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interface
환경
접속
연결
인터패이스
뉴스
"
인터페이스
"(으)로 총 413건 검색되었습니다.
"디지털혁명은 최고 과학기술혁명 될 것"
2015.10.20
스코어보드’를 발표하고 “한국은 사물인터넷의 기반이 되는 ‘데이터 전송 휴먼
인터페이스
’ 등 20개 미래 핵심 기술 중 11개 분야에서 선도 주자”라고 평가했다. 앙헬 구리아 OECD 사무총장은 “국내총생산(GDP) 대비 연구개발비 투자 비율은 세계 평균이 2.4%인데, 한국은 4.1%로 세계 최고 ... ...
IOS9 업데이트, 언제·가능기종·어떤 기능? ‘관심UP↑’
동아일보
l
2015.09.17
업데이트를 통해 향상된 베터리 성능을 체감할 수 있다고 한다. 또한 앱 전환 시 새로운
인터페이스
를 도입하고 디자인이 개선된 노트 앱, 새로운 뉴스 앱도 포함됐다. 한편, 이번에 정식 배포되는 iOS9는 태평양표준시간(PST) 기준 10시부터 모든 사용자들을 대상으로 업데이트가 진행된다. ios9 ... ...
우리 몸은 이족보행에 최적화된 구조인가?
2015.07.20
상용화되지는 못했다. 무엇보다도 착용한 사람의 의도에 따라 바로 움직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
기술을 개발하는 게 어렵기 때문이다. 만에 하나 착오가 생겨 외골격 로봇이 멋대로 움직인다면 끔찍한 재앙이 될 것이다. 그런데 이번에 개발한 외골격은 무동력, 즉 외부에서 공급하는 에너지가 ... ...
빛으로 신호 주고 받는 ‘광통신 컴퓨터’ 나온다
2015.07.08
십 배 이상 끌어 올릴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김경옥 한국전자통신연구원(ETRI) 나노
인터페이스
소자연구실 책임연구원 팀은 일반 실리콘 반도체에 기반한 광(光) 송·수신 단일 칩 개발에 성공했다고 8일 밝혔다. 빛으로 신호를 주고받는 광통신 기술은 이미 실용화 돼 있다. 현재 기술로는 ... ...
“사이배슬론은 장애인과 로봇 기술이 만난 스포츠”
2015.07.02
우승한 선수와 기술진은 메달을 받는다. 컴퓨터와 사람의 뇌를 연결하는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와 ‘엑소스켈리턴(외골격) 로봇’ 등을 이용한 의공학 분야 전문가인 리너 교수는 “세계 최고 수준의 자동차 경주대회인 F1에서 우승하기 위해서는 기술력이 가장 중요하다”면서 “사이배슬론 ... ...
인간은 정말 뇌의 10% 밖에 사용하지 못할까
2015.05.25
PTSD)를 겪고 있는 환자를 데리고 광란의 질주를 하고, 전신마비 환자에게 뇌-컴퓨터
인터페이스
를 통해 직접 의사소통을 하는 등 흥미로운 실험 결과를 제공한다. 저자는 공신력 있는 뇌 연구결과를 보여주며 뇌를 효과적으로 사용할 수 있는 길을 알려준다. 생각의 나무 제공 ■ 영화 속의 ... ...
“녹음했던 고객 음성, 빅데이터 정보로 활용”
2015.03.22
전자통신연구원(ETRI) 관계자가 콜센터 녹취 데이터가 자동으로 텍스트로 변환되는 과정을 살펴보고 있다. -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제공 은행이나 증권 ... 적용이 가능하다”며 “음성인식 기술은 앞으로 생활 모든 영역에서 중요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로 자리 잡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 ...
열렸다 닫혔다 마법의 ‘나노 통로’
2015.03.04
가능하다”고 말했다. 연구 결과는 재료분야 국제 학술지 ‘어드밴스드 머티리얼스
인터페이스
’ 16일자에 게재됐다. 나노 주름(왼쪽 위)에 힘을 가해 주면 주름 윗부분이 달라붙으면서 통로(오른쪽 위)가 만들어진다. 아래는 통로 안에 금 나노 입자를 포집한 모습. - KIST ... ...
우리가 제안한 OLED조명 기술 ‘국제표준’ 됐다
2014.11.11
전 세계적으로 약 47억 달러(약 5조1300억 원)를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이정익 ETRI 소프트
인터페이스
연구실장은 “이번 연구성과는 OLED 조명 산업을 활성화하는 한편, 차세대 조명산업의 신생태계 조성에 보탬이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한편 연구팀은 이번 표준화를 준비하는 과정에서 ... ...
5만 번 충·방전해도 끄떡없는 고용량 충전지 나왔다
2014.11.06
소재를 새롭게 개발했다고 6일 밝혔다. 이 연구는 글로벌프런티어사업인 ‘하이브리드
인터페이스
기반미래소재연구단’의 지원을 받아 이뤄졌다. 지금까지 이차전지의 양(+)극 전극에는 탄소 소재와 금속산화물 소재가 쓰였는데 둘 다 뚜렷한 한계가 있었다. 탄소 소재는 충·방전 속도가 빠르고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