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페셜
"유전공학"(으)로 총 408건 검색되었습니다.
- “미래성장동력 BT에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1.01.05
- 좌로부터 김대경 위원장, 김선영 MD, 박영훈 원장, 선경 본부장, 유병린 원장. ‘미래성장동력은 생명공학기술(BT)에서 나온다.’ 지난해 12월 30일 서울 서초구에 위치한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 서울사무소에서 현병환 센터장이 주관한 ‘생명공학기술(BT) 좌담회’가 열렸다. 유관 부처에서는 연구개 ... ...
- “연구과제비 산정, ‘달러’로 국제화 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11.09
- “정권 바뀔 때마다 과학자들이 왜 걱정을 해야 합니까. 미국은 부시든, 오바마든 누가 집권해도 과학자가 흔들릴 일은 거의 없습니다.” 백융기 국제인간프로테옴기구(HUPO) 회장은 한국의 과학정책이 큰 기조를 꾸준히 유지해 과학자가 더욱 연구에 전념할 수 있어야 한다고 지적했다. 특히 생명과 ... ...
- 범부처 통합 생물자원관리체제 나온다동아사이언스 l2010.11.03
- “생명연구자원은 의료·에너지·식량 등 인류가 직면한 문제를 해결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할 겁니다. 따라서 생명연구자원을 체계적으로 관리하는 게 매우 중요합니다.” 윤헌주 교육과학기술부 기초연구정책관은 2일 서울 서초구 팔래스호텔에서 열린 ‘생명연구자원 확보·관리 및 활용을 위한 ... ...
- 일률적인 연구평가방식 맞춤형으로 바뀌어야 동아사이언스 l2010.10.06
- “생명도 농업, 축산, 의과학 등 분야가 다양해요. 같은 기준으로 평가하기에는 무리가 있죠. 각 분야의 과학자들이 공감할만한 평가 제도를 만들려는 노력이 필요합니다.” 유권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장수과학연구센터 책임연구원은 “평가가 매년 이뤄지면 과학자들이 단기성과에 집중하게 돼 장 ... ...
- “바이오 연구, 심경법 처럼 농업 혁명 가져올 것” 동아사이언스 l2010.09.07
- “작은 농업 기술 하나가 사회를 변화시켰습니다. (토양을 깊게 가는) 심경법이 농업 증산을 가져와 인구가 늘었으며, 이로 인해 사회가 발전했습니다. 바이오 분야 연구는 이러한 혁명을 가져올 것이라고 생각합니다.” 지난 3일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열린 농업기술실용화재단 1주년 기념식 행 ... ...
- “국가 연구 개발은 참을성 갖고 지원해야” 동아사이언스 l2010.08.24
- “국가 연구과제는 장기적 안목으로 끝까지 지원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연구자들이 유행 따라서 주제를 바꾸면 안 됩니다. 인기 없는 분야라도 필요하다면 지원을 해야 하는 것입니다.” 송지용 프런티어 연구성과지원센터장(60)은 화학공학 박사로 선경합섬, 대우엔지니어링, LG생명공학 등에서 30 ... ...
- “BT 기초연구 튼튼해야 상용화도 가능해” 동아사이언스 l2010.08.10
- “우리 몸은 세포막에 있는 이온채널을 통해 신호를 전달합니다. 통증도 마찬가지에요. 통증을 잘 연구하면 부작용이 없는 진통제를 만들 수 있으리라 봅니다.” 이온채널은 세포 안팎으로 이온을 통과시키는 막단백질을 말한다. 세포막이 열리면 세포 바깥에 있던 양이온이 이온채널을 통해 세포 ... ...
- “해외 식물 10만종 모으는 게 목표” 동아사이언스 l2010.07.28
- 원예학과 박사 1986년~1992년 한국과학기술원 부설 유전공학센터 선임연구원 1992년~1994년 유전공학연구소 책임연구원, 실장 1992년~2002년 한국생명공학연구원 책임연구원 2000년~현재 자생식물이용기술개발사업단 단장 ※ 이 기획기사 시리즈는 교육과학기술부 및 생명공학정책연구센터와 공동으로 ... ...
- “신약 개발 협의체로 글로벌 신약 10개 개발 지원한다” 동아사이언스 l2010.07.15
- 좌로부터 박항식 정책관, 김강립 국장, 오경태 정책관, 김준동 정책관. 사진 전승민 동아사이언스 기자enhanced@donga.com 세계 시장을 좌우할 수 있는 약품을 개발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우리나라는 조선, 정보기술(IT), 반도체, 자동차 등 세계 정상급 기술을 가지고 있지만 제약 등 생명공학에 분야는 ... ...
- “생물자원 전쟁 이미 시작… 과학적 분류부터 응용까지 지원” 동아사이언스 l2010.07.06
- “생물 자원관은 우리의 생물자원을 체계적으로 정리하고 분류하는 기관입니다. 그런데 여기에 그치지 않습니다. 단지 보관만하는 것이 아닙니다. 분류한 생물의 유전자도 분석하고 연구합니다. 앞으로는 연구를 통해서 생물자원을 기업, 연구소, 대학 등에 분양을 하는 등 바이오 분야의 연구의 ... ...
이전35363738394041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