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상용"(으)로 총 703건 검색되었습니다.
- [Future] 주목받지 못한 반도체 영웅, 강대원 박사과학동아 l201703
- 차렸을 것”이라고 말했다. 수백조 원 규모의 시장을 개척한 발명을 했지만 모스펫이 상용화됐을 때는 이미 그가 가진 특허의 시효가 지난 상황이었다.1988년 벨 연구소에서 퇴임한 강대원 박사는 일본전자통신기업인 NEC가 미국에 세운 연구소의 소장으로 부임해 새로운 연구를 향한 열정을 ... ...
- [Future] ‘잘 나가던’ 소프트로봇이 발목 잡힌 이유과학동아 l201703
- 할 수 있는 게 아니고, 또 그래서도 안 된다. 그러나 공학, 특히 로봇공학은 특성상 상용화와 분리해 생각할 수 없는데도, 그간 이와 관련된 논의가 적었다는 아쉬움이 남는다. 앞으로 이 같은 논의가 활발하게 진행돼 더 많은 기술이 세상으로 나오길 기대해본다 ... ...
- [Future] 향기로운 데이터, 냄새과학동아 l201702
- 액체방울로 응축된다. 이 메모리캡슐은 분리해 휴대할 수 있다.안타깝게도 마들렌은 상용화되지 못했다. 냄새를 찍는 과정이 번거로운데다 휴대하기 불편해서다. 하지만 언젠가는 스마트폰처럼 간편하게 들고 다니면서 냄새를 마음대로 찍을 수 있는 카메라가 등장할 날이올 것이다.▶Delete: 냄새로 ... ...
- [Future] 홀로그램으로 다시 만날 수 있을까과학동아 l201702
- 기술이 바로 응용될 수 있는 분야는 3차원 영상 디스플레이 기술이다. 상용화돼 있는 안경식 방식은 양쪽 눈에 서로 다른 상을 만들어 입체감을 준다. 하지만 수정체의 두께 조절을 통해 인식되는 원근감(초점 조절)과 6.5cm 떨어진 두 눈에 맺히는 좌·우 상의 위치 차이로 생기는 원근감(양안 시차)의 ... ...
- [Issue] 말하지 않아도 통하는 시대 感 테크놀로지과학동아 l201702
- . 적외선센서 같은 흔한 센서도 전량 수입해서 쓴다.김희연 부장은 “센서 기술을 개발해 상용화하기까지 최소 15~20년이라는 긴 시간이 걸리기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센서를 개발하는 공정이 표준화되지 않은 것도 걸림돌이다. 일상에서 사용하는 센서의 수가 1조 개에 가까워지고 있는데, ... ...
- [Future] 미래 바꿀 7대 기술은 무엇?과학동아 l201701
- 맞춤형으로 다가설 것이다. 최근 자율주행자동차 관련 기술은 초기 연구 수준을 지나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고 있다. 2040년경에는 전 세계 차량의 75%가 자율주행 차량일 것이라는 전망도 나오고 있다. 운전자가 개입하는 제한적 자율주행기술은 이미 상당 부분 완성됐고, 고속도로 특정 구간에서 ... ...
- Part 1. 3진법 소자, 하드웨어 인공지능을 꿈꾼다과학동아 l201701
- 더 이상의 발전은 없었다.3진법 컴퓨터에 대한 연구가 끝난 것은 아니었지만, 이미 상용 컴퓨터의 주도권은 2진법 컴퓨터로 완전히 넘어간 상태였다. 반도체와 트랜지스터, 집적회로(IC)가 개발되면서 2진법 컴퓨터가 폭발적으로 발전했다. 미국의 IBM을 중심으로 전세계에서 2진법 컴퓨터가 보급되기 ... ...
- [News & Issue] “제3세계 여성, 에이즈를 넘어라”과학동아 l201612
- 발생한 데 비해 실험군에서는 절반이 조금 넘는 38명이 발생했다(사회적 거부감 때문에 상용화는 못 했다).프렙의 HIV 감염 예방 효과가 입증되면서 전세계가 반응을 보이고 있다. 현재 미국을 비롯해 호주, 캐나다, 케냐, 페루, 남아공 등이 트루바다를 프렙 제제로 허가했다. 올해 8월 유럽연합(EU)도 ... ...
- Part 2. 가상현실(VR) 드론의 미래를 만나다과학동아 l201612
- 통신(5G) 기술 개발이 완료되면 가능해질 것”이라고 전망했다.라이너 교수는 드론이 상용화되기 전인 2000년대 초부터 드론 조종을 즐겼다. 하지만 어느 순간부터 조이스틱을 이용하는 조종이 시시하게 느껴졌다. 진짜나는 기분이 들지 않았기 때문이다. 그는 2년간 개발에 매달린 끝에 조종기 대신 ... ...
- [Info] “노벨상 수상 업적 한 자리에”과학동아 l201612
- 비행 뒤 수십 년 뒤에 상용기가 보편화됐듯, 아직 초보적인 수준인 분자기계도 조만간 상용화 단계에 접어들 것”이라고 말했다.두 번째 강연은 백성희 서울대 생명과학과 교수가 나섰다. 후성유전학과 오토파지 분야 전문가인 백 교수는 오토파지 현상이 특히 암과 치매와 긴밀히 연결돼 있다고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