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방향"(으)로 총 4,844건 검색되었습니다.
- [수학뉴스] 수학으로 탄생한 ‘인생샷’ 제조 앱수학동아 l201709
- 앱을 만들기 위해 먼저 3차원 가상 모델 6명을 만든 뒤 얼굴의 각도와 크기, 빛의 방향을 달리하며 셀카 수백 장을 가상 카메라로 찍었어요. 그리고 2700명에게 좋은 사진과 나쁜 사진, 애매한 사진을 3개씩 선택하게 했어요. 그 결과를 토대로 얼굴의 크기와 위치, 광원의 위치가 어떨 때 좋은 사진으로 ... ...
- Part 3. 우주는 한 개가 아니다?수학동아 l201709
- 이론에 이를 더하면 온도가 균일했던 초기우주가 순식간에 너무 커져버려 우주의 모든 방향에서 날아온 우주배경복사가 거의 같은 온도라는 게 설명된다. 그런데 급팽창 이론에 따르면 우주 공간의 다양한 지역에서 급팽창이 끊임없이 일어날 수 있다. 즉 우리 우주가 생겨난 것 같은 과정이 ... ...
- [Issue] 유전자 가위 둘러싼 세기의 ‘특허 전쟁’ 2라운드 돌입과학동아 l201709
- 밝혀지면 상대방의 특허가 등록됐다 하더라도 무효화시킬 수 있다. 하지만 분쟁의 방향은 UC버클리 측 예상과는 다르게 흘렀다. 특허 심판관들이 저촉심사를 할 필요가 없다고 판단한 것이다. 이유는 양측의 기술이 전혀 다르다는 것이었다. 제니퍼 다우드나 UC버클리 교수팀이 2012년 과학 학술지 ... ...
- [Future] 생체 이식 칩의 진화, 내 안에 ‘칩’ 있다과학동아 l201709
- 센스(north sense)’를 만들었다. 몸이 북쪽을 향할 때마다 이 장치가 진동으로 알려줘서 방향을 감지할 수 있게 한다. 바이오해커들 사이에선 손가락 끝에 자석을 이식하는 것도 유행이다. 손가락 끝에 작은 자석을 이식하면 손가락으로 주변 전자기기를 느끼거나, 클립과 같은 철로 된 작은 물체를 ... ...
- [Origin] 강의실 밖 발생학 강의과학동아 l201709
- 가진 세포로 분화하는 과정에는 여러 가지 기작이 관여합니다. 한 예로 세포의 분화 방향이 주변 세포에 의해 결정되는 유도기작이 있죠(2017년 8월호 ‘세포, 친구따라 강남 간다?’ 참조). 그런데 유도만큼 중요한 것이 또 있습니다. 바로 ‘형태형성물질’입니다. 이 하나의 인자가 세포 여러 개의 ... ...
- [Career] 생체시계와 치매 그 관계에 대하여과학동아 l201709
- 보다는 다양한 상상력을 발휘해야 할 필요가 있다. 가령 DNA의 이중나선이 왜 서로 반대방향으로 꼬여 있는지에 대한 답을 특정 전공 서적이 아니라 생화학, 생물리학, 분자생물학, 유전학 등 여러 가지 생물학적 관점으로 접근해 설명해보려는 노력이 필요하다. 진로 신생 연구실인 만큼 아직 ... ...
- [김종락 교수의 보드게임 페스타] 페그 솔리테어의 필승 전략 클라인 4원군!수학동아 l201709
- x, y, z 중 하나로 나타내요. 연속한 세 구멍은 서로 다른 문자로 대응해야 하며, 오른쪽 위 방향으로 대각선을 그었을 때 같은 문자여야 해요. 그러면 x, y, z와 숫자 0은 다음과 같은 덧셈 연산을 만족한답니다. ㅜ대수학에서는 이를 ‘클라인 4원군’이라고 불러요. 이제 페그 32개를 가운데 구멍을 뺀 ... ...
- [과학뉴스] 프린터로 출력한 종이칩으로 질병을 진단한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09
- 이동시킬 수 있는 회로를 출력해 종이칩을 만들어요. 회로에는 혈액의 이동 시간과 이동 방향을 제어할 수 있는 프로그램이 입력돼 있지요. 이 종이칩에 혈액 한 방울을 떨어뜨리고, 전압을 걸면 혈액이 회로를 따라 조금씩 이동해요. 그 결과, 혈액이 여러 갈래로 갈라지며 다양한 진단 시약과 ... ...
- [과학뉴스] ‘얼음 행성’ 깊숙한 곳 구조는…과학동아 l201709
- 주요 구성 요소라는 사실을 밝혔다”며 “이번 연구 결과는 향후 얼음 행성의 연구 방향과, 새로 발견하는 행성 분류에 영향을 줄 것”이라고 밝혔다. 이번 연구 결과는 ‘미국국립과학원회보(PNAS)’ 8월 7일자 온라인판에 실렸다. doi:10.1073/pnas.170624411 ... ...
- [Photo] 천연 내비게이션, 자철석과학동아 l201709
- 정보만 있으면 휴대전화로 쉽게 길을 찾아갈 수 있지만, 이런 길잡이가 없었던 과거에는 방향을 확인하기 위해 자철석으로 만든 ‘천연 내비게이션’인 나침반을 썼다. 자철석 중에는 ‘길을 찾는 돌’로 불리는 로드스톤(lodestone)이라는 천연 자석도 있다. 자철석이 천연 내비게이션 역할을 할 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