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조금
소수
한모금
미량
소액
적은
근소
뉴스
"
소량
"(으)로 총 430건 검색되었습니다.
대마초의 과학
2015.10.12
수 있게 법을 바꿨다. 이러다보니 현재 대부분의 유럽국가들은 개인이 마리화나를
소량
갖고 있을 경우 처벌하지 않는다고 한다. 마리화나에 대한 각국의 입장. 현재 우루과이와 미국의 네 주와 워싱턴DC가 공식적으로 합법화했고 네덜란드, 방글라데시, 북한도 사실상 합법화한 곳이다(파란색). ... ...
금연 치료제, 여성에게 더 효과적
2015.10.07
효과를 지닌 전문의약품으로, 의사의 처방이 반드시 필요하다. 금연이 너무 힘들지 않게
소량
의 니코틴을 공급해 주는 니코틴 껌 같은 금연 보조제와는 구분된다. 기존 연구에 따르면 금연 보조제는 여성에게 큰 효과를 보이지 않는다. 연구팀은 흡연자 6710명에게 바레니클린을 복용하게 하면서 ... ...
커피 찌꺼기로 전기 만든다
2015.08.06
‘카본블랙’에 비해 성능이 88% 향상된 전력을 얻었다. 전력 생산에 사용된 후에도
소량
의 회분밖에 남지 않기 때문에 폐기물 양도 대폭 줄어든다. 가령 폐 커피분말 100g을 사용할 경우 회분은 1~2g 정도 나온다. 이 교수는 “폐 커피분말을 활용한 탄소연료전지 기술을 발전시키면 연간 3만5000여 ... ...
‘독한 놈들’ 인공 세포막으로 확인한다
2015.07.21
측정한 것이다. 청정용매로 불리는 이온성 액체를 이용해 생태영향평가를 진행한 결과
소량
의 농도에서는 생물에 유해하지 않지만 과하게 축적되면 세포막을 교란하며 생태계 등에 악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사실이 드러났다. 이온성액체의 음전하나 양전하가 세포에 있는 전하들과 반응해 ... ...
운동하며 물 ‘벌컥벌컥’ 건강에 악영향?
2015.07.13
많은 양의 수분을 섭취하면 저나트륨혈증의 위험이 있다는 사실을 밝혀냈다. 또한
소량
의 나트륨이 함유된 스포츠음료라 하더라도 물 만큼은 아니지만 많이 섭취할 경우 위험하다고 경고했다. 로즈너 교수는 “어느 정도의 갈증을 느끼더라도 즉시 근육이 손상되거나 운동 수행능력이 ... ...
[로봇에 대한 모든 것] ‘팍스 로보티카’를 위한 로봇 기술
2015.05.23
2016년 20만1700대에 이르러 세계 최대 보유국이 될 것으로 전망했다. 최근에는 다품종
소량
생산 추세에 맞춰 사람과 로봇이 복잡한 작업을 나눠 맡을 수 있는 작고 안전한 로봇이 대세로 자리 잡았다. 이 분야에선 독일 로봇 기업 ‘쿠카 로보틱스’에서 2006년 개발한 ‘LBR’가 가장 높은 평가를 ... ...
온도계 읽듯 간편한 심근경색 진단기 개발
2015.05.09
살아나더라도 뇌 손상 등 심각한 후유증을 남길 수 있어 신속한 대처가 필요하다. 현재
소량
의 ‘트로포닌I’까지 민감하게 검출하는 진단장치는 가격이 1000만 원이 넘는다. 검사 시간도 4시간가량 걸린다. 20분 만에 진단이 가능한 휴대용 진단장치도 있지만 심근경색 초기 단계는 정확하게 ... ...
줄기세포 치료제에서 암세포 만드는 ‘그놈’ 찾아냈다
2015.05.06
확인됐다. 연구진은 iPS 세포를 신경세포로 분화시킬 때 신경세포 외에 신경능선세포가
소량
포함돼 나타난다는 사실에 주목했다. 이 세포는 머리와 얼굴 뼈 등을 만드는 것으로 iPS 세포에서 분화된 신경세포를 치료제로 사용할 때 원치 않는 암세포를 생성할 수 있다. 연구진이 신경세포와 ... ...
단 1분 만에 충전, ‘꿈의 배터리’ 나온다
2015.04.07
ICC)는 지난달 8일부터 항공기에 리튬이온전지를 대량으로 선적하는 것을 금지하고,
소량
이라도 꼭 포장을 하도록 규정을 강화했다. 말레이시아 항공기의 실종 원인으로 리튬이온전지 화재 사고가 지목됐기 때문이다. 연구팀은 알루미늄을 이용해 초고속으로 충전되는 저렴한 배터리를 개발했다 ... ...
[2020 미래 바이오 전략] 줄기세포 치료제, 어떻게 개발되나
2015.03.20
간단하다. 셀그램-AMI의 경우 환자의 골수를 20mL가량 뽑아낸 뒤 여기서 중배엽줄기세포를
소량
추출해 두 차례 배양 과정을 거친다. 이 과정에서 줄기세포는 치료제로 사용할 만큼 충분한 양인 100만 배 정도로 불어나고, 환자의 관상동맥에 이 치료제를 투입하면 된다. 김 대표는 “체내에 들어온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