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전기
전력
전원
볼타 전기
뉴스
"
전류
"(으)로 총 829건 검색되었습니다.
[표지로 읽는 과학] 2차원 공간에서 기본입자 매개하는 입자의 움직임
동아사이언스
l
2020.04.12
고안했다. 장치를 통해 입자 빔 충돌 실험을 진행한 뒤 각기 다른 출력 에너지에서
전류
파동의 상관관계를 분석해 애니온의 특성을 통계적으로 확인하는 데 성공했다. 연구진은 논문에서 “추가 연구를 통해 준입자 방출 및 입자 충돌 실험을 결합하면 단일 애니온의 특성을 알아낼 수 있을 ... ...
'절대0도에 근접한 궁극의 차가움' 극저온 분자 만들었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4.09
이 전혀 없어서 스스로 컵이나 벽을 타고 기어올라 넘치는 ‘초유체’나, 저항이 없이
전류
가 흐르고 외부 자기장에 반발해 밀어내는 성질을 지닌 ‘초전도체’가 만들어질 수 있다. 초전도체는 사물을 공중부양시키거나 효율 높은 전자기기를 만드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많은 물리학자들이 이런 ... ...
그래핀 표준저항 국산화 성공…세계에서 세 번째
동아사이언스
l
2020.04.08
거칠 예정”이라고 말했다. 박 연구원은 “양자
전류
표준 분야로 응용이 가능하며 미세
전류
측정과 발생기술이 쓰이는 기기의 신뢰성을 키우는 데 크게 기여할 것”이라고 말했다. 연구결과는 지난달 4일 국제학술지 ‘응용물리학 레터스’에 실렸다. 김완섭,박재성,채동훈 책임연구원 ... ...
[프리미엄리포트] 퀀텀닷으로 암 진단하는 시대 온다
과학동아
l
2020.04.04
겉에 껍질을 씌운 코어-쉘 구조로 만들고 있다”며 “껍질을 씌우면 빛은 나오지만
전류
는 껍질에 막혀 밖으로 나오지 못하기 때문에 태양전지로는 사용할 수 없다”고 설명했다. 그래서 태양전지용 퀀텀닷은 핵심물질 자체를 안정한 소재로 만들거나, 또는 표면에 추가적으로 다른 물질(리간드)을 ... ...
초음파로 몸속 의료기기 충전하는 시대 연다…이달의 과학기술인상에 김상우 교수
동아사이언스
l
2020.04.01
돼지 피하지방층 0.5cm 깊이에 삽입했을 때 1.2V 전압과 98마이크로암페어(㎂·100만분의 1A)
전류
출력을 보였다. 관련 연구결과는 지난해 8월 국제학술지 ‘사이언스’에 게재됐다. 기술은 에너지벤처기업 ‘에너지마이닝’에 지난해 이전됐다. 김 교수는 “초음파로 정전기를 만들어 발전과 충전을 ... ...
[강석기의 과학카페]폐열의 빛으로 전기 만든다
2020.03.24
반도체를 배치해 전압을 유도하는 장치다. 이는 열전효과의 한 측면으로, 다른 하나는
전류
를 흘릴 때 온도 차이가 발생하는 현상으로 고체 냉각장치를 만들 수 있다. 열광전지는 나와 있지만 코로나19 사태로 곳곳에 설치된 열화상카메라는 얼굴에서 나오는 흑체복사의 적외선 스펙트럼 패턴을 ... ...
26회 휴먼테크 논문상에 송준성 성균관대 연구원
동아사이언스
l
2020.02.12
느낄 수 있는 수준의 대기압에서 추가적인 압력을 가하거나 전력을 소비하지 않고도
전류
를 흐르게 할 수 있는 반금속 물질을 연구해 양자컴퓨터 응용의 가능성을 열어 대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고등 교육 및 연구기관 중에서는 울산과학기술원(UNIST)이 총 12명의 수상자를 냈다. 금상이 두 명이고 ... ...
[프리미엄 리포트] 총천연색 차세대 발광 소자, 퀀텀닷
과학동아
l
2020.02.08
색을 결정하는 건 LED 내부 반도체 속 전자의 움직임이다. LED의 반도체는 외부에서
전류
나 빛 에너지를 받았을 때 전자의 에너지가 얼마나 높아졌다가 다시 떨어지는지 그 변동폭에 따라 빛의 색깔이 결정된다. 그리고 이 전자의 에너지 변동폭은 물질마다 고유하게 정해져 있다. 예를 들어 LED에서 ... ...
신체 골격으로 개인식별하는 궁극의 생체기술 나왔다
동아사이언스
l
2020.01.30
하거나 전기를 흘려 체지방을 측정하듯 손가락에 진동과 같은 기계적 신호나 미세
전류
같은 전기적 신호를 주면 손가락의 구조적인 특성을 알 수 있다. 사람마다 특성이 모두 다르므로 사람을 구별해 인증할 수 있다. 연구팀은 성인의 손바닥 크기로 만든 시스템을 구축해 기술을 검증했다. ... ...
전기硏 과학문화 콘텐츠 2년연속 조회수 100만뷰 넘겨
동아사이언스
l
2020.01.29
220V를 사용하는 이유’, ‘정전기가 발생하는 이유’, ‘테슬라와 에디슨의
전류
전쟁’, ‘전기뱀장어의 전기 생산 원리’ 등 다양한 콘텐츠가 관심을 끌었다. 이같은 성과를 바탕으로 한국전기연구원은 2018년과 2019년 2년 연속으로 ‘대한민국 SNS 대상 최우수기관’에 선정됐다. 최규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