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달관
달견
고관
d라이브러리
"
능통
"(으)로 총 45건 검색되었습니다.
1 예수의 동생 유골함은 가짜
과학동아
l
200310
요청했을 때도 유골함에 새겨진 글자들에 대해 언급하지 않았다고 한다.고고학에
능통
한 거짓말쟁이신약성서 마태복음에 의하면 야고보는 요셉과 마리아 사이에 난 예수의 친동생이다. 야고보는 예수의 부활을 목격한 뒤 서기 62년 순교할 때까지 예루살렘 기독교회의 초대지도자로 활동했다고 ... ...
적외선우주 관측하는 새로운 망원경
과학동아
l
200305
것으로 현재 권1과 권3 및 권6만 전한다 세종 2년(1456년)에 《구급방(救急方)》을 한문에
능통
하지 못한 일반 백성을 위해 한글로 번역한 책 주기율표 제1족 B에 속하는 구리 · 은 · 금의 3원소, 귀금속에 속하며 금속으로서 자연계에서 천연적으로 산출되고 광석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구리 와 ... ...
판타지 전쟁 2라운드 - 해리 포터와 반지의 제왕
과학동아
l
200301
인기리에 방영됐던 애니메이션 ‘스머프’에 등장하는 파파 스머프 역시 각종 마법에
능통
하고 스머프족의 의사 결정을 내리는 것으로 보아 드루이드로 볼 수 있다. 참고로 마법사가 사용하는 떡갈나무 지팡이는 고대의 드루이드가 갖고 있던 권위의 상징이었다고 한다. 그러나 기독교의 전파와 ... ...
세계사를 바꾼 날씨
과학동아
l
200210
시대까지를 다룬 1권과, 근대에서 현대까지를 다룬 2권으로 구성돼 있다. 천문과 역술에
능통
한 사람이 국가의 중요 정책을 돌보았던고대에서 첨단기계와 위성통신으로 대기의 흐름을 알게된 현대에 이르기까지 국가의 운명과 정세의 움직임을 바꿔 놓은 날씨 얘기가 흥미진진하게 펼쳐진다.한겨울 ... ...
화성에서 발견된 얼음 저수지
과학동아
l
200209
것으로 현재 권1과 권3 및 권6만 전한다 세종 2년(1456년)에 《구급방(救急方)》을 한문에
능통
하지 못한 일반 백성을 위해 한글로 번역한 책 주기율표 제1족 B에 속하는 구리 · 은 · 금의 3원소, 귀금속에 속하며 금속으로서 자연계에서 천연적으로 산출되고 광석에서 용이하게 얻을 수 있다 구리 와 ... ...
위대한 과학자의 실패한 사랑 아인슈타인
과학동아
l
200205
영향을 줬다는 점을 들 수 있다. 그리고 밀레바는 아인슈타인이 특히 취약했던 수학에
능통
해 대학 때의 동료인 그로스만과 함께 상대성 이론이 안고있는 복잡한 수학 문제를 풀어준 주인공이었다는 것이다.밀레바는 또한 1897부터 1898년까지 하이델베르크에 머물면서 독일 물리학자 필립 레나드의 ... ...
김대건 신부 생전 얼굴 복원
과학동아
l
200107
의학이 철학이나 예술과 분리되지 않았던 그 당시는 대부분의 조각가가 해부학 지식에
능통
했다. 따라서 이들 작품은 의학적 관점에서 인체의 비율을 정확히 표현했다. 이 때문에 우리는 그들의 조각상을 볼 때 예술적 가치를 넘어 크게 감탄하는 것이다.남자와 여자의 머리뼈 차이이러한 ... ...
수학이 숨쉬는 곳 슈퍼마켓
과학동아
l
200008
숫자’라는 수학 언어를 접하게 되고, 이런 수학 언어의 문법(수의 계산 법칙)에도
능통
해야 한다. 구구단만큼 흥미롭고 누구나 알고 있을 정도로 인기있는(?) 노래가 또 있을까.사실 수학 언어는 우리 삶 속에 매우 깊이 파고들어와 있기 때문에 자연 언어와 다를 바 없는 상태가 됐다. 더구나 ... ...
공룡 되살리기
과학동아
l
200005
평범한 사람이 아니다.단순히 고생물학에
능통
하다고 해서 훌륭한 공룡학자가 될 수 없다.화석을 찾아 오지를 마다않고 달려가는 모험심,탐정의 상상력과 추리력,그리고 장인의 손재주를 두루갖추고 있어야 한다.공룡을 연구하기 위해서는 여러가지 특별한 기술이 필요하다. 동물 신체의 구조와 ... ...
3. 생물학 교과서 다시 써야 심해생물 1천만종 넘는다
과학동아
l
199603
다른 장소에서 다시 해보는 데는 많은 시간이 걸렸다. 게다가 심해생물의 계통학에
능통
한 생물학자가 거의 없었기 때문에 채집한 표본이 무엇인지 알아내는 것도 힘들 때가 많았다.1970년대에 들어서서 심해탐사는 대서양과 태평양의 많은 새로운 장소로 확장됐다. 이 연구들 역시 놀라운 결과를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