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착오
잘못
착류
균차
뉴스
"
오차
"(으)로 총 549건 검색되었습니다.
한국이 개발한 ‘방사능 오염 측정기’로 지구촌 지킨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8.04
수출된 장비들은 각국의 오염감시기 교정에 쓰인다. 새롭게 개발한 표준기는 측정
오차
율을 0.23%까지 낮췄다. 구형에 비해 정확도가 2배 이상 향상됐다. 연구진은 이 성과를 지난해 9월 ‘저준위방사능측정학회(ICRM-LLRMT)’에서 발표한 바 있다. 방사선은 핵폐기물이나 원전 사고 등을 통해서만 ... ...
파리협정에서 체결한 기후변화 목표치 지켜질 확률은?
동아사이언스
l
2017.08.01
: 측정하려는 것이 얼마나 안정적으로 일관성있게 측정됐는지를 뜻하며 검사도구가
오차
없이 측정한 정도다. 연구현장에서는 신뢰도 보통 90%, 95%, 98% 등이 쓰이며, 90%이상이면 결과값이 안정적으로 산출된 값으로 판단한다. 그 결과 세계 온도 상승폭은 신뢰도 90% 구간에서 최소 2°C에서 최대 4.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④] 돌고 도는 단위, 마지막으로 합류한 ‘켈빈’
동아사이언스
l
2017.07.24
측정하는 유전상수기체온도계 등을 이용한다. 각 온도계로 측정한 볼츠만 상수의 값
오차
가 3 ppm 보다 작을 때 비로소 정확한 볼츠만 상수라고 보고 정의에 사용할 수 있다. 볼츠만 상수 측정은 프랑스와 영국을 비롯해 4개 국가가 ‘볼츠만 프로젝트’라는 이름하에 15년 동안 진행하고 있었다. ... ...
건물 안에서 뚝뚝 끊기는 인터넷… 원인 찾아낸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21
개발한 ‘고정밀 왜곡신호 측정 장치’를 이용하면 왜곡신호가 생기는 위치를 10cm
오차
범위 안에서 찾을 수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한국전자통신연구원은 건물 안 통신 왜곡신호 발생 위치를 정확하게 찾는 ‘고정밀 왜곡신호(PIMD) 측정장치’ 기술을 개발했다고 20일 밝혔다. 건물에는 ... ...
치타가 빠른 이유는 적절한 체중 때문? 모든 동물에 통하는 속도 분석법
동아사이언스
l
2017.07.18
화석을 충분히 찾기 힘든 멸종 동물들의 속도 예측에 도움이 될 것”이라며 “앞으로
오차
를 줄인 더 정확환 결과값을 얻기 위해 체중과 근섬유량 그리고 신진대사 능력 등의 관계를 면밀히 분석하는 데 주력할 것”이라고 말했다 ... ...
[2018 국제단위계 재정의 ②] 재정의되는 건 몰질량(M) 아니죠~ 물질량(㏖)입니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6
①] kg, 4대 물리상수 ‘플랑크 상수’ 이용해 다시 정의한다). ㎏단위에서는 아주 작은
오차
지만 ㎍은 원자 단위에서는 어마어마하게 큰 차이가 나는 숫자다. 과학자들은 질량 문제를 해결하는 데서부터 문제의 실마리를 풀기로 했다. 질량을 정확하게 정의하기 위해 이미 이미 키블 저울을 이용해 ... ...
한국형 변신비행기, 배 위에서도 뜨고 내린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12
10회 연속으로 성공했다. 이는 대한항공과 공동으로 선박 위 착륙지점과 TR-60과의 위치를
오차
5㎝ 이하로 정밀하게 조절할 수 있는 ‘실시간 인공위성 위치확인시스템(RTK-GPS)’을 개발했기 때문에 가능했다. 구삼옥 항우연 연구원은 “2012년 개발했던 1t급 틸트로터 무인항공기를 소형으로 만들어 ... ...
1 kg의 새로운 정의, 수학과 물리학이 만든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7.07
정욱철 온도센터장은 “표준 단위 정의에 필요한 상수는 서로 다른 실험 방법을 써도
오차
가 없어야 한다”며 “우리나라가 2018년 모든 단위의 재정의가 마무리될 수 있도록 기여한 셈”이라고 말했다. 이들을 정의할 상수는 질량과 마찬가지로 이번 달까지 세계 과학자들이 실험한 자료를 ... ...
애니메이션 만드는 ‘모션캡처’로 뼈, 근육건강 진단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6.30
있습니다. 적외선을 반사하는 마커를 이용해 마커의 움직임을 직접 추적하기 때문에
오차
가 1㎜로 매우 정확합니다. 게다가 촬영을 하면서 마커의 좌표값을 실시간 추적하기 때문에 결과도 빠르게 나옵니다. 옷을 갈아입는 동안 결과가 나왔을 정도니까요. 단순히 영상만 나오는 것은 아닙니다.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일란성쌍둥이는 얼굴도 똑같이 생겼을까?
2017.04.25
너무 적거나 실제 얼굴이 아닌 사진(2차원)을 갖고 측정을 하거나 사람이 일일이 재면서
오차
가 생길 소지가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실제 연구마다 결과가 들쑥날쑥했다. 곡률을 분석해 산출한 유전도를 보여주는 얼굴의 3D 이미지다. 파란색이 유전도가 낮고 빨간색이 높다. 코끝과 입술 위쪽과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