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보급
씨뿌리기
뿌리기
d라이브러리
"
살포
"(으)로 총 102건 검색되었습니다.
part2, 목적에 따른 글쓰기
과학동아
l
201007
쓰지 않는 것보다 더 해로울 수 있음을 알게 되자 더욱 충격적이었어요. 또 살충제의
살포
로 새와 곤충, 야생동물처럼 우리에게 이로운 많은 동식물들이 점점 사라지고 있다는 사실이 너무 슬펐어요. 저는 어렸을 때부터 꽃이나 새와 같은 자연이 좋았어요. 봄에 벚나무 밑에서 놀면서 벚꽃 잎이 ... ...
불멸의 책 남긴 역사 속 과학자
과학동아
l
201007
없었다면 진화론은 훨씬 뒤에 밝혀졌을지도 모른다. 그런 의미에서 DDT의 무분별한
살포
를 막기 위해 과학계와 공학계에 맞서 펜을 든 레이첼 카슨(Rachel Carson, 1907~1964)의 용기는 눈길을 끈다.1950년대 중반 DDT는 기적의 물질이었다. DDT는 병충해를 없애 농작물의 생산량을 비약적으로 증가시켰을 뿐만 ... ...
아시아 최초 슬로시티 태평염전에 가다!
과학동아
l
200910
건축, 의복 같이 생활 전반에서 중요하게 쓰이는 소금이 전시돼 있다. 조선시대 로켓 화
살포
였던 신기전의 폭약을 제조하는 데 소금이 쓰였다는 점과, 옷감에 염색을 할 때 염료가 잘 흡수되도록 도와주는 매염제 역할을 소금이 해낸다는 사실이 흥미롭다. 팔만대장경이 보존된 해인사 창경각의 ... ...
고체 거품 삶의 질 높인다
과학동아
l
200907
기체가 들어 있기 때문에 연소를 방해한다”고 설명했다. 거품은 탄저균 분말
살포
같은 세균테러가 일어났을 때도 유용하다. 분말이 퍼지기 전에 거품을 뿌려 잡아둘 수 있기 때문이다.폐수 처리나 중금속 제거 과정에서도 거품이 쓸모가 많다. 김영호 교수는 “물속에 퍼져 있는 미세한 기름 ... ...
박물관 불청객을 잡아라!
과학동아
l
200904
작업을 한다. 만약 권연벌레나 인삼벌레 같이 특정 해충이 집중적으로 늘면 화학약제를
살포
하지 않고 그 해충의 페로몬이 장착된 트랩을 활용한다. 페로몬에 이끌린 수컷을 포획해 번식을 막는 방식이다. 박물관에서 구입하거나 기증받은 유물에 살고 있는 해충이 수장고에 퍼지는 것을 미연에 ... ...
'신의 물방울' 빚은 주인공 흙
과학동아
l
200806
1kg당 유기물 함량이 30g을 넘지 않도록 권장하고 있다. 질소성분이 담긴 비료를 적당량
살포
하도록 하는 것. 김이열 박사는 “현재 우리나라 논토양의 유기물 함량은 토양 1kg당 22g 수준”이라며 “아직까지는 토양이 우리 저녁상에 맛있는 쌀밥을 올려주는 능력이 충분하다”고 설명했다.토양은 ... ...
밥상 안전, 벌레가 지킨다!
과학동아
l
200802
한다. 이 기간은 천적의 생활사가 1~2회 순환되는 기간을 의미한다. 반면 살충제 농약은
살포
하는 즉시 해충이 죽어가는 모습을 눈에 보게 돼 ‘즉시 방제’라는 심리적 만족감을 한껏 주는 대신 그에 수반되는 부작용을 감수해야 한다.이와 같이 생물적 방제는 농민의 건강을 지켜주고, 육체노동을 ... ...
오늘의 건강을 예보해드립니다
과학동아
l
200604
분야에 대해서도 맞춤형 정보를 제공한다.‘강수량이 없고 풍속이 5m/s 미만이면 농약을
살포
하기 좋다, 맑고 풍속이 4~7m/s이면 오징어가 잘 마른다, 평균기온이 10~21℃이므로 오늘 하루는 우유를 27kg 짤 수 있겠다’는 식으로 구체적이고 자세한 정보를 준다. 산업에서는 날씨가 곧 ‘돈’이기 ... ...
말라리아 막는 모기 유전자 발견
과학동아
l
200512
말라리아를 옮기는 모기가 말라리아에 걸리지 않는 이유가 드러났다.암컷 모기는 말라리아에 감염된 사람의 피를 빨 때 말라리아 원충에 감염된다. 이 원충은 모기가 다시 ... 발표했다. 연구팀은 말라리아에 감염된 모기에서 이 유전자의 능력을 높이는 화학
살포
제를 개발할 계획이다 ... ...
6번째 멸종기 다가오나
과학동아
l
200404
962년 레이첼 카슨은 ‘침묵의 봄’에서 모기를 죽이기 위해
살포
한 DDT가 새들을 죽음에 이르게 했다고 고발했다. 과학자들은 카슨의 말처럼 수많은 생물이 인간에 의해 멸종되고 있다며 현시기를 ‘6번째 대규모 생물 멸종기’라고 주장했다. 그러나 이런 주장은 몇몇 조류 연구에 의해서만 입증될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