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세균
bacteria
미생물
병원균
미소동식물
미균
d라이브러리
"
박테리아
"(으)로 총 753건 검색되었습니다.
[Future] ‘ 노래하는 장미’ 나올까 전자 부품이 된 식물
과학동아
l
201704
식물이 실시간으로 토양 유해물질을 감시하는 센서 역할을 하는 것이다. 이전에도
박테리아
를 이용하거나, 유전자를 조작해 유해 물질을 감지하는 바이오센서는 있었지만(과학동아 2016년 5월호 특집기사 참조), 확인하는데 수 시간에서 하루가 걸렸다.전광판 대신 빛나는 축구장 잔디 나올까식물을 ... ...
[과학뉴스] 속닥속닥~,
박테리아
의 대화를 엿듣는 아메바
어린이과학동아
l
201701
구별해 즐겨 먹지 않는
박테리아
가 화학물질을 분비하면 활동성이 줄어들고, 좋아하는
박테리아
의 화학물질에는 활동성이 높아진 거예요.연구를 이끈 크리스틴 슐츠봄 박사는 “이번 연구는 어둡고 미로 같은 흙 속에 사는 원생생물이 어떻게 먹이를 찾는지 알아냈다는 점에서 의미가 있다”고 ... ...
우주인 똥 치우기 대작전!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4
화성에서 건축 재료를 만드는 방법을 연구하고 있다. 지구에서 데려간 유전자 변형
박테리아
를 오줌에 섞으면 흙을 모아 굳히는 성분이 생겨난다. 이 오줌을 화성 토양과 섞어 단단하게 굳히면 벽돌로 쓸 수 있다.3. 식량과 산소로 바꾸기사람의 배설물에는 미처 소화되지않은 영양분이 남아 있다. ... ...
Part 4. 기계와 생물의 결합,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
어린이과학동아
l
201623
아직까지는 사람이 마이크로 로봇의 모든 것을 만드는 데에는 한계가 있어. 그래서 등장한 것이 바로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이란다.생물 + 기계 = 바이오 마이크로 로봇바이오 마이크로 로봇은 한마디로 생물의 능력을 빌린 마이크로 로봇이에요. 생물들은 에너지를 가장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 ...
Part 3. 유물에서 역사를 읽어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618
구멍이 생기기도 하거든요.특히 나무 유물의 경우 보이지 않는 구석구석에 미생물이나
박테리아
에 의해 생긴 미세한 구멍이 있을 수 있어요. 이 구멍을 그대로 방치하면 나무가 휘어 원래의 모습대로 이어붙이기가 어렵답니다. 현재는 ‘PEG’라는 수용성 합성수지 물질을 사용해 구멍을 메우고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
과학동아
l
201612
라는 질염 유발
박테리아
가 급증하면서 약제를 흡수하기 때문이라고 밝혔다.다행히 두
박테리아
는 질내 산도(pH)를 높이기 때문에 빠르고 간단하게 진단할 수 있다. 압둘 카림 국장은 “(콘돔 같은)기존의 HIV 감염 예방법과 함께 여성들의 세균성 질염을 치료하는 전략을 병행하면 HIV 전파를 막는 데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
과학동아
l
201612
수분이 바깥쪽으로 빠져나가지 못하고, 공기가 부족해지면서 결국 부패를 돕는 호기성
박테리아
가 활동할 수 없게되기 때문이다. 이런 상황에서 시체의 체지방은 수분과 화학반응을 일으켜 녹다 만 버터처럼 물컹거리고 미끈미끈한 시랍(Adipocere)으로 변형되기도 한다. 시랍은 주변 환경의 영향을 ... ...
[과학뉴스] 초기 지구를 데운 건 메탄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1611
스테파니아 올슨 연구원은 “과거 기후 모델은 대부분의 메탄가스가 바닷속
박테리아
의 활동으로 만들어진다는 사실을 무시했다”며 “암석이 깨지면서 강과 바다로 흘러든 황산염 성분 때문에 메탄가스가 덜 생성되거나, 생성되더라도 황산염과 반응해 가라앉으면서 대기 중으로 나가지 못했을 ... ...
[Knowledge] 그들은 왜 몸집을 줄였을까
과학동아
l
201611
결과를 발표했다(PLOS 생물학 2009년 6월 16일자). 새들의 깃털은 자외선에 계속 노출되고
박테리아
에 오염되면서 비행성능이 떨어진다. 털이 군데군데 빠진 배드민턴 공이 멀리 나가지 못하는 것과 같은 원리다. 따라서 주기적으로 털을 갈아줘야 한다.연구팀은 새의 종류별로 몸무게와 깃털의 길이, ... ...
[Knowledge] DNA 검사는 정말 만능 열쇠일까?
과학동아
l
201611
세포 속의 DNA 역시 원래의 형태를 유지하지 못하고 부서진다. 특히 습기가 많은 환경 등
박테리아
활동이 활발한 환경에서는 DNA가 더 빨리 파손된다. 그 결과 어떤 염기가 어떤 순서대로 배열돼 있었는지 복구가 불가능해진다. 특히 세포 하나에 하나 밖에 없는 핵 DNA는 몇 십 년만 지나도 온전히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