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환각
망상
환상
d라이브러리
"
신기루
"(으)로 총 42건 검색되었습니다.
사하라 사막 지킴이 '모래아리 까끄르'
어린이과학동아
l
200507
반 이상을 건너왔군. 여기만 통과하면 이제 결승점이 보일 거야. 지금 보이는 길은
신기루
야. 하나만 진짜 길이고 나머지는 모두 가짜지. 다음 푯말에는 사막에 관한 이야기가 있는데, 그 중 설명이 잘못된 곳으로 가면 된다.” 어떤 낙타가 빠를까?찌는 듯한 더위와 험난한 지형을 헤치고 나오느라 ... ...
텅빈 공간에서 발견한 은하 만물상
과학동아
l
200504
화학로(chemical furnace)라는 이름을 붙였다. 라부아지에가 화학로를 이용한 연소 실험에서
신기루
같던 산소의 존재를 증명했으니 그럴듯한 이름이다. 라부아지에는 1794년 프랑스혁명 당시 구체제 인물로 몰려 단두대의 이슬로 사라졌다. 그의 영혼은 화학로자리로 날아가지 않았을까.라부아지에가 ... ...
우주기원 좇아 발진한 적외선망원경
과학동아
l
200310
영향으로 변질되거나 없어진다. 대기의 흔들림으로 인해 별의 시상은 마치 여름철
신기루
너머 보이는 풍경처럼 흐릿하게 보이며, 또 어떤 파장을 가진 빛들은 대기에서 산란되거나 흡수돼 지상으로 도달하지 못한다.이러한 대기의 영향을 피하려면 우주에 망원경을 갖다 놓으면 된다. NASA는 우주의 ... ...
지옥에서 발견한 오렌지색 하늘 - 금성
과학동아
l
200202
베네라의 컬러사진 모퉁이에는 하늘도 살짝 보였다. 두꺼운 대기의 굴절현상으로 왜곡돼
신기루
처럼 굉장히 가까이 보이는 오렌지색 하늘이었다. 금성탐사가 시작되고 22년만에 지옥의 행성 금성에서 인류는 오렌지색 하늘을 올려다볼 수 있었던 것이다 ... ...
다이어트의 새로운 돌풍 비만약
과학동아
l
200106
단숨에 해결할 ‘만능통치약’이 될 것인가, 아니면 또한번 실망을 안겨줄 사막의 ‘
신기루
’로 전락할 것인가.비만은 치료가 필요한 질환세계보건기구는 최근 ‘비만 정도가 가벼우면 식이요법과 운동으로 치료하지만 정도가 심한 경우, 또는 식이요법이나 운동으로 나아지지 않을 경우엔 약물로 ... ...
② 태양계 내 또다른 종족의 자취
과학동아
l
200105
수준에 머물렀다. 천체망원경을 통해 지구의 두꺼운 대기를 뚫고 우리의 동공에 맺혀진
신기루
같은 행성과 위성들의 참모습을 살펴보고자, 가능한 가까이 다가가 기념사진을 찍어보고 몇가지 관측장비로 스쳐 지나가며 주마간산식으로 살펴보는 정도밖에 탐사하지 못했다.앞으로는 더욱 발전된 ... ...
PART 3. 스타워스의 공간이동 가능성 연 나노소자
과학동아
l
200103
불구하고, 자성원자가 있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짐을 확인했다. 이는 마치 원자의
신기루
현상과도 같다. 만약 이 원리를 응용하는 경우 스타워스와 같은 공상과학 영화에서나 보던 양자전송(사람이 우주선에서 주위의 행성으로 분해된 후 조립돼 전달되는 현상)도 가능할 수 있음을 보여주고 있다 ... ...
공동묘지의 도깨비불
과학동아
l
199906
정전기로 설명할 수 있는지 의문이다.또 하나의 설명이 빛의 이상굴절에 의한
신기루
현상이다. 빛은 밀도가 다른 공기층을 통과하면서 이상굴절 현상이 일어나 여러 가지 이상한 모양으로 찌그러지기도 하고 나누어지기도 한다. 먼 곳의 불빛이 밀도가 다른 대기층을 통과하면서 불규칙하게 굴절돼 ... ...
유령은 왜 나타나는가
과학동아
l
199904
hallucination)으로 간주하는 설명이다. 환각은 대응하는 자극이 외부에 없음에도 사막의
신기루
처럼 그 것을 실재하는 것으로 지각하는 심리적 상태이다.초심리학자들이 선호하는 대표적 환각 이론은 SPR 창립자들의 텔레파시 이론이다. 위기유령은 죽음이 임박한 친지와 텔레파시로 접촉할 때 생기는 ... ...
보이는 빛 보이지 않는 빛
과학동아
l
199809
거의 느낄 수 없다.어떤 경우에는 대기에 의한 굴절현상이 현저하게 나타나기도 한다.
신기루
가 그 예. 무더운 날 지면 근처의 공기는 뜨겁게 달아오른다. 더운 공기의 분자들은 서로 멀리 떨어져 있기 때문에 빛은 지면 근처의 공기를 통과할 때 상층부에서보다 빠르게 진행한다. 지면에 가까울수록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