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둘임"(으)로 총 666건 검색되었습니다.
- [강석기의 과학카페] 맨발 예찬2019.07.19
- 인류는 600만 년 전 직립한 이래 내내 맨발로 지내다 불과 수천 년 전부터 신을 만들어 신기 시작했다. 즉 신을 신은 발보다 맨발일 때가 걷거나 뛰기에 더 자연스러운 상태라는 말이다. 위키피디아 제공 지난 봄 운동화를 사러 한 매장에 들렀다. 무난한 디자인에 무난한 가격인 운동화를 골라 신어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실험실 문화를 지키는 사람들2019.07.19
- 1941년 MIT의 한 실험실에서 일을 하고 있는 테크니션의 모습이다. MIT Radiation Lab 제공 “테크니션은 실험실을 운영하는 일상적인 작업 뿐 아니라, 혁신적인 연구성과가 등장하는데 있어서도 필수적인 역할을 담당해왔다. 테크니션들이 새로운 세대의 과학자들을 훈련시키지 않는다면, 혁신적인 연구 ... ...
- 러, 기존 ICBM 위성 발사체로 활용 논의동아사이언스 l2019.07.08
- 러시아의 대륙간탄도미사일 'R-36M2 보예보다'의 모습이다. 러시아 국방부 제공 러시아가 차세대 대륙간탄도미사일(ICBM) 개발을 앞두고 기존 ICBM을 모두 위성 발사용 발사체로 활용하는 방안을 고려하는 것으로 알려졌다. 러시아 타스통신은 이달 7일 드미트리 로고진 러시아 연방우주공사(로스코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매튜 볼턴, 과학을 미치도록 사랑한 갑부2019.07.04
- 과학을 통해 사회변화를 꿈꾸었던 만월회(Lunar society)에는 증기기관차를 기술적으로 개량한 제임스 와트와 이를 서포트해주는 투자자 메튜 볼턴이 있었다. 사진은 그들이 정기적으로 만났던 장소. 위키피디아 제공 18세기 중반, 영국의 버밍엄이라는 도시에서, 보름달이 뜨는 밤이면 과학을 중심으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복숭아와 아몬드 학명 뒤바뀐 운명 2019.06.18
- 조선시대 화가 안중식의 작품으로 '도화원기'를 바탕으로 한 '무릉도원' 을 그렸다. 무릉에 사는 한 어부가 배를 타고 가다가 길을 잃어 복숭아꽃이 만발한 별천지에 이르렀다는 이야기이다. 국립중앙박물관 제공 무릉 군에 고기 잡는 일을 하는 사람이 있었다. 그는 시내를 따라가다가 길을 잃어버 ... ...
- [강석기의 과학카페] 손가락 비율은 과학적 근거가 있을까 2019.06.11
- 손가락을 보고 상대방의 성적 취향 같은 특성을 파악하는 경우가 있다. 서로 인과관계가 있을까?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대뇌피질 호문쿨루스(cortical homunculus)라는 게 있다. 뇌의 감각 피질과 운동 피질이 맡고 있는 면적에 비례해 인체를 묘사한 것이다. 감각 피질 호문쿨루스와 운동 피질 호문쿨루스 ... ...
- 베이조스 "10년내 사람처럼 물건 움켜쥐는 로봇 나올 것"연합뉴스 l2019.06.08
- "미래에 중공업은 지구 밖으로 옮기고 지구는 주거지 될 것"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CEO. AFP=연합뉴스 제프 베이조스 아마존 최고경영자(CEO)가 6일(현지시간) 10년 안에 사람처럼 믿음직하게 물건을 움켜쥘 수 있는 상업용 로봇이 출현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베이조스는 이날 ... ...
- [김우재의 보통과학자] 조 힌 치오,염색체와 매카시즘2019.06.06
- "숫자는 정말 우연히 찾게 된 거예요. 그렇게 오랫동안 사람들이 염색체 숫자를 48개로 생각해왔다는데 엄청 놀라긴 했죠" -조 힌 치오 "치오, 미국에도 기회를 주세요. 우리 모두가 매카시즘에 빠진건 아니예요" -헤르만 뮬러 (초파리 유전학자, 노벨상 수상자) 염색체 숫자의 미스테리 1956 ... ...
- 에이즈 면역 위해 유전자 편집한 아기, 사망률 21% 높아동아사이언스 l2019.06.04
-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난팡과기대 교수가 유튜브를 통해 유전자 편집 기술로 에이즈에 면역력을 가진 '디자이너베이비'를 탄생시켰다고 밝혔다. 유튜브 제공 지난해 11월 허젠쿠이 중국 난팡과기대 교수가 후천성면역결핍증(AIDS)에 걸리지 않도록 유전자편집을 한 쌍둥이 아기가 태어났다고 발표해 ... ...
- [사이언스N사피엔스] 과학은 왜 어려운가2019.05.30
- 게티이미지뱅크 제공 과학은 어렵다. 쉽지 않다. “과학은 왜 그리 어려운가요?” 대중강연에서 흔히 듣는 질문이다. 나의 대답은 한결같다. “원래 어려워요.” 물론 이렇게 대답하면 나의 형편없는 강의 실력이 숨을 공간이 생긴다. 그래도 내 대답은 진심이다. 과학은 원래 어렵다. 이 점을 그냥 ... ...
이전353637383940414243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