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유학생
d라이브러리
"
외국유학생
"(으)로 총 41건 검색되었습니다.
술, 담배, 마약 왜 끊지 못할까
과학동아
l
200412
지난해 9월 안모씨(44)는 한 모텔에서 히로뽕 0.03g을 투약하고 스스로 경찰에 신고 했다. 경찰은 신고를 받은 즉시 안씨를 검거했다. 안씨는 “다시는 마약에 손대지 않겠다. 이번에는 정말 마약을 끊겠다”며 “수감 중에 재활교육을 받고 싶다”고 호소했다. 안씨는 지난 1999년에도 히로뽕을 투약했 ... ...
중국 과학혁명의 산실, 칭화대
과학동아
l
200408
찰칵. 찰칵.기자가 칭화대를 찾은 지난 7월 13일은 마침 졸업식이 있는 날이라 캠퍼스 이곳 저곳에서 사람들이 카메라 셔터를 눌러대고 있었다. 내륙성 기후를 보이는 북경의 여름은 무덥기로 유명하다. 이날 역시 강렬한 햇빛이 하루 종일 내리쬐어 기자는 캠퍼스를 돌아다니기가 쉽지 않았다. 그 ... ...
창의력과 끼로 승부한다
과학동아
l
200405
4월의 캠퍼스는 의외로 한산했다. 봄의 정취를 물씬 풍기는 캠퍼스 한 가운데 다른 건물보다 키 하나 더 큰 새 건물이 보인다. 검은 초석은 건물 설립에 공헌한 기증자의 이름이 새겨 있다. 정문술 빌딩. 지난해 10월 처음 문을 연 이 건물은 신생 바이오시스템학과가 쓰고 있다. KAIST에 들어선 수많 ... ...
엑스터시 전쟁 최전선을 가다
과학동아
l
200205
신종 마약인 엑스터시가 급속히 확산되고 있다. 그동안 엑스터시 복용여부를 밝히기 어려웠던 것이 사실이다. 그런데 최근 새로운 모발 검사기법이 개발돼 엑스터시 전쟁의 최전선에 배치됐다. 그 활약상을 살펴보자.요즘 연예인들이 신종 마약 ‘엑스터시’를 복용한 사건으로 떠들썩하다. 벌써 ... ...
한국 우주시대를 개막한 아마추어위성 우리별
과학동아
l
199912
지금은 이름이 잊혔지만 한국과학기술대학(KIT)이 있었다. 1985년에 설립됐다가 1989년 한국과학기술원(KAIST) 학사과정으로 통합된 대학이다.원래 이 대학의 설립을 추진했던 곳은 노동부. 1982년 전두환 대통령은 공고를 졸업한 산업계의 기능공들이 계속해서 고등교육을 받을 수 있도록 산업기술대학 ... ...
1. 한국인은 노벨상에 도전할 수 있는가
과학동아
l
199811
노벨과학상 수상을 며칠 앞둔 10월 초 미국 버클리대 김성호 박사에게 E메일을 보냈다. 1987년 발암단백질 라스의 3차원 입체구조를 세계 최초로 규명하는 등 탁월한 연구성과를 쏟아내 한국인으로서는 가장 노벨상에 근접했다고 알려진 인물이다. 노벨상 시즌을 맞아 본인의 연구 근황과 함께 한국 ... ...
사이버 진료시대 개척
과학동아
l
199708
마이다스 동아와 인천 길병원이 함께 인터넷을 통해 제공하는 무료 원격진료서비스가 네티즌들의 큰 호응을 얻고 있다. 병원은 이를 발판으로 새로운 진료형태의 모델을 만들기 위한 야심찬 계획을 세웠다. 한 자동차 회사의 연구소에 근무하는 윤모씨(37)는 요즘 동료들로부터 ‘의사 선생님’이 ... ...
3. 중국대학 4인방
과학동아
l
199610
요금을 받는 이중가격제를 실시하고 있다. 대학도 예외는 아니다. 외국인 학생의 수업료(
외국유학생
은 자국학생의 두배)가 대학의 재원에 많은 도움을 주기 있기 때문에 중국의 대학들은 외국인 학생 유치에 열을 올리고 있는 형편.국제교류처장을 맞고 있는 서란(츄유안)교수는 “중국어나 영어가 ... ...
해외 과학기술자 유치작전
과학동아
l
199202
초창기 해외두뇌 유치작업은 개발도상국에서 유례없는 성공작이었다. 최근 국내에 들어오기 위해 줄을 서서 기다리는 현실은 60년대 KIST의 성공적인 유치전략 덕분일 것이다.한국과학기술연구소(KIST)의 설립은 자주적인 기술개발의 터전을 마련했을 뿐만 아니라 그동안 해외에 체류하고 있던 많은 ... ...
KIST(한국과학기술연구소)설립
과학동아
l
199201
현재 한국경제가 부닥치고 있는 어려움의 원인을 기술력의 부진에서 찾는 사람이 많다. 우리나라 과학기술의 발전은 60년대부터 시작된 경제개발계획과 궤를 같이 하고 있다. 과기처와 KIST의 설립, 해외과학자유치, 원자력연구와 대덕연구학원도시구상 등 현재 우리과학기술의 토대는 대부분 이 시 ... ...
이전
1
2
3
4
5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