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후퇴
거역
퇴보
퇴행
뒷걸음
상반
불찬성
d라이브러리
"
역행
"(으)로 총 64건 검색되었습니다.
봄 길목에 떠있는 여물통 프레세페
과학동아
l
200303
4월 초순에 걸쳐 5.9등급에 이른다. 이 무렵 베스타는 처녀자리에서 동쪽에서 서쪽으로
역행
하고 있다(보통 때 서쪽에서 동쪽으로 움직이는 경우 순행이라고 한다).베스타는 매일 조금씩 그 위치를 바꾼다. 따라서 처녀자리에서 날마다 위치를 옮긴 별을 찾아보거나 별자리 지도인 성도에 표시돼 있지 ... ...
겨울 은하수 속의 진주 M37
과학동아
l
200302
밤하늘에서 가장 밝기 때문에 누구나 찾을 수 있다. 목성은 현재 서서히 동에서 서로
역행
중이다(보통 때 서에서 동으로 움직이는 경우는 순행이라 불린다). 4월 초에는 유명한 프레세페 성단(M44)에 접근한다.목성은 태양계 내에서 가장 큰 행성이므로 소형 천체망원경에서도 다양한 모습을 살펴볼 ... ...
② 출산시간 많이 벌어진 쌍둥이일 뿐
과학동아
l
200301
생물학적 현상이다. 문제는 우리들이 행할 유전자 치환시술이 그동안의 진화에 정확하게
역행
하는 방향으로 움직일 것이라는데 있다.유성생식은 유전자의 다양성을 도모하기 위해 자연이 고안해낸 방법이다. 그런데 사회의 구성원 거의 전부가 똑같은 유전자들을 받아들이는 과정은 정확하게 ... ...
도전! 천왕성 맨눈으로 관측하기
과학동아
l
200210
천왕성은 동쪽에서 서쪽으로 움직인다. 이런 움직임은 평소의 움직임과 반대이기 때문에
역행
이라고 부른다. 11월이 지나면 천왕성의 움직임은 다시 순행(서쪽에서 동쪽)으로 바뀐다.움직임을 통해 별이 아님을 확인하는 방법은 명왕성이나 소행성 무리에도 적용될 수 있다. 특히 이들은 태양계 ... ...
범죄심리학으로 풀어본 택시 연쇄살인
과학동아
l
200206
때, 환경으로부터 긍정적인 영향을 적게 받고 아이는 다시 반항적 행동을 하게 되는
역행
적 상호작용이 계속된다. 이런 상호작용이 가정에서 뿐만 아니라 학교에서도 지속되기 때문에 원래 약간의 기질적 결함을 타고난 아이와 그렇지 않은 아이의 차이가 점점 커진다.일생동안 반사회적 행동을 ... ...
3. 과학한국 토대 다질 처방전
과학동아
l
200204
단기적인 치유만을 강조해 다원화되고 다양한 가치를 추구하는 미래 사회로의 흐름에
역행
하는 것이라면 장기적인 관점에서 이대책은 오히려 국가 발전에 커다란 해가 될 수도 있다. 이공계 기피 현상 해소와 새로운 지식기반 사회의 구현은 어느 하나도 소홀함 이 없이 동시에 해결해야 할 우리 ... ...
새해 더 밝아진 목성 즐기는 법
과학동아
l
200201
즉 별들은 항상 그 위치에 머무르지만 행성은 별들 사이를 조금씩 움직이고, 순행과
역행
이라는 행성의 운동을 반복하는 것이다. 몇달 동안 꾸준히 목성의 위치를 관측해보면, 그 움직임에서 이런 규칙성을 발견할 수 있다. 작은 태양계 추적하기소형망원경으로 목성을 처음 봤을 때 가장 눈에 띄는 ... ...
맨눈으로 볼 수 있는 소행성 베스타
과학동아
l
200112
머무는 것처럼 보이는 때),
역행
(동에서 서로 움직임), 유를 반복한다. 12월에는 밤하늘을
역행
중인 상태다.황소자리에는 베스타 외에도 몇가지 볼만한 대상이 있다. 베스타를 보며 잠시 부근을 들러보자. 먼저 황소자리의 알파별 알데바란은 오렌지색을 띠는 1등성이다. 이 별은 색상이 다른 별에 ... ...
지구는 우주의 중심이 아니다
과학동아
l
200006
이러한 면에서 코페르니쿠스는 프톨레마이오스 체계가 옳지 않다고 생각했다. 행성의
역행
운동이나 수성과 금성의 태양에 대한 운동이 지극히 평범하고 일상적인 운동임에도 불구하고 프톨레마이오스 체계에서는 엄청나게 복잡한 설명을 필요로 했기 때문이다.코페르니쿠스는 자신의 생각을 ... ...
프톨레마이오스와 주전원 이론
과학동아
l
200004
것이라고 설명했다. 그런데 수성과 금성은 부등속 운동만 보이지만, 화성, 목성, 토성은
역행
운동까지 보이므로 같은 주전원 이론이라 할지라도 운동의 속도와 원의 크기가 달라져야 했다. 하지만 주전원을 도입해도 미묘한 변화들은 관측값과 일치하지 않는 일이 많았다. 때문에 프톨레마이오스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