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나이키
아디다스
고어택스
나이키 덩크
나이키 모자
나이키 운동화
나이키 카라티
d라이브러리
"
농구공
"(으)로 총 69건 검색되었습니다.
세상에서 가장 둥근 게 뭐지?
과학동아
l
201201
[초신성 폭발 잔해에서 중성자별이 탄생하는 모습. 중성자별 표면의 중력은 지구의 2000억 배다. 조금이라도 튀어나오거나 들어간 곳을 그냥 두지 않는다.]세상에서 가장 흔하게 볼 수 있는 모양은 무엇일까. 네모? 세모? 동그라미? 물방울, 해변의 조약돌, 하늘에 떠 있는 해와 달을 보면 동그라미가 ... ...
“제2의 김연아, 제가 만들 거예요”
과학동아
l
201111
오류를 줄이기 위해 반복해서 했지만 파스칼의 삼각형과 제대로 연결되지 않았다.
농구공
대신 십면체 주사위를 굴려서 파스칼의 삼각형과 비교했더니 만족스러운 결과가 나왔다. 마지원 학생은 “더워서 힘들었지만 직접 수학과 체육을 연결하는 과정이 즐거웠다”고 웃었다. 휘경여고 본관 ... ...
포물선을 그리며 날아가는 것들… 신기전 vs ANGRY BIRDS
수학동아
l
201110
1448년 세종대왕은 절대강국을 꿈꾸며 비밀무기를 제작한다. 이는 고려 말기 발명가이자 과학자였던 최무선이 만든 무기중 ‘주화’ 라는 로켓 무기를 개량한 ‘신기전’ 이다. 신기전은 실존했던 조선의 첨단과학기술의 상징과도 같다. 여기 신기전을 발명하는 상세한 과정과 약간의 상상 속 이야 ... ...
저질체력 운동 시작하는 법
과학동아
l
201105
때 하지 않으면 소용이 없다. 외국에서는 체육이 한국에 비해 비중이 클뿐만 아니라,
농구공
을 튕기거나 배구공을 토스하는 법을 배우는 데 그치지 않고 팀을 이뤄 농구나 배구 경기를 한다. 운동을 ‘억지로 해야 하는 수업’이 아닌 ‘즐겁게 놀면서 건강해지는 방법’으로 받아들인다는 얘기다. ... ...
우주까지 반백 년, 그리고 우주에 다다른 지 반백 년…
과학동아
l
201104
카랄료프는 그렇게 50여 년 동안 쌓아 올린 이론을 실제로 구현해 냈다. 1957년 10월
농구공
보다 약간 큰 쇠공 모양의 스푸트니크 1호가 우주로 올라갔고, 한 달 뒤 강아지 라이카가 2m 가량의 원통형 위성스푸트니크 2호를 타고 올라갔다. 마침내 1961년 4월 보스토크 호에 탄 유리 가가린은 인류 최초로 ... ...
기회의 세상 만드는 마태복음 효과
과학동아
l
201104
한국·미국·영국의 스포츠 선수와 과학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에서 성공의 법칙으로 통하는 마태복음 효과가 증명됐다. 정우성 포스텍 교수와 미국 보스턴대 유진 스탠리 교수 공동연구팀은 통계물리학을 이용한 이 연구를 지난해 12월 국립과학원회보(PNAS)에 실었다. 정우성 교수가 직접 성공의 비 ... ...
수학으로 쏙쏙 밀어 넣는 포켓 당구
수학동아
l
201103
색색의 화려한 15개의 공과 빨간 연지를 찍은 1개의 하얀 공. 일정한 규칙에 따라 공을 구멍(포켓)에 넣는 게임을 우리는 흔히 ‘포켓볼’이라고 부른다. 영국에서 귀족들의 사교 게임으로 시작된 포켓 당구는 최근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 레포츠로 발전해 왔다. 특히 당구는 올해 열리는 제92회 전 ... ...
바스켓을 흔드는 수학
수학동아
l
201101
역회전을 주면 작용·반작용 법칙에 의해 대부분 바스켓 안으로 공이 빨려 들어간다.*림
농구공
이 통과하면 득점이 인정되는 둥근 테두리.*바스켓 림과 그물.*백보드 가로가 1m 80cm이고 세로가 1m 5cm인 투명판으로 림보다 15cm 뒤에 있다 ... ...
완전수 6이 벌이는 신사 스포츠, 배구
수학동아
l
201012
12월 4일에 한국프로배구 2010-2011 V리그가 시작한다. 실내에서 펼쳐지는 배구 경기는 추워 움츠러진 몸을 활짝 펴게 하는 데 알맞은 겨울 스포츠다. 특히 지금은 다양한 색으로 바뀌었지만 ‘백구의 대제전’으로 불릴 정도로 하얀 배구공은 겨울의 눈과 잘 어울렸다. 수학으로 살펴본 배구는 합리적 ... ...
촉각이 착각에 빠질 때
과학동아
l
200912
느낀다고 보고했다.이런 촉각 일루전은 자극기 없이도 간단하게 확인해볼 수 있다.
농구공
처럼 둥근 물체를 20초 정도 손바닥으로 눌러보자. 그런 다음 평평한 바닥에 대보자. 어떤 느낌이 드는가. 볼록한 공과 반대로 움푹 들어간 느낌이 전해지지 않는가.최근 촉각 일루전은 과학자들의 연구를 통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