뉴스
"일러스트"(으)로 총 517건 검색되었습니다.
- 한국인이 주도한 '한의학 세계화' 결실을 맺다…네이처 선정 올해 기사 10선동아사이언스 l2018.12.15
- 측면으로 나뉜 연구 현황을 다뤘다. ● 생물 다양성을 위한 싸움 데이비드 파킨스 일러스트 –네이처 제공 인간은 전 지구 표면의 50%를 인간의 생활 권역으로 만들며 생물 다양성을 줄이고 있다. 이를 막기 위해 출범한 생물다양성과학기구(IPBES)는 만들어진 지 6년이 지났지만 여전히 한 ... ...
- [노벨상 시상식] 암 치료 패러다임 바꾼 면역 항암 치료2018.12.08
- 항체인 ‘허셉틴(Herceptin)’ 등이 대표적인 표적 항암제다. 자료 : 노벨상 위원회.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 표적 항암제는 백혈구 감소나 탈모와 같은 부작용은 적다. 하지만 암세포는 돌연변이가 흔히 일어나고 다양한 특성을 가지기 때문에 한 가지 표적 항암제에 대한 내성을 가지기 쉽다. 일단 ... ...
- [노벨상 시상식] ‘신의 빛줄기’를 자유자재로2018.12.08
- 에너지를 증폭했다가 다시 펄스 폭을 줄이는 방법이 나왔다. 자료 : 노벨상 위원회,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 무루 교수와 스트리클런드 연구원이 이 기술을 성공시키기까지는 몇 년이 걸렸다. 처음에는 펄스 폭을 늘리기 위해 길이 2.5km인 광섬유에 펄스 레이저를 통과시켰다. 하지만 광섬유에 들어간 ... ...
- [노벨상 시상식]빛으로 나노입자 집는 ‘광집게’2018.12.08
- 도중, 빛만으로 입자를 가두는 ‘광집게’를 발견한 것이다. 자료 : 노벨상 위원회,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 애슈킨 연구원이 고안한 실험 장치는 빛으로 미세 입자를 집는 기술인 광집게의 초기 모델이라고 할 수 있다. 실제로 반대 방향으로 진행하는 레이저 두 개로는 광집게를 구현하기 매우 ... ...
- [노벨상 시상식]효소와 항체 생산의 진화를 이끌다2018.12.08
- 하는 단백질이 외피단백질에 결합해 파지 바깥에 표지된다. 자료 : 노벨상 위원회,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 항체가 의약용으로 널리 사용되고 화학합성 의약품을 빠른 속도로 대체해 나가고 있는 이유는 항원에 대한 매우 높은 친화도와 특이성 때문이다. 항체는 병원성 항원과 결합할 수 있는 결합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은 왜 탈까?동아사이언스 l2018.12.06
- 자연스럽게 자신의 취약부위를 알고, 방어하는 방법을 깨닫게 된다는 것이다. 일러스트 우아영 기자 그래서일까.똑같이 간질이는 자극이어도 내가 할 땐 웃음이 나지 않는다. 결론부터 말하자면, 내가 간질이는 것은 예측할 수 있기 때문이다. 영국 유니버시티칼리지런던(UCL) 사라-제인 ... ...
- '질병의 공식'을 찾는 수학자들수학동아 l2018.12.01
- 영상에 나타난 모습을 수학적으로 정밀하게 측정할 방법을 찾아달라고 요청했다. 일러스트 게티이미지뱅크, 동아사이언스 비뇨기과에선 소변길에 돌이 생겨 끼면 돌이 낀 위치와 돌의 특성에 따라 수술을 하거나, 몸 밖에서 높은 에너지로 초음파를 쏴서 낀 돌을 잘게 쪼개는 ‘체외충격파 ... ...
- [과학 읽어주는 언니] 간지럼의 정체동아사이언스 l2018.11.28
- Operculum)’라는 부위로, 얼굴의 움직임과 음성, 그리고 감정적 반응과 관련된 곳이다. 일러스트 우아영 기자 하지만 간지럼에 의한 웃음은 유머에 의한 웃음과는 다른 점이 있었다. 시상하부(hypothalamus)에도 반응이 나타난 것이다. 시상하부는 자율신경계와 관련된 부위로 체온을 조절하고 ... ...
- 둘레도 넓이도 같은 두 삼각형을 찾아라! 2018.11.25
- 최근 일본 대학원생들이 삼각형의 성질에 관한 재밌는 연구 결과를 발표했습니다. 일러스트 신동민 직각삼각형 하면 많은 사람이 피타고라스의 정리를 떠올릴 겁니다. 피타고라스의 정리는 삼각형의 세 변의 길이가 각각 a, b, c(c가 가장 긴 변)일 때, 그 삼각형이 직각삼각형일 필요충분조건이 ... ...
- [암호기술 혁명]①현존 가장 안전한 보안기술 동형암호동아사이언스 l2018.11.24
- ‘MIT 테크놀로지리뷰’는 2011년 동형암호를 10대 미래기술 가운데 하나로 선정했다. 일러스트 동아사이언스 제공 현재 동형암호를 상용화할 수 있는 기술을 가진 연구팀은 MS, IBM, 서울대 등 전 세계 5개 그룹 정도로 극소수다. 그 중에서도 천정희 서울대 수리과학부 교수가 이끄는 ‘수학기반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