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칙
법칙
규칙
초보
이론
학설
기준
뉴스
"
원리
"(으)로 총 3,311건 검색되었습니다.
"두꺼비가 내뿜는 독, 우울감 줄여"
동아사이언스
l
2024.05.09
일부 사람들의 우울증을 치료할 수 있다는 연구가 그동안 이뤄졌지만 어떤
원리
로 가능한지는 명확하게 밝혀지지 않았다. 연구팀은 세로토닌 수용체 중 하나인 5-HT1A와 두꺼비에서 추출한 화합물이 만났을 때 어떤 반응이 일어나는지 살펴봤다. '행복호르몬'이라 불리는 신경전달물질인 ... ...
"장내 미생물 분비 물질이 장 건강 유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8
연구팀과 함께 장내 미생물에서 유래한 신규 단백질이 장 항상성을 유지하게 하는
원리
를 밝혀내는 데 성공했다고 밝혔다. 항상성은 생물이 최적 조건에서 벗어나는 변화를 최소화하고 안정된 상태를 유지하려는 경향을 가리킨다. 연구팀은 장내 미생물 중 하나인 '아커만시아 뮤시니필라' ... ...
쓰지 않은 약 나올까…서서히 베일 벗는 '맛의 비밀'
동아사이언스
l
2024.05.06
쓴 맛을 제외한 다른 '5미'의 맛 감지 수용체는 아직 구조조차 규명되지 않았다. 맛 감지
원리
의 비밀을 풀기 위해선 더 많은 후속 연구가 필요하다. 쓴 맛 메커니즘 규명 연구를 이끈 김유중 연구원은 "맛 수용체의 구조와 기능 연구는 인간의 질병을 효과적으로 치료할 수 있는 약물 개발에 ... ...
[주말N수학] 코 모양 차이는 정말 기후 영향일까
수학동아
l
2024.05.05
더 발전한다면 유전자를 진짜 정확하게 예측할 수 있을지도 모른다. 유전학의 기본
원리
를 만든 건 수학자. 수학동아,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관련기사 수학동아 5월, 당신의 콧구멍이 그 모양인 ... ...
고혈압 원인 '소금 과다섭취' 조절할 수 있을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5.02
섭취하고 싶게 만든다는 설명이다. 연구팀은 소금 결핍에 의해 활성화되는 장내 감지
원리
가 곤충뿐 아니라 포유류와 같은 척추동물에서도 똑같이 발생할 것으로 보았다. 나트륨은 생물이 살아가는 데 필요한 미량영양소로 모든 생물이 소금 섭취를 필요로 하기 때문이다. 나트륨은 수분 균형과 ... ...
홍합이 바위에 순간접착되는
원리
로 10초 만에 나노입자 조립
동아사이언스
l
2024.04.30
산업적인 대량 생산과 상용화에 한계가 있었다. 연구팀은 홍합이 수산기를 제거하는
원리
를 모방해 나노입자가 대상 표면에 조립되는 속도를 향상했다. 홍합에서 영감을 받은 나노입자 조립 기술을 설명한 그림(왼쪽)과 연구팀이 10초 만에 조립한 나노 입자 코팅. GIST 제공 연구팀은 나노입자 ... ...
플라스틱 영구 재활용 산업 뜬다...가스, 액화연료 만들어
동아사이언스
l
2024.04.29
더 많은 종류의 플라스틱이 사용된다. 고분자가 형성되는 ‘중합과정’을 역행하는
원리
를 이용한 ‘해중합’도 주목받고 있다. 폐플라스틱과 촉매, 유기용매를 반응기에 넣고 플라스틱 분자를 화학적으로 분해해 플라스틱 원재료로 만들 수 있다. 원재료로 만든 플라스틱은 기존 플라스틱 제품과 ... ...
액체 기반 뉴로모픽 컴퓨팅 소자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4.04.26
박 교수는 " 유체 기반의 뉴로모픽 컴퓨팅 기술은 뇌 신경세포의 환경 및 작동
원리
를 가장 가깝게 모사할 수 있는 시스템이다"라며 ”뇌-컴퓨터 인터페이스(BCI) 및 생체 삽입형 바이오 센서 분야에도 활용이 가능하다“라고 말했다. ... ...
원숭이 실험으로 식욕 조절
원리
증명…새 비만 유전자 치료제 나올까
동아사이언스
l
2024.04.25
뜻이다. 이번 연구는 서울대 연구팀이 지난해 실험용 쥐를 이용해 밝힌 식욕 조절
원리
를 사람과 가까운 영장류 실험으로 재증명한 결과다. 최 교수는 “비만 환자의 뇌에서 식욕 조절 유전자를 조절해 비만을 치료하는 시대가 올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 논문 제 1저자인 하재선 서울대 의대 ... ...
한번 삽입으로 1년 이상 작동 '뇌-기계 인터페이스' 개발
동아사이언스
l
2024.04.24
KAIST와 한양대 공동 연구팀이 1년 이상 사용할 수 있는 다기능성 신경 인터페이스를 개발했다. 뇌 관련 전자 디바이스를 나타낸 이미지. 게티이미지뱅크 국내 연구진이 1년 이상 ... 지난달 29일 게재됐다. 장기간 사용 가능한 섬유형 신경 인터페이스의 작동
원리
를 나타낸 모식도. KAIST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