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미스테리
무한량
불가해
수수께끼
신통력
d라이브러리
"
불가사의
"(으)로 총 141건 검색되었습니다.
제주도, ‘세계 7대 자연경관’으로 날개 달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123
선정하는 방법이 문제됐답니다. 하지만 이 재단이 2007년에 뽑은 ‘신(新) 세계 7대
불가사의
’의 현장에서 관광객이 60% 이상 늘었으니, 앞으로 제주도인 저를 찾는 관광객도 많아지겠죠?치명적인 매력이 뭔지 궁금해!이미 저는 세계에서 유일하게 2003년 생물권보전지역 등록, 2007년 세계자연유산 ... ...
명탐정 코난의 과학사건 X파일
어린이과학동아
l
201116
버뮤다, 그리고 푸에르토리코를 잇는 삼각형 모양의 지역으로 배나 비행기가 사라지는
불가사의
한 사고가 많이 일어나는 곳이다. 지난 2010년 호주 모내시대학교의 조세프 모니건 교수는 방귀의 성분이기도 한 메탄가스가 버뮤다 삼각지대에서 일어나는 사건들의 범인일 거라고 주장하는 연구 ... ...
세상을 움직이는 꽃가루의 춤
과학동아
l
201108
수분이 되는 과정도 하나도 알아내지 못했다. 그 대신 그는 현미경을 통해 아주 놀랍고
불가사의
한 현상을 보았다. 물방울 속에서 꽃가루 하나하나가 살아서 움직이고 있었다. 브라운은 꽃가루가 가장 기본적인 생명의 단위, 즉 ‘생명의 원자’일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했다.하지만 그는 곧 이 ... ...
PART 2 기하학과 천문학의 만남
수학동아
l
201008
7대
불가사의
, 치첸이트사쿠쿨칸 신전이 있는 치첸이트사는 2007년 세계의 새로운 7대
불가사의
에 선정됐다. 치첸이트사에는 쿠쿨칸 신전 외에도 신에게 바칠 제물을 뽑기 위한 경기장과 제물을 바치는 전사의 제단 등이 함께 있다.태양을 바라보는 스톤헨지 영국에는 이집트의 피라미드 못지않게 ... ...
여름바다의 낭만 등대의 모든 것
과학동아
l
201008
같은 근대적인 에너지원도 없이 밤새도록 불을 밝힐 수 있었다는 점 때문에 세계 7대
불가사의
로 꼽힌다.파로스 등대가 무기로 쓰였다는 전설도 남아 있다. 태양빛을 모아 항구 근처로 접근하는 적들의 배를 불태우는데 쓰였다는 것이다. 신빙성은 약하지만 빛을 멀리 보내기 위해 등대에 오목거울을 ... ...
7 안에 숨겨진 신비로움
수학동아
l
201007
한 의미를 더한 것이다. 2007년 7월 7일 7시 7분에는 한 민간단체에서 ‘신 세계 7대
불가사의
’를 발표하기도 했다.한편 미국의 클레이수학연구소는 2000년에 지금까지 풀리지 않았던 수학의 난제를 모아 ‘수학의 7대 난제’를 발표하기도 했다. 이처럼 ‘7대◯◯’은 대부분 미스터리하거나 신기한 ... ...
1971년 마샤 맥클린톡의 월경 동기화 현상 발견
과학동아
l
201006
몸 밖으로 분비돼 개체 사이의 의사소통에 관여한다”고 설명했다. 파브르가 관찰한
불가사의
한 현상은 암컷 나방이 분비한 페로몬 때문이었던 셈이다.우연히 참석한 강연에서 실험 아이디어 얻어1947년 태어난 마샤 맥클린톡은 1965년 미국 동부의 명문 사립여대인 웰즐리대에 입학했다. 이 대학은 ... ...
스님이 남긴 세 편지
수학동아
l
201005
64제곱이야. 말로 표현하거나 마음으로 헤아릴 수 없는 경이로운 상태를 뜻해. 세계 7대
불가사의
란 말도 이런 의미에서 나온 거야. 항하사는 10의 52제곱. 갠지스 강의 모래란 뜻이야. 모래알처럼 많다는 뜻이지. 그 밖에도 불경에는 큰 수를 나타내는 단어가 많이 있어. 이걸 한번 봐. 그럼 6개의 ... ...
생명의 비밀을 푸는 열쇠, 동적평형
과학동아
l
201004
| 2만 원오랫동안 예술과 건축, 음악에서 핵심적인 개념이었던 대칭은 수학에서는 지금도
불가사의
한 이론이다. 이 책은 고대 바빌로니아 시대부터 현대 물리학에 이르기까지의 대칭의 역사를 설명한다. 저자는 기묘하고 놀라웠던 수학 천재들에 관한 흥미로운 이야기와 함께 대칭이 어떻게 오늘날 ... ...
거꾸로 자라는 고드름의 비밀
과학동아
l
201001
기둥 형성미스터리 마니아들은 아쉽겠지만 마이산 역고드름은 과학으로 설명하기 힘든
불가사의
한 현상은 아니다. 또 마이산에서만 나타나는 현상은 아니다. 서양에서도 1990년대부터 ‘아이스 스파이크’라고 불러 왔다. 우리말로 바꾸면 ‘얼음 대못’쯤 될까.너무 기이한 현상이라 20세기 초부터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