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뒤쪽"(으)로 총 458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동아클리닉] 거꾸로 교실에 담은 행복수업수학동아 l201609
- 0°, 45°, 60°, 90°의 삼각비는 바로 말할 수 있어야 하고, 20°의 삼각비는 교과서 맨 뒤쪽의 삼각비표를 보고 읽을 수 있어야 통과한다는 규칙을 꼭 지킬 것!거꾸로 땅따먹기 각 모둠은 특정 범위 내에서 2~3문제를 내고 문제마다 상·중·하로 난이도를 매긴다. 난이도 상 문제를 내면 15cm×15cm의 땅을, ... ...
- [News & Issue] 침식? 풍화? “독도는 이상무”과학동아 l201609
- 돌멩이도 가득 쌓여 있었다. 낙석으로 흘러내려온 것들이었다. 특히 서도 주민 숙소 뒤쪽에 있는 사면은 암반의 균열과 절리가 심해서 한 눈에도 움푹 패여 보였다. 이성순 지질연 국토지질연구본부 선임연구원은 이런 서도 사면을 가시광선 및 근적외선 초분광 분해기를 장착한 카메라로 촬영했다. ... ...
- [지식] 수학과 물리, 두 마리 토끼 잡기에 나서다!수학동아 l201608
- 문제가 너무 안 풀려서 고통스럽다나. 그는 문제를 풀 아이디어를 떠올릴 때보다도 논문 뒤쪽을 가득 메우는 계산이 힘들다고 밝혔다. 보통 부등식을 풀어야 증명이 끝나는데, 이를 해결하기가 쉽지 않다는 것이다. “보조정리 하나만 증명하면 되는 시점이 와요. 그때쯤 되면 머릿속에서 수십 개의 ... ...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 기자단] 척추 교정 클리닉어린이과학동아 l201608
- 원래는 걸을 때 발바닥에 압력이 골고루 가해져야 하지만, 두 사람 모두 발바닥의 뒤쪽과 앞쪽만을 이용해 걷는 것으로 나타났어요. 그러면 사용해야 할 근육을 제대로 사용하지 못해 몸의 균형이 깨지기 쉽지요. 다행히 두 기자의 척추측만증은 아직 초기 단계였어요. 만약 이 사실을 모르고 계속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08
- ”라고 묻자 권 소장은 “작은 컴퓨터가 달려있다고 생각하면 된다”고 답했다. 베스트 뒤쪽에는 이동식 컴퓨터가 달려있는데 그 내부를 뜯어보면 실제 일반 컴퓨터와 유사하다. 작동 중에 발생하는 열을 식히기 위해 팬(Fan)도 달려있다. 베스트는 사용자의 움직임을 좀 더 정밀하게 감지할 뿐만 ... ...
- Part 2. 생활에서도 스포츠 컨디셔닝하라과학동아 l201608
- 얘기야. 역도는 균형이 중요한데 잘못하면 바로 부상이야. 오른쪽 다리 근육, 그중에서도 뒤쪽을 키워주는 훈련을 더 열심히 해야 해.” 이희종 연구원의 말에 선수들은 여느 국가대표 못지않게 진지했다.분석은 이것으로 끝나지 않았다. 선수들이 센터를 떠나면 연구원들은 추가 분석을 한 뒤, 또래 ... ...
- [News & Issue] 지카 잡으러 총출동한 과학자들과학동아 l201606
- 쏜다. X선은 결정과 충돌하면서 흩어지고 우리는 이 흔적을 측정할 수 있다. 단백질 결정 뒤쪽의 평면에 산란된 모양을 수학적인 방법을 통해 3차원으로 바꿔 구조를 알아낸다.지카바이러스에도 X선 결정법이 사용됐다. 숙주세포를 활용해 유전정보를 복제할 때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NS1 ... ...
- [News & Issue] NASA 비행기가 한반도에 뜬 이유는?과학동아 l201606
- 실제로는 빛이 수십 차례 반사되면서 기체를 10km 이상 통과하는 효과를 낸다.비행기 맨 뒤쪽에는 비행기를 관통하는 커다란 라이더 망원경이 있었다. NASA 랭글리연구센터 조나단 헤어 연구원은 “펄스 레이저광을 위, 아래로 발사하고 대기 중 입자에 의해 산란돼 들어오는 빛을 분석해 오존과 ... ...
- [퍼즐탐정 썰렁홈즈] 천재 골키퍼 ‘ 메시라도 다마가’어린이과학동아 l201605
- 잡아야 위로 올라갈 수 있을까? Mission 3. 공이 움직이는 모양은?천장 위로 올라가자 저 뒤쪽으로 쇠창살 감옥이 나타났다. 그런데 쇠창살 감옥으로 가기 전, 먼저 거대한 구조물이 썰렁홈즈 앞을 가로막고 있었는데…. 이때 여전히 모습은 보이지 않은채 메시라도 다마가의 목소리만 들려왔다.“그 ... ...
- [Knowledge] 공룡의 그늘 밑에서 살아 남아라!과학동아 l201604
- 가졌다. 오늘날의 고양이처럼 송곳니를 이용해 몸집이 작은 척추동물을 붙잡고, 주둥이 뒤쪽에 나있는 강한 어금니로 껍질이 단단한 곤충이나 열매를 깨먹었을 것으로 추정된다. 몇몇 과학자들은 파카수쿠스가 오늘날의 작은 식육류(개와 고양이)처럼 살았을 것으로 보고 있다.대리출석을 하게 된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