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끈
장식띠
띠
실
줄
끄나풀
테이프
d라이브러리
"
리본
"(으)로 총 74건 검색되었습니다.
우주엘리베이터
과학동아
l
201012
탄 팀이 나왔다. ‘레이저모티브’가 개발한 로봇은 1km 상공에서 수직으로 늘어뜨린
리본
을 타고 900m까지 오르는 데 성공했다. 국내에서는 항공우주연구원과 한양대 건설환경공학과가 관심을 갖고 있다.우주엘리베이터라는 개념은 언제부터 나왔을까. 1895년 러시아의 과학자 콘스탄틴 ... ...
체조에 만점이 없는 수학적 이유
수학동아
l
201011
곤봉 없는 2010년리듬체조는 1명이 4종목의 연기를 펼친다. 2년마다 줄, 후프, 공, 곤봉,
리본
등 5종목 중 하나를 돌아가며 빼기 때문이다. 지난해부터 올해까지는 리듬체조에서 곤봉이 빠진다. 내년에는 줄이 빠질 예정이다.최선만 있을 뿐 만점은 없다“10점 만점에 10점.” 체조 선수의 꿈인 10점 만점 ... ...
한국 수학 필즈상에 도전장 내다
과학동아
l
201010
않은 패션 감각으로 대회 내내 최고의 인기를 누렸다. 시상식에는 깔끔한 정장에 빨간
리본
을 목에 매고 왼쪽 어깨에는 거미 브로치를 달았다. 마침 뒤에 앉아 있던 프랑스 기자가 “프랑스 수학계의 패셔니스타로 언제나 거미 브로치를 달고 다닌다”고 설명했다. 빌라니 교수에게 거미 브로치를 ... ...
2014년을 향해 우리나라 수학자가 달린다
수학동아
l
201009
패셔니스 타라고 불리더군. 이날도 특이한 의상으로 주목을 받았어. 갈색 정장에 빨간
리본
을 메고 옆에는 거미 브로치를 하고 나왔거든. 이유는 모르겠는데 항상 거미 브로치를 하고 다닌대. 필즈상 수상자의 자세한 업적은 다음 호를 기대해 줘.▼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수학을 여는 열쇠 ... ...
차세대 나노소자용 ‘반도체 나노결정 도핑 기술’ 개발
과학동아
l
200912
핵입자는 서로 달라붙으면서 두께가 나노미터 단위인 나노
리본
을 만들었다. 나노
리본
은 차세대 반도체 나노소자를 개발하는 데 이용될 것으로 기대되는 재료다.현 교수는“전기적, 광학적으로 나노미터 단위의 반도체를 제어할 수 있는 이 기술을 활용하면 자성과 전자를 이용해 데이터를 저장하는 ... ...
공약수 맛보기!
수학동아
l
200909
보자. 두
리본
의 차는 3cm다. 이 3cm의
리본
을 단위로 해서 두
리본
을 재어 보자. 만약, 두
리본
모두 3cm로 잴 수 있다면 둘 다 3의 배수이고 3은 24와 27의 공통 인 약수다.아하, 드디어 찾았다! 3은 24와 27의 약수다. 그런데 3보다 더 큰 수로 나누어떨어지게 할 수 없으므로 3은 이 ...
연필심에서 발견한 꿈의 나노 소재 그래핀
과학동아
l
200905
화학적 특성을 분석하고 기능화하는 일도 중요하다. 예를 들어 그래핀으로 만든 나노
리본
의 가장자리에 질병을 일으키는 특정 생체분자가 결합할 경우 미세하게 전자의 분포가 변한다. 이때 그래핀에서 전류를 측정하면 변화값이 매우 크게 나타나기 때문에 특정 분자를 인식하는 바이오센서로 ... ...
무지개빛 프리지아 부케를 아시나요
과학동아
l
200903
Purple Ribbon)도 인상적이다. 자주색 꽃이 10여 송이 연달아 피어 있는 모습이 마치
리본
을 묶어 놓은 것 같다. 이 품종은 꽃 빛깔도 예쁘지만 여러 송이가 한꺼번에 피어 있는 게 가장 큰 장점이다. 보통 프리지아를 보면 아래쪽의 꽃 몇 송이만 펴 있고 위쪽은 봉오리 진 채 매달려 있다가 끝나는 경우가 ... ...
‘에코패션’ 시대 열렸다
과학동아
l
200902
섬유다. 면섬유의 단면을 살펴보면 평편한 관 모양이고 중앙에 구멍이 있으며 측면은
리본
모양으로 꼬여있다. 면섬유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OH)가 물과 결합하는 성질이 있어 피부의 땀이나 오염물을 빨리 흡수해 입으면 쾌적하며, 정전기가 잘 일어나지 않는다.최근에는 면화의 색을 결정하는 ... ...
은수저의 비밀
과학동아
l
200902
보관할 때도 효과적인 방법이다.그냥 두면 녹이 슬어 산화철로 변하는 쇠못을 마그네슘
리본
으로 싸 놓았을 때도 같은 현상이 관찰된다. 마그네슘(Mg)이 쇠못의 주성분인 철(Fe)보다 이온화경향이 커 마그네슘이 산화하면서 내놓은 전자를 철이 계속 가져가기 때문에 마그네슘으로 싸놓은 부분의 철은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