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관여"(으)로 총 933건 검색되었습니다.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6
- 연구되고 있는 분야입니다. X염색체가 비활성화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인자들이 관여하지만 특히 ‘Xist’라는 긴 비암호화 RNA(long noncoding RNA)가 아주 중요한 역할을 합니다. 많은 RNA는 DNA가 단백질을 만들 때 유전 정보를 매개하는 역할을 하는데요. Xist는 특이하게도 단백질을 만들지 않고 RNA 그 ... ...
- [Issue] 개나리와 벚꽃이 동시에… 봄꽃이 미쳤다?과학동아 l201705
- LED)를 이용해서 필요에 따라 조절할 수 있습니다). 가장 확실한 방법은 개화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연구하는 것인데요. 한 예로 무궁화는 여름철에 무려 100일 동안 피고 지는데, 그 메커니즘이 지난해 처음으로 밝혀졌습니다. 개화와 관련된 유전자가 워낙 많고, 여기서 나온 단백질의 상호작용은 ... ...
- Part 4. 할아버지, 어떻게 그렇게 건강하세요?과학동아 l201705
- 근육의 구성과 제어에 관련 있는 많은 유전자의 활동을 제어해 전반적인 신체 활동에 관여한다. 특히 미토콘드리아의 생합성을 증가시킨다. 연구팀은 두 화학물질로 만든 약물을 투입하자 생쥐가 운동을 하지 않고도 정상 생쥐보다 운동 능력이 44% 향상되는 것을 확인했다2). 이 논문이 발표된 뒤 ... ...
- [Origin] 원시지구, 생명의 색은 RED과학동아 l201705
- 남세균 41종의 게놈 데이터를 뽑고, 세포호흡(산소로 당을 산화해 에너지를 얻는 과정)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기준으로 계통수를 그릴 수 있었다. 그 결과 남세균의 ‘족보’는 크게 세 개의 가지로 갈라짐을 알 수 있었다. 결과를 요약하면 아래 세 가지다(doi:10.1126/science.aal3794). 1. 산소 발생 광합성 ... ...
- Part 3. 장수촌의 비밀, DNA는 알고 있다과학동아 l201705
- 소화가 잘 되지 않는 다당류 분해 능력을 가지고 있다. 라크노스피라는 면역계 보호에 관여하는 것으로 추정되는 장내미생물 중 하나다.장수촌에서만 발견된 미생물도 있었다. 페칼리박테리움(Faecalibacterium)으로, 자가면역질환에 효과가 있고, 체내 에너지를 만드는 데 도움을 주는 ‘단쇄지방산’을 ... ...
- [Issue] 쓸모없다 해서 미안했다 충수의 재발견과학동아 l201703
- 생태계를 유지하기 위해 충수와 면역체계, 장의 구조, 조직의 주름 등 많은 것들이 관여하고 있다”고 말했다.충수가 병의 재발을 막는다는 연구 결과도 있다. 미국 윈스럽대학병원 소화기내과의 제임스 그렌델 박사팀은 장염을 일으키는 클로스트리듐 디피실리균(Clostridium difficile)에 감염된 환자 25 ... ...
- Part 3, 기후변화 최대 피해지, 북극 스발바르는 지금과학동아 l201703
- 훨씬 많다는 사실이 조사를 통해 밝혀졌다. 기후, 생물, 지형 등 다양한 환경 인자가 관여하고 있다는 뜻이다. 이미 토양이 발달한 지역이라도, 빙하나 눈이 녹은 물이 한 번이라도 씻어 내려가면 유기물 함량은 다시 원점으로 돌아갔다. 천이 초기와 유사하게 양이 매우 적었다. 또 빙하가 후퇴한 ... ...
- 선을 넘은 사랑, 혜성을 만들고 죽이다수학동아 l201703
- 혜성으로 탄생시키기도 하지만, 도중에 파괴해 버리기도 한다. 혜성의 탄생과 죽음에 관여하는 이 힘을 ‘조석력’이라 한다.조석력, 혜성을 소환하다조석력 개념이 처음 등장한 건 17세기 수학자이자 물리학자인 아이작 뉴턴의 저서 ‘프린키피아’에서다. 이 힘은 바닷물의 밀물과 썰물을 일컫는 ... ...
- [포커스 뉴스] 돼지의 수정란에서 자란 인간세포, 키메라 연구 불 붙나과학동아 l201703
- 캐스9 (CRISPR-Cas9)을 이용해 돼지의 수정란에서 췌장, 심장, 눈과 같은 기관 발달에 관여하는 유전자를 잘라냈다. 이후 사람의 유도만능줄기세포(iPSC)를 돼지 배아에 주입했다.유도만능줄기세포는 이미 분화가 끝난 체세포에 역분화를 일으키는 네 가지 특정 유전자를 주입해 여러 세포로 분화할 수 ... ...
- [과학뉴스] 지방세포로 흉터 없이 상처 치료과학동아 l201702
- 역할을 한 것은 ‘모낭’이었다. 연구 결과에 따르면 모낭이 세포 리프로그래밍에 관여하는 ‘뼈형성단백질(BMP)’ 신호 전달에 도움을 줘, 지방세포 전사인자를 활성화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코트사렐리스 교수는 “이번 연구 결과는 흉터 없이 상처를 치료하는 방법뿐만 아니라 피부의 주름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