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원서
원자력발전소
원형
기원
오리지널
오리지날
사료
d라이브러리
"
원전
"(으)로 총 237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아름답고 섬뜩한, 체르노빌의 곤충들
과학동아
l
201604
사고였다. 하지만 일본 정부는 사고 발생 3년 만인 2014년 사태 종결을 선언했다. 최근에는
원전
주변 지역인 후쿠시마현 나라하마치 지역의 피난지시를 해제하며 주민들의 복귀를 권장하고 있다. 총리까지 직접 나서서 후쿠시마 농산물과 수산물이 안전하다고 홍보하는 판이다. 헤세-오네거 작가는 ... ...
[Career] 에너지계의 ‘홀드왕’을 꿈꾼다
과학동아
l
201603
있다. 안 교수는 “PWR은 일부러 방사성물질 대량유출 사고를 내기도 어렵다”며
원전
사고의 위험성은 낮다고 강조했다.‘핵주기’ 완성이 꿈원자력에너지의 또 다른 걱정거리는 핵폐기물 처리다. 원료의 3~5%만 사용한 뒤 나머지 95%의 핵연료는 땅에 묻는다. 하지만 방사선에 대한 불안감을 느끼는 ... ...
PART 1. 북한은 정말 수소폭탄을 터트렸을까
과학동아
l
201602
중수로 원자력 발전시설을 이용하는 것이다. 우리나라에서는 2007년부터 경북 경주의 월성
원전
에서 중수를 활용해 산업용 삼중수소를 자체 생산하고 있다. 하지만 북한에는아직까지 중수로가 없다. 평안북도 영변의 흑연감속로를 중수로로 바꾸는 방법이 있지만 이 방법으로 폭탄에 필요한 대량의 ... ...
Part 1.표준모형이 지배하는 일상
과학동아
l
201601
들여다봤다. 이를 바탕으로 일본 나고야대 모리시마 구니히로 교수는 후쿠시마 제1
원전
2호기 원자로 노심의 핵연료가 70% 이상 녹아내렸을 가능성이 있다고 2015년 9월 일본물리학회에서 발표했다. 그밖에도 전세계 중성미자 검출기를 이용해 핵물질을 제조할 때 나오는 중성미자를 감시하자는 의견 ... ...
[출동! 명예기자] 에너지를 팝니다! 에너지 슈퍼마켙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8
절약 아이디어 찾기오늘 에너지슈퍼마켙에는 특별한 분이 찾아왔어. 바로 ‘제3회
원전
하나 줄이기를 위한 도시형 에너지생활기술 공모전’ 최우수상을 받은 홍순황 선생님이야. 전구에 끼우면 빛을 앞으로 반사시켜 전구를 30% 더 밝게 만들어 주는 ‘램프플라워’를 개발하신 분이지.홍순황 ... ...
[Hot Issue] 풍력발전기에 날개가 사라졌다
과학동아
l
201510
‘네이처 기후변화’에 발표한 연구에 따르면, 지상에서 얻을 수 있는 바람에너지가
원전
40만 기와 맞먹는 400TW(테라와트, 1TW는 1012W)인 반면, 대기권 전체에서는 최대 1800TW나 됐다.미국 MIT 출신 엔지니어들이 만든 신생기업 ‘알트에어로스 에너지스’사는 이처럼 잠재력이 큰 하늘 위의 바람을 ... ...
고리 1호기, 영구 정지 결정
과학동아
l
201507
년 이상 걸릴 것으로 보인다. 해체 예산은 6000억 원이 넘는다. 전문가들은 2050년까지 세계
원전
해체 시장이 1000조 원 규모로 성장할 것이라고 전망했다 ... ...
대한민국 로봇 ‘휴보’ 세계를 제패하다!
과학동아
l
201507
우승으로 이끈 오준호 KAIST 휴머노이드로봇연구센터장(기계공학과 교수)은 “후쿠시마
원전
현장을 고려했기 때문에 이번 대회를 흔히 ‘재난로봇대회’라고 부르지만 두 발로 걷고 손으로 일을 하는 인간형 로봇 기술을 고난이도로 요구한 대회라 볼 수 있다”면서 “이번 대회를 준비하면서 ... ...
[Hot Issue] 빨간약, 진짜 만병통치약이었어?
과학동아
l
201505
요오드의 맛이 느껴진다면 소독이 잘된 것이니 안심하고 마셔도 된다”고 말한다.
원전
사고로 방사능 물질이 누출되는 최악의 상황에서도 빨간약은 도움이 된다. 핵연료가 붕괴될 때 방사성 요오드가 나오는데, 여기 노출되면 갑상선암에 걸릴 수 있다. 요오드는 우리 몸에 들어왔을 때 갑상선에 ... ...
[과학뉴스] 후쿠시마 토양, 미생물로 정화
과학동아
l
201504
후쿠시마
원전
사고가 발생한 지 4년이 지나도록 복구 대책을 찾지 못하고 있다. 특히 인근 토양의 오염이 심각해 방사성 물질이 계속해 검출되고 있다. 그런데 최근 일본과 미국 공동연구진이 방사성 스트론튬(Sr), 세슘(Cs)과 효과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호염성 미생물을 새롭게 찾아냈다.일본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