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회화
이미지
영상
화상
초상
그래픽
사진
스페셜
"
그림
"(으)로 총 629건 검색되었습니다.
[사이언스N사피엔스] 헬레니즘 시대의 과학
동아사이언스
l
2019.08.23
측정할 수 있다. 월식은 지구의
그림
자 속으로 달이 들어가는 현상이다. 달이 지구
그림
자에 가려지기 시작하는 시점부터 완전히 가려지는 때까지 걸린 시간은 달의 크기에 비례할 것이다. 한편 달이 완전히 가려진 다음부터 다시 달이 완전히 나올 때까지 걸린 시간은 지구의 크기에 비례할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달걀 감별하는 시대
2019.08.21
들여다보자. 여성호르몬 감지해 선별 달걀의 배아발생 과정을 5일 단위로 보여주는
그림
이다. 신경계가 어느 정도 갖춰진 7일차 배아부터는 통증을 느낄 수 있다고 보기 때문에 그 이전에 달걀감별을 하는 방법이 연구되고 있다. A. L. Romanoff, Cornell Rural School Leaflet 제공 닭은 쓸모에 따라 육계와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마태 효과와 기생충: 과학자사회의 불평등
2019.08.14
금으로 된 현미경과 철로 된 현미경을 대비시켰다. 과학자로 살아온 이들은 모두 이
그림
이 뜻하는 바를 안다. 과학자 사회의 소득불평등은 우선 경력단계에서 극명하게 나타난다. 대학원생은 연구지원금이라는 명목으로 아주 기초적인 생활비 정도를 지원받으며 연구한다. 박사후연구원은 ... ...
[사이언스N사피엔스] 야구공은 왜 날아갈까
2019.08.08
방법은 무려 19세기까지 유럽에서 명맥을 유지했다고 하니 히포크라테스 의학이 드리운
그림
자가 어디까지인지 짐작할 수 있다. 히포크라테스 의학을 후대에 크게 번성시킨 인물이 있었으니, 제정로마 시대의 의학자 갈레노스였다. 2세기~3세기 초에 살았던 갈레노스는 아우렐리우스 황제 등 네 ... ...
[박진영의 사회심리학] 세 살 아기도 알건 안다
2019.08.03
아이들은 이 사람이 해로운 행동을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나쁜 행동을 하는 사람은
그림
그리기를 방해하거나 물건을 부순다. 선한 사람은 주인공이 하려는 일을 도와준다. 두 사람의 놀이가 끝나고 이제는 아이도 함께 놀이에 참여하는 시간이다. 아까 지켜본 사람이 아이에게 근처에 있는 공을 좀 ... ...
추억의 장소 가면 설레는 이유 밝혔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31
사실을 확인했다. 신경세포(뉴런, 보라색)과 그 주위 별세포(노란색)를 묘사한
그림
이다. 별세포가 가진 특정 오피오이드 수용체(뮤오피오이드 수용체, 오렌지색)가 장소 선호 기억을 형성하고 오래 기억하는 데 관여한다는 사실이 밝혀졌다. 사진제공 IBS 연구팀은 또 이렇게 생긴 장소 선호 ... ...
[사이언스N사피엔스] 플라톤의 하늘, 아리스토텔레스의 땅
2019.07.25
《천지창조》와 《최후의 심판》도 마찬가지다. 미켈란젤로가 그냥 기술적으로
그림
만 잘 그린 게 아니다. 자기 나름대로 성경과 신과 인간을 통찰한 엄청난 상상력의 결과가 고스란히 담겨 있다. 라파엘로나 미켈란젤로나 말 그대로 ‘르네상스적인 인간’들이었던 셈이다. 4차 산업혁명을 ... ...
AI가 기계 고장 예측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9.07.02
영상이다. 육안으로는 차이를 구분할 수 없다. 머신 비전으로 두 영상을 비교하면 아래
그림
처럼 진동이 강하게 나타나는 부분의 색이 바뀌어 표시된다. 기계연 제공 ... ...
[달 탐사 패러다임 바뀐다]아웃소싱의 시대(중)
동아사이언스
l
2019.06.27
mars)?’가 흘러나오고 있을 것이다. 팰컨헤비에 실려 우주로 향할 때 틀었던 곡이다. 이
그림
은 26일 현재 머스크의 트위터 프로필 사진이다. 여러 모로 머스크의 아바타를 상징하는 스타맨은, 머스크와 스페이스X가 지향하는 목표를 잘 보여준다. 바로 화성으로 대표되는 심우주 탐사다. 우주 탐사의 ... ...
[강석기의 과학카페]사람마다 '약발' 다른 이유는 장내미생물
2019.06.25
게놈에서 특정 약물을 대사하는 효소의 유전자를 찾는 방법을 도식화한
그림
이다. 게놈을 5만1000개 조각으로 쪼개 각각을 대장균(E. coli)에 넣어준 뒤 약물(여기서는 딜티아젬)의 농도변화를 본다. 만일 농도가 줄었다면 그 대장균에 넣은 게놈 조각에 대사 효소 유전자가 들어있는 것이다(아래).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