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큰길
한길
대도
가로수 길
스페셜
"
대로
"(으)로 총 469건 검색되었습니다.
[강석기의 과학카페] 왜 어떤 사람들은 오이를 싫어할까?
2017.04.18
감각이 복합적으로 관여하는 게 더 일반적일 것으로 보인다. 다만 아직까지 수용체가 제
대로
규명이 안 돼 그 전모를 파악하지 못하고 있을 뿐이다. 그런데 최근 음식 선호도에 두 감각이 작용하는 예가 보고되기 시작했다. 바로 향신료 고수(cilantro)에 대한 선호도로 냄새수용체와 맛수용체가 ... ...
장내 미생물로 면역질환 치료한다
동아사이언스
l
2017.03.07
꿈을 안고, IL10 유전자 발현 조절 기작에 관한 분자면역학 수준의 연구를 하고자 하버드의
대로
갔다. 박사후연구원 기간 동안 암 연구소(CRI)로부터 연구비를 지원받았고, 세계적인 면역학자로 인정받는 안자나 라오(Anjana Rao) 교수의 지도하에 IL10 유전자 발현조절 기작에 대한 분자 수준의 ... ...
솔로는 외롭고 초라한 것일까?
2017.02.19
또한 싱글인 사람들은 결혼한 사람들에 비해 더 주관이 뚜렷하고 내 삶은 내가 원하는
대로
사는 것이라는 느낌 또한 더 강하게 가지고 있었다고 한다. 이들은 ‘사람으로서 계속해서 성장해나가고 있다는 느낌’ 또한 더 강하게 받고 있는 것으로 나타났다. 여러가지 의무와 역할들에 시간을 쏟는 ... ...
"최고 수준의 중이온가속기 건설에 모든 걸 걸었어요!"
동아사이언스
l
2017.02.03
중압감이 크다는 것. 많은 테스트를 거치면서 시행착오를 겪어야 하지만 정해진 계획
대로
장치를 개발해야하기 때문이다. 이들은 "실패하면 안 된다는 조급함이 크다"며 "좀 더 큰 응원 속에서 임무를 완수하고 싶다"고 말했다. 또한 "지금 함께 땀을 흘리고 있는 동료들과 가속기 구축 및 운영까지 ... ...
[지뇽뇽의 사회심리학 블로그] 계획한 것 달성하려면, 이렇게!
2017.01.21
예측에서 쏙 빼놓고 의사결정을 해버리고 만다. 위의 그림처럼 계획한 일이 평탄
대로
로 풀렸으면 좋겠지만, 그 앞길에 실패와 장애물이 없을리가 없다. 하지만 우리는 보통 계획 단계에서 실패와 장애물을 함께 고려하지는 않는다. 그 결과 예상보다 실제 목적지에 다다르는 데에는 훨씬 많은 ... ...
[강석기의 과학카페 304] 노트북도 이제 배터리로 승부?
2017.01.10
하는 반도체 칩은 다른 차원의 얘기다. 따라서 집적도는 높지 않지만 실리콘반도체가 제
대로
작동하지 않는 특수한 분야에 한해 개발되고 있는 게 현실이다. 즉 정교한 구조가 개입되는 하이테크(high tech) 쪽은 한계가 있다는 말이다. 반면 탄소나노튜브가 첨가제로 쓰여 소재의 강도를 높이거나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5)우주가 물질이 왜 더 많은지 실험으로 보여준 제임스 크로닌
2016.12.30
피치와 중성 케이온의 붕괴를 연구하다 1964년 CP대칭성 깨짐을 발견했다. 1971년 시카고
대로
돌아간 크로닌은 1977년 그곳에 있는 페르미연구소의 충돌빔 책임자가 됐지만 바로 사임했다. 과학행정이 적성에 맞지 않았기 때문이다. 1985년에는 고에너지 우주선(cosmic ray) 관측으로 관심을 돌렸다. ... ...
[사이언스 지식IN] ⑤ 곧 B형 독감이 유행한다고요? A형 독감과 무엇이 다른가요?
동아사이언스
l
2016.12.26
B형 독감, C형 독감, 그 차이점은? - (주)동아사이언스(이미지 소스:GIB) 제공 일단 이름
대로
독감을 일으키는 바이러스가 다릅니다. 증상은 서로 조금 다르다고는 하지만 독감에 걸린 환자가 본인이 A형 독감에 걸렸는지, B형 독감에 걸렸는지 구별하기는 어려운 정도입니다. 아마 예민한 사람이라면 ... ...
[2016년 사라진 과학계 별들](10) 현장에 개입해 핵심종 개념을 만든 로버트 페인
2016.12.24
때문에 불가사리가 돌아왔을 때 어떤 일이 일어나는지 확인하기 위해서였다고 한다. 예상
대로
불가사리가 돌아오자 해안을 뒤덮은 홍합이 급속히 줄어들며 얼마 지나지 않아 예전 모습을 되찾았다. 페인은 1998년 교수직을 물러난 뒤에도 타투시에서 연구를 계속했다. ※ 필자소개 강석기. ... ...
조류독감, 발병의 주범은 오직 ‘철새’?
2016.12.22
딱 ‘누구!’라고 말할 수 있었다면, 계란까지 파뭍는 일은 없었겠지요. 앞서 설명한
대로
조류독감은 본래 야생에서 사는 새들의 평범한 질병이었습니다. 야생에서 사는 새는 철새를 포함해 그 종류가 엄청 다양합니다. 물론 이번에 유행하고 있는 ‘H5N6형’ 바이러스는 10월 28일 충남 천안 ... ...
이전
35
36
37
38
39
40
41
42
43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