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엄격"(으)로 총 432건 검색되었습니다.
- [지식] 인터뷰_이훈희 교수수학동아 l201602
- 세밀한 수학의 엄밀성을 처음 접하기 때문일 거예요. 그래서 지극히 딱딱해 보이고 엄격한 증명을 이해하기보다 증명 과정을 외워버리는 경우가 많죠. 하지만 해석학 공부를 깊이 하다 보면 생각이 달라져요. 증명에 이용하는 아이디어 자체가 중요해지기 때문이죠. 여기에 익숙해지기만 하면 몇 ... ...
- [Tech & Fun] 국간장, 진간장 이게 다 뭐야?과학동아 l201602
- 되요. 중화라는 방법으로 산을 없애거든요. 한때 발암물질 논란도 있었지만 잔류 기준이 엄격해 걱정하지 않아도 됩니다. 다만 산분해간장에 양조간장을 조금만 섞어도 혼합간장이라고 부를 수 있게 한 건 혼란을 줄 것 같습니다. 산분해간장을 먹고 싶지 않은 소비자라면 정확한 정보를 얻고 싶을 ... ...
- [Tech & Fun] Science Fiction_귀향과학동아 l201602
- 호르몬의 변덕이나 혈압의 변화는 없을지라도. 하지만 여기 케플러 64의 3행성에서는 엄격한 편집 상태가 필요하다. 나는 곧 별이기 때문이다. 이 행성에, 이 항성계에 지성을 가지고 사는 존재는 나뿐이기 때문이다.감정은 사치이고 자칫 일의 효율을 떨어뜨릴 수 있는 장애이다. 나는 그 모든 사실에 ... ...
- “디젤도 할 말 있다” 클린 디젤의 꿈과 현실과학동아 l201511
- 배출 기준은 1km 주행 시 80mg으로, 바로 앞선 유로5 디젤차의 배출 기준(180mg/km)보다 훨씬 엄격하다. 미세먼지 배출 기준 역시 1km 주행시 5mg에서 4.5mg으로 더 낮아졌다. 이는 현행 가솔린차(직접분사엔진) 미세먼지 배출 기준(1km 당 4mg)과 비교해도 크게 다르지 않은 수치다. 민경덕 서울대 ... ...
- [좋은 맛 똑똑한 맛 ➐ 식품첨가물] 첨가물, 안심하고 먹어도 되나요?과학동아 l201511
- 현명한 사용도 필요하다. 식품전문가 최낙언 시아스 이사는 “과거와 달리 지금은 매우 엄격한 기준으로 첨가물의 안전성을 평가하고 있다”며 “만에 하나의 가능성 때문에 무작정 첨가물을 두려워하는 건 바람직하지 못하다”고 주장했다 ... ...
- [knowledge] 자연의 합리성을 사랑한 건축가, 가우디과학동아 l201510
- 있었다. 그리고 그 열망을 온전히 이루기 위해 직교 체계에 근거한, 고전적인 건축의 엄격함을 벗어던졌다. 당시는 돌을 이용해서 건물을 지었다. 돌은 누르는 힘에는 강하지만 당기는 힘에는 매우 취약하다. 당기는 힘은 보통 대들보처럼 가로로 긴 부재에서 생겨난다. 부재의 길이가 길면 가운데 ... ...
- [Info] 북극에 특이한 공생생물이 자라는 이유는?과학동아 l201509
- 다녀왔다. ‘21C 다산 주니어’라고 불리는 이들 북극청소년연구단은 극지연구소가 엄격한 과정을 거쳐 선발한 세 명의 청소년과, 한국극지연구진흥회가 주최하고 동아사이언스가 주관한 제4, 5회 전국학생극지논술공모전에서 특별상을 받은 두 명의 청소년으로 구성됐다.이들의 여정은 다산기지로 ... ...
- [Life & Tech] UC버클리에서 뜨거운 여름을과학동아 l201509
- 있잖아요. 나중에 이름만 넣어달라고 하고. 여기선 그렇게 못해요. 동료평가가 정말 엄격하거든요.”진우 씨는 수업을 혼자 신청했다. 한국 학생이 없다. 조를 짜야 되는데 용기가 필요했다. “처음엔 좀 힘들었어요. 무작정 옆자리에 앉아서 ‘안녕, 너 이름이 뭐니, 나 한국에서 왔다’고 말을 거는 ... ...
- [Life & Tech] 산(酸), ‘풍요의 시대’ 연 식품계의 일등 공신과학동아 l201506
- 없을까. 일단 식품 공정에 산을 이용하는 것 자체는 안전하다. 묽은 산을 이용하는데다 엄격한 공정을 거치기 때문이다. 김왕준 동국대 식품생명공학과 교수는 “허가가 났다는 것은 안전에 문제가 없다는 뜻”이라며 “다양한 미생물이 향미물질이나 생리활성물질을 만드는 전통 발효 간장에 비해 ... ...
- [Life & Tech] 영어 공부에서 해방되는 그 날 올까?과학동아 l201505
- 간다/로 나눠 I/school/to/go로 바꾼 뒤, 영문법에 따라 “I go to school”로 제시하는 방식이다. 엄격한 문법을 따르기 때문에 개발은 어렵지만, 정확도를 높일 수 있다. 통역비서 애플리케이션 ‘지니톡’을 개발한 김상훈 ETRI 자동통역연구실장은 “규칙기반은 통계기반과 달리 어순이 다른 언어끼리도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