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동시"(으)로 총 1,197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로보트 태권 브이를 만나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4
- 10가지 과학 기술들에 대한 설명을 들을 수 있어요. 또 가상게임으로 태권브이를 출동시킬 수도 있지요.만화 영화 속 태권브이는 키가 56m이고, 몸무게가 1400t인 거대 로봇이에요. 이렇게 거대한 태권브이가 악의 무리와 싸우기 위해서는 많은 에너지가 필요해요. 그 정도로 큰 힘을 실제로 만들기 ... ...
- [엄상일 교수의 따끈따끈한 수학] 카멜레온 매력 지닌 프런클의 추측수학동아 l201704
- 이상 합집합을 만들어도 새로 생기는 집합이 없도록 만들었으니 웬만하면 절반 이상에 동시에 속한 원소가 있을 거라고 생각하기 쉽습니 다. 하지만 이 문제는 40년 가까이 미해결 난제입 니다. 그래도 몇몇 경우에 참이라는 것이 밝혀졌 습니다. 그 중 일부만 소개하면 다음과 같습니다. 직접 ... ...
- 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수학동아 l201704
- 왜 그런지 자세히 살펴볼게요.주사위 A와 C로 대결을 벌인다고 가정해요. 주사위 2개를 동시에 던졌기 때문에 두 주사위 눈의 합을 확률로 나타내면 오른쪽 표와 같아요.▼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Intro. 워렌 버핏도 빠졌다! 필승 주사위Part 1. 물고 물리는 필승 주사위Part 2. 주사위로 즐기는 ... ...
- Part 2. 2017 구제역 전파 원인은?과학동아 l201703
- 구제역 바이러스는 혈청형이 A형인 것으로 드러났다. 거의 같은 시기에 O형과 A형이 동시 발생한 것은 이번이 처음이다. 또한 초기에는 구제역 백신을 맞은 뒤 항체가 생긴 비율(항체 형성률)이 지극히 낮았던 것으로 밝혀지면서 농가마다 백신 접종을 소홀히 한 것이 아니냐는 얘기가 나왔다. 하지만 ... ...
- [Issue] 범죄 피해자의 뇌 연결성 회복으로 치유한다과학동아 l201702
- 뇌과학에서는 어느 한 부위가 활성화돼서 특정 기능을 하는 것이 아니라, 여러 부위가 동시에 작용한 결과라는 것이 속속 밝혀지고 있다. PTSD 역시 편도체와 시상, 뇌섬엽, 해마, 복내측전전두피질 등 다른 부위와의 연결망을 분석해 뇌 전체적인 관점에서 이해하려는 연구가 활발하다.강력범죄 ... ...
- [Career] 건담 로봇 마니아, 건담보다 어려운 연료기술에 도전하다과학동아 l201702
- 전혀 예측할 수 없는 운동을 하며 뿜어져 나온다. 다상 난류 운동은 두 개 이상의 상이 동시에 예측할 수 없는 움직임을 보이는 운동을 말한다.“어떻게 어려운 분야들을 합쳐놓은 연구를 선택했냐”는 기자의 물음에 박 교수는 “우리나라에서 유체역학을 연구하는 사람들이 하지 않는, 아주 새로운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수 있을 것이다. 기능영상이나 대사영상 등 다양한 부가 기능이 결합되거나, 영상을 찍는 동시에 실시간으로 병변을 치료하는 영상-치료 융합기기로 발전할 가능성도 높다.지금은 진단을 내릴 때 장기 이름에 병리학적 변화를 반영하는 설명을 붙인다. 하지만 미래에는 지금보다 훨씬 정확하게 병의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SSG와의 첫 대결어린이과학동아 l201701
- 태양 주위를 공전하는 동시에 스스로 자전해요. 이때 자전축은 공전 궤도면에 수직인 선보다 23.5° 기울어져 있답니다. 그래서 공전하는 동안 태양빛을 많이 받는 지역이 계속 바뀌게 돼요.예를 들어 6~8월 사이에는 우리나라가 위치한 *북반구가 태양 쪽으로 기울어져요. 그래서 북반구 중위도 지역은 ... ...
- [Career] 줄기세포 배달하는 초소형 로봇 탄생과학동아 l201701
- 마이크로 로봇을 제작하고, 그 안에 세포가 자랄 수 있는 환경을 만들어 주는 동시에 로봇을 제어하는 연구까지 했다. 거듭된 실패 끝에 탄생한 줄기세포 배달 로봇연구팀은 세포나 약물을 담을 수 있고, 액체 속에서 움직이기 쉬운 자성을 띤 구조물을 만든 뒤 그걸 자기장으로 조종하겠다는 계획을 ... ...
- Part 1. 사진, 우주 관측의 새 시대를 열다수학동아 l201701
- 그렇다면 사진을 찍을 수 없던 시기에 천문학자들은 어떻게 기록했을까. 천문학자인 동시에 화가가 되는 수밖에 없었다.문제는 관측자의 그림 실력에 따라 기록물이 천차만별이었을 가능성이 높다는 것이다. 오류나 왜곡이 있을 가능성이 높아 객관성이 떨어졌다. 예를 들어 이탈리아의 천문학자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