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분리도"(으)로 총 2,198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4. 토종 제빵효모 ‘빵 한류 시대’ 이끌까과학동아 l201706
- 프랑스에는 바게트, 이탈리아에는 치아바타, 멕시코는 토르티야가 있다면 한국을 대표하는 빵은 무엇일까. 주변 사람들에게 물어보니 “아마도 단팥빵”이라는 대답이 가장 많았다(‘아마도’라 할 만큼, 모두들 확신하지 못 했다). 기자도 비슷한 생각이었다. 수십 년 역사를 자랑하는 단골 빵집 ... ...
- Part 3. 마실물 만드는 별별 방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06
- 염생 식물인 맹그로브를 따라해 볼까?보통 식물들은 염분이 많은 땅에서는 살지 못해요. 그런데 맹그로브는 바닷물에서도 살 수 있어요. 그건 뿌리 덕분이랍니다. 뿌리가 염분을 들어오지 못하게 막고, 물만 흡수하는 거예요.이상준 포스텍 기계공학부 교수팀은 맹그로브 뿌리의 원리를 이용해 바 ... ...
- [Future] 새롭게 주목 받는 ‘환경 곤충’, 플라스틱 먹는 애벌레과학동아 l201706
- 사람들은 매년 1조 개의 폴리에틸렌(PE) 비닐봉지를 사용한다. 영국 시장조사 기관인 아이에이치에스마킷은 올해 전세계 PE 사용량을 9200만t으로 추산했다. PE 비닐봉지는 자외선이나 열에 의해 조금씩 분해되기는 하지만 완전히 분해되기 위해서는 최소 20년에서 길게는 수백 년이 걸린다. 그런데 최 ... ...
- [Future] 코끼리가 초속 6cm로 똥 누는 비결은?과학동아 l201706
- 오늘 아침에도 봤다. 하루라도 안 보면 보고 싶다. 더 오래 못 보면 미칠 것 같다. 미안하지만, 남편 이야기는 아니다. 차가운 도시 여자가 입에 담기엔 너무나 부끄러운 이야기, 바로 똥이다. 동물의 소화기를 연구하는 과학자들이 최근 ‘똥구멍의 물리학’을 밝혀내 화제다.※ 편집자주: 식사 시 ... ...
- [Photo] 마법의 돌 ‘녹지 않는 얼음’ 석영과학동아 l201706
- 흔히 아름다운 눈을 비유적으로 표현할 때 ‘수정처럼 맑은 눈’이라고 부른다.수정은 석영의 변종 광물 중에서도 불순물 없이 순수하게 결정을 이룬 것이다. 수정을 영어로 Rock Cry stal이라고 부르는데, Crystal은 그리스어로 얼음을 뜻하는 Krystallos에서 유래했기 때문에 바위 얼음 이라고 해석할 수 ... ...
- [Issue] 이게 맥주야? 커피야? 질소 커피의 인기 비결은?과학동아 l201706
- 질소 커피, 어떤 커피일지 예상이 가능한 이름이다. 이름처럼 질소를 주입한 커피다. 맥주에는 종종 질소를 주입해 크리미한(부드러운) 거품을 만들기도 하지만, 커피에 질소를 넣는 것은 최근에 처음 등장한 방법이다. 최근 이 질소 커피의 인기가 심상치 않다. 이디야 커피의 질소 커피는 출시 20일 ... ...
- [Future] 우주의 모든 유원지과학동아 l201706
- ◈김창규◈작가 및 번역가로, 2005년 과학기술창작문예 중편부문에 당선하며 작품 활동을 시작했다. 2 014년과 2016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대상, 2 015년 SF어워드 단편 부문 우수상을 수상했다. 여러 지면에 SF 단편을 실었으며, ‘뉴로맨서’, ‘블라인드 사이트’, ‘이중도시’ 등의 외서를 번역했다. ... ...
- [Issue] 최면, 어디까지 과학일까과학동아 l201706
- 정말로 최면에 걸릴까. 어릴 때부터 기자는 드라마나 영화를 보면서 주인공이 되는 상상도 많이 했고 그 주인공의 상황에 이입돼 눈물짓기 일쑤였다. ‘이번에 괜히 한번 해 봤다가 최면에 빠지면 어쩌지’하는 걱정도 있었다. 약간의 긴장감과 함께 지난 3월 31일, 서울 서초구 양재동에 있는 설기 ... ...
- [Career] 번개 구름 흉내 낸 나노발전기과학동아 l201706
- 우르르 쾅쾅! 천둥이 온 세상에 울리기 몇 초 전, 눈 깜짝할 사이에 미리 예고하는 손님이 있다. 번쩍번쩍 하늘을 가르는 번개다. 과학을 몰랐던 아주 오래 전 과거 사람들은 신이 노여워하는 것이라 생각해 번개는 공포의 대상이었다. 하지만 번개가 왜 치는지 알게 된 뒤 인류는 번개를 하나의 기상 ... ...
- Part 3. 암 치료, 두 가지 트렌드과학동아 l201706
- “우리는 암을 완전히 없앨 수 있는 방법을 알고 있다. 사람을 쥐로 만들면 된다.” 암유전학 분야 대가인 미국 존스홉킨스의대 버트 보겔스타인 박사가 지난 4월 미국암연구학회(AACR) 연례학술대회 기조연설에서 우스갯소리로 한 말이다. 실제로 쥐는 암으로 죽는 일이 거의 없다. 암 덩어리가 작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