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불결
부도덕
외설
부정
d라이브러리
"
불순
"(으)로 총 338건 검색되었습니다.
[이달의 사물] 천일염
과학동아
l
201510
유명한 황교익 씨가 최근 천일염에
불순
물이 들어있다고 문제를 제기해 소금 업계가 발칵 뒤집혔습니다. 바닷물을 바람과 햇빛으로 말린다고 해서 천일염(天日鹽)이란 이름이 붙은 소금, 정말 비위생적인 걸까요?천일염이 우리나라에 들어온 건 1907년입니다. 갯벌을 다져서 염전을 만들고 바닷물을 ... ...
상상력이 둥둥~! 인공섬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7
지하 수km까지 꽂을 수 있답니다.시추관으로 처음 캐낸 원유는 돌 조각이나 진흙 등
불순
물이 많이 섞여 있어요. 그래서 해양 플랜트 플랫폼을 세우고 바다 아래서 캐낸 석유를 1차로 가공하고 있어요. 해저에 단단하게 다리를 세운 뒤, 상판(데크)을 올려 바다에 간이 인공섬을 만드는 거지요 ... ...
Part 3. 빛이 있으라! 결정적 순간 5
과학동아
l
201507
그리고 수많은 섬유와 유리 물질을 시험했다. 몇 년간의 실험 결과 그는 섬유에 포함된
불순
물들이 빛 신호의 손실을 유발한다는 결론을 얻었다. 이를 통해 순도가 높은 이산화규소 유리로 섬유를 만들면 빛 손실이 적어서 100km가 넘는 장거리까지 빛을 전달할 수 있다는 것도 알아냈다. 그의 ... ...
자연이 빚은 아름다운 광물이 가득! 민자연사연구소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5
광물이에요. 일반적으로 무색 투명한 육각 기둥 모양의 결정을 만들지요. 하지만
불순
물이 섞여 보라색이나 분홍색 같은 예쁜 색을 내기도 한답니다. 바위 수정은 이 석영이 특이할 정도로 크게, 그리고 투명하게 자란 거였어요.한편, 손톱보다 작은 광물도 눈에 띄었어요. 바로 다이아몬드라고 ... ...
[과학뉴스] 과학자가 말하는 과학의 아름다움
과학동아
l
201505
평생 과학에 매혹돼 살아가는 사람들의 눈에는 과학이 어떻게 비칠까. 2월 5일 국가과학기술연구회가 주최한 사진콘테스트에는 정부출연연구원 과학 ... 연구위원은 콘크리트의 미세구조를 500배 확대했다(➍). 콘크리트가 굳을 때 생기는
불순
물(가운데 검은 원)마저도 예술적으로 보인다 ... ...
Part 1. 세 과학자의 이상한 물
과학동아
l
201504
깨끗한 액체를 흘려준다. 두 액체는 층류현상 때문에 서로 섞이지 않는다. 정액에 든
불순
물과 운동성이 낮은 정자는 반드시 들어온 채널의 출구로 빠져나간다. 반대로 활동성이 뛰어난 건강한 정자는 다른 채널로 넘어가기도 한다. 따라서 반대 출구에는 항상 건강한 정자만 모인다. 미국 미시건대 ... ...
화산재에 숨어 있던 도시 폼페이를 가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4
이미 11개의 도시에 수로가 완성됐지요. 주변의 샘이나 호수에서 물을 끌어와 침전지에서
불순
물을 가라앉힌 뒤, 저수조에 저장했어요. 마치 현재에도 건물 옥상에 있는 물탱크처럼 말이에요. 이렇게 저장된 물은 집집마다 들어와 생활용수로 사용됐답니다.폼페이 최후의 날쉿! 무엇인가 심각한 ... ...
[Knowledge] 3000t급 잠수함 장보고-III 산실, 육상통합시험장에 가다
과학동아
l
201504
다른 잠수함을 회피할 수 있게 탐지하는 무기통제 시스템, 선박 내 이산화탄소 등
불순
물을 제거하고 온도와 습도를 적절하게 맞추는 생활관리 시스템 등이다. 배전반은 이런 선박 내 모든 시스템에 전기를 공급하는 역할을 한다. 양문 캐비닛을 6~7개 합쳐놓은 모습인 장보고-III의 배전반에는 제어에 ... ...
[과학뉴스] 실험실에서 핀 23만6000개의 고드름
과학동아
l
201504
사진을 자세히 보면 울렁거리는 물결무늬가 있는데 물속의
불순
물 때문이었다는 것!
불순
물이 없는 증류수에서는 이런 패턴이 나타나지 않았다. 길쭉길쭉하게 뻗은 아름다운 모양을 연출하기 위해서 바람도 이용했다 ... ...
[Hot Issue] 전기, 이제 주변에서 수확한다!
과학동아
l
201502
생산했다. 국내에서는 이호용 선문대 재료공학부 교수팀이 지난 2009년 기존 압전소자에
불순
물을 첨가하는 방법(도핑)으로 전력 변환 효율을 100배 가량 향상시켜 화제가 됐다.최근에는 전선 주변에 생기는 전자기 유도 현상을 이용하거나 와이파이(Wi-Fi)의 전파에너지를 모으는 등 새로운 기술이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