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명확
명석
명백
d라이브러리
"
명쾌
"(으)로 총 222건 검색되었습니다.
중력 법칙을 위반한 군번줄
과학동아
l
201402
떨어트리면 분수처럼 위로 솟아올랐다. 이 신기한 현상의 원리를 다들 궁금해 했으나
명쾌
하지 않았다. 최근에야 그 ‘정답’을 영국 캐임브리지대 캐밴디시 연구실의 존 비긴스 박사 연구팀이 ‘왕립학회보A’ 1월 15일자에 발표했다.군번줄이 바닥으로 떨어지는 이유는 당연히 중력이다. 그렇다면 ... ...
양자역학이 무거워?
과학동아
l
201402
‘공간과 중력에 관한 이론’이라는 한마디로 정의는 할 수 있다. 이론의 창시자도
명쾌
하다. 아인슈타인이라는 천재 한 명이니까. 하지만 양자역학은 다르다. 대상이 되는 ‘양자’라는 말 자체가 이미 직관을 넘어섰다. 이론을 만든 사람으로 넘어가면 팽팽 돈다. 대표적인 연구자만 해도 축구 ... ...
서울공대 카페 12 건설환경공학부 김호경 교수
과학동아
l
201312
그 지역에서 30년 간 사업권을 확보하는 식이지요.”김 교수는 건축과 건설의 차이점을
명쾌
하게 설명했다. 대형건설사업의 경우 투자비를 언제 어떻게 회수할 수 있을지 계산하는 것도 중요해서, 건설관리 전공에서는 경영이나 경제도 함께 공부한다고 했다. 내친 김에 어떤 학생이 들어왔으면 ... ...
꼬리칸에서 생존하는 법
과학동아
l
201309
있는 것이 더 현명한 결정일 수 있다”고 말했다.설국열차는 왜 달리는 것일까. 영화는
명쾌
한 답을 주지 않는다. 김보영 작가는 “체제의 전복을 막기 위한 수단이 아닐까요?”라고 조심스레 말했다. 열차가 달리고 있기 때문에 꼬리칸 승객들은 군인들이 지키고 있는 문을 통과하지 않고서는 다음 ... ...
[매스미디어] 너의 목소리가 들려 죄수의 딜레마로 범인을 밝혀라!
수학동아
l
201308
그 상황을 말렸다. 칼로 찌른 사람은 강도 살인죄★, 말린 사람은 특수 절도죄★로
명쾌
한 사건 같지만 그럴 수가 없다. 두 사람은 얼굴이 똑같이 닮은 쌍둥이 형제라서 누가 누군지 가려낼 수 없기 때문이다. 게다가 쌍둥이 형제는 처음에 서로 자신이 찔렀다고 주장을 하다가, 이후에는 서로 자신이 ... ...
[생활] 데카르트가 들려주는 무지개 이야기
수학동아
l
201307
생기는 원리에 대해 토론하고 연구했지만, 1610년대 초반까지 무릎을 탁 칠 만한 ‘
명쾌
한 해답’은 그 누구도 내놓지 못하고 있었어요.그 당시 과학자들은 빛이 공기에서 물과 같은 다른 성질의 매질로 들어갈 때 일어나는 굴절 현상을 연구했습니다. 그 속에 들어 있는 수학적인 규칙성을 밝혀내기 ... ...
[특별인터뷰] 방송도 수학처럼
명쾌
하게! 서울대생 최정문
수학동아
l
201306
안 좋을 때도 있었지만, 수학에 대해 느끼는 매력은 여전했기 때문이다.“다른 과목보다
명쾌
하다는 점이 매력적이에요. 미술 같은 분야는 뛰어난 미술가의 작품이라고 해도 보는 사람에 따라서는 이해하기 어려운 낙서일 뿐일 수도 있잖아요? 하지만 수학은 문제에 대한 답과 그 이유가 ... ...
PART 3. 구글의 눈으로 보는 세상
과학동아
l
201304
않다면 돈이 많아서 하는 것이냐고요. 어찌 보면 멍청한 질문이지만 돌아오는 답은
명쾌
했습니다. 구글은 자동차를 만드는 것이 아니고 자동차가 스스로 판단할 수 있는 시스템을 만드는 것이라는 거죠. 구글처럼 계산과학과 컴퓨터에 정통한 기업이 가장 잘 할 수 있다는 얘기입니다. 결국 데이터 ... ...
PART 3. 중력이 수상하다
과학동아
l
201303
우주 어디에서나 똑같다고 어떻게 보장할 수 있을까.아인슈타인은 이 문제에 대한
명쾌
한 답을 내놓지 않았다. 오늘날의 과학자들도 일부분만 확인했을 뿐이다. 지구에서 행한 실험과 관측 결과를 보면, 대략 mm 단위부터 태양계의 크기 사이에서는 휘어지는 정도가 일정하다. 아인슈타인은 제한된 ... ...
Let's MATH PARTY!
수학동아
l
201302
초청강연이 되겠습니다. 한태웅 박사는 올해 60년 동안 풀리지 않았던 램지수 부분을
명쾌
하게 증명함으로써, 조합론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논문에 수여되는 풀커슨상을 수상하셨습니다.램지수는 쉽게 얘기하자면 큰 집단에서 공통 특성을 갖는 작은 집단을 찾을 수 있느냐 없느냐에 관한 문제라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