초균을 개량한 결과로 전통장류와 양조간장 등 전통 발효 식품의 제조 기간을 단축할 것으로 기대된다. ... ...
[IAC2024] ‘중력 없어도 따르는 샴페인’…비우주기업의 우주산업 진출 전략은
동아사이언스
l
2024.10.16
15일(현지시간) 이탈리아 밀라노 미코 컨벤션센터에서 열린 국제우주대회2024(IAC2024) '플레너리 세션'이 진행되고 있다. 밀라노=김민수 기자 한때 일부 우주인들만 우주공간을 경험할 수 있었다. 아폴로 프로젝트 이후 국제우주정거장(ISS)에 보내지는 우주인들에 국한됐다. 그러나 민간인 우주여행 현 ... ...
인간의 냄새 구분 속도, 눈 깜빡이는 속도보다 빨라
동아사이언스
l
2024.10.15
인간 후각은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더 빠르게 냄새의 변화를 감지할 수 있다는 연구결과가 나왔다.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후각은 보통 숨을 쉴 때 인지되며 1~3초 정도의 자극을 종합해 인식하는 '느린 감각'으로 생각됐다. 중국 연구팀이 후각은 눈을 깜빡이는 것보다 빠른 시간 안에 일어나는 냄새 ... ...
비만 퇴치법 찾았다…지방 흡수 막는 '나노입자 치료'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나노입자를 이용해 비만을 치료할 수 있는 기술이 개발됐다. Tatiana/게티이미지뱅크 제공. 소장에서 일어나는 지방 흡수를 타깃 삼아 비만을 치료하는 새로운 접근 방식이 공개됐다. 웬타오 샤오 중국 퉁지대 상하이이스트병원 담석병센터 연구원 연구팀은 소장의 지방 흡수를 타깃으로 한 나 ... ...
"전기차 화재, BMS 고도화해야…문제는 데이터 부족"
동아사이언스
l
2024.10.14
4일 대전 충남대에서 김종훈 교수가 배터리 BMS 실험이 진행 중인 연구 체임버에 대해 설명하고 있다. 대전=이병구 기자 2bottle9@donga.com "전기차 배터리 화재 원인은 첫째 배터리의 제조상 문제, 둘째 '배터리 매니지먼트 시스템(BMS)' 문제입니다. 문제가 있는 배터리를 충·방전할 때 생기는 이상 현상 ... ...
[과학자가 해설하는 노벨상] 단백질 구조 예측 넘어 '새 단백질' 설계까지
2024.10.13
데이비드 베이커 미국 워싱턴대 교수, 데미스 허사비스 구글마인드 최고경영자, 존 M. 점퍼 구글마인드 수석연구원. 위키미디어 제공 올해의 노벨 화학상은 컴퓨터를 이용해 단백질 구조를 연구한 세 명의 과학자에게 돌아갔다. 노벨 화학상의 절반은 컴퓨터를 활용한 단백질 설계 연구를 개척한 데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