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재배
양성
경작
양식
교화
수예
사육
d라이브러리
"
배양
"(으)로 총 659건 검색되었습니다.
[Career] 나노물질과 인체의 ‘궁합’ 봅니다
과학동아
l
201612
이 샘플을 받은 김 책임연구원팀은 1년 동안 세포 실험을 반복했다. 신장 세포를
배양
한 뒤 다양한 농도로 양자점을 넣은 용액과 반응시켰다. 그런 뒤 세포와 엑소좀에서 나타난 현상을 분석했다.연구팀은 세포 내에서 유전자 발현을 조절하는 miRNA와 암 발생에 영향을 미치는 세포 내 단백질에 ... ...
[과학뉴스] 한강 발원지서 신종 ‘수질정화 미생물’ 발견
과학동아
l
201612
국내 담수 수계가 유용생물자원의 서식지로 가치가 있다는 것을 확인했다”며 “앞으로
배양
기술을 개발해 국내 담수 유용생물자원의 발굴과 기능성 생물소재 개발을 확대할 계획”이라고 말했다 ... ...
[과학뉴스] 인공 난자 탄생!
과학동아
l
201611
만든 뒤 원시 생식세포로 분화시켰다. 여기에 쥐의 배아에서 추출한 난소 세포를 섞어
배양
했다. 난자가 성장하려면 난소에 있는 지지 세포들이 필요하기 때문이다.그 결과, 원시 생식세포는 11일 뒤 성숙한 난자가 됐다. 연구팀은 이 난자를 다른 수컷 쥐의 정자와 인공수정 해 대리모 쥐에 ... ...
[News & Issue] 이산화탄소
과학동아
l
201609
공정 실증화기술을 이전했으며, 현재 한국지역난방공사에서 10t 규모의 미세조류를
배양
중이다. 심 교수는 “실험실에서 얻은 미세조류를 현장에서 바로 검증할 수 있는 시스템을 갖춘 것이 우리 팀의 장점”이라며 “2020년까지 100t 규모로 확대해 상용화하는 것이 목표”라고 말했다.연구팀이 ... ...
[포커스 뉴스] 유전자 가위 NgAgo 재현성 논란
과학동아
l
201609
NgAgo를 이용해 유전자를 자를 수 없었다는 내용이었다.한춘위 교수는 “내 연구실에서
배양
한 세포에서는 NgAgo가 분명히 작동한다”며 네이처와의 인터뷰에서 반론했다. 그리고 논문에 발표된 것보다 더 자세한 실험방법을 공개했다. 하지만 이 역시 작동하지 않는다는 게 과학자들의 반응이다. ... ...
[Knowledge] 파충류를 위한 커튼콜
과학동아
l
201608
나서서 가비알의 수를 늘리려 애쓰고 있다. 야생에서 채집한 알을 곧바로 동물원의 인공
배양
기로 이동시키고 있으며, 아기 가비알은 동물원의 철저한 보호를 받고 있다.외로운 조지의 작별 인사2012년 6월 24일 갈라파고스 제도에서 비보가 전해졌다. 핀타섬육지거북의 마지막 개체가 ... ...
[Tech & Fun] 우리 집 실험실 만들기 Lab Me Home
과학동아
l
201608
좁은 공간이지만 그래도 있을 건 다 있었다. 기본적인 시약과 기기는 물론 박테리아를
배양
한 흔적도 보였다. 대학이나 연구소가 아닌 곳에서 이런 장비를 본 것은 기자도 처음이었다. 대부분의 장비는 진스페이스가 직접 구입한 것이다. 줄리 박사는 “돈이 부족해 대부분 중고”라며 “그중에서도 ... ...
[과학뉴스] 에너지 만들고 돈 버는 ‘똥’ 실험실
과학동아
l
201607
두 기체는 각각 난방(메탄가스)과 녹조류
배양
(이산화탄소)에 쓰인다. 다 자란 녹조류가
배양
조 바닥에 가라앉으면 압착기가 식물성 기름을 짜내고, 이를 재처리해 바이오디젤을 만든다. 이 과정에 약 일주일이 소요되고, 1인당 200g씩 100명의 대변을 모으면 약 18명이 온수 샤워를 할 수 있는 정도의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
과학동아
l
201607
리케차 박테리아를 삼킬 때 필요했을 단백질이다. 다만 로키아르카이오타를 직접 분리해
배양
한 것이 아니라 유전자만 발견한 것이기 때문에 실제로 미토콘드리아가 없는 진핵생물의 조상이 어떤 모습이었는지는 여전히 추측만 할 뿐이다.두 조상을 토대로 이들이 어떻게 한 집에서 살게 됐는지도 ... ...
[Knowledge] 인간의 아바타, 실험에서 해방될 수 있을까
과학동아
l
201606
정상 간세포에 비해 약물대사효소의 발현과 활성이 상당히 낮은 수준이지만 실험실에서
배양
하기 쉽고 지속적으로 세포분열을 한다. 그 때문에 현재는 주로 이 세포를 이용해서 실험을 한다. 하지만 조금 더 온전한 간세포로 실험하기 위해서는 줄기세포를 도입할 필요가 있다.안전성평가연구소(KIT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