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자기인식"(으)로 총 876건 검색되었습니다.
- [소프트웨어] 올바른 인터넷 문화 세운다수학동아 l201701
- 보통 소프트웨어(이하 SW) 수업에서는 학생이 재미있어하는 스마트폰 앱이나 로봇, 게임 등을 이용해 프로그래밍을 가르친다. 하지만 흥미 위주의 수업만 고집하면 저작권과 개인정보보호 같은 정보 통신 윤리 교육에 소홀하기 쉽다. 그런데 여기 두 마리 토끼를 모두 잡은 학교가 있다. 프로그래밍 ... ...
- [가상인터뷰] 전기로 앞을 보는 물고기?!어린이과학동아 l201614
- 며칠 전 푸푸와 함께 용궁으로 여행을 갔었어. 그런데 거기서 오랜만에 ‘코끼리주둥이고기’를 만났지. 반가운 마음에 놀래 주려고 몰래 뒤로 돌아갔는데, 코끼리주둥이고기가 갑자기 우리에게 인사를 하는 거야! 뒤통수에 눈이 달린 것도 아닌데 어떻게 우리를 발견할 수 있는 거지? 코끼리주둥 ... ...
- [Tech & Fun] 공감만으론 세상을 바꿀 수 없다과학동아 l201612
- “저 사람은 다른 사람에게 공감을 못하나?”모든 사람들이 다른 사람에게 공감하는 능력이 있다면 여러 사회문제가 해결될 것 같다. 하지만 현실은 복잡하다. 누군가의 아픔을 함께 느낀다고 해도, 실제로 그 사람을 돕는 행동을 하는 것은 별개이기 때문이다. 공감하는 능력이 남을 돕는 행동과 ... ...
- [과학뉴스] 마비 환자, 로봇 팔로 새 감각 얻다과학동아 l201611
- 미국 연구팀이 사지마비 환자를 다시 느끼게 만드는 데 성공하고 그 연구 결과를 ‘사이언스중계의학’ 10월 13일자에 발표했다.미국 피츠버그대 재활의학과 로버트 가운트 교수팀은 사지마비 환자가 생각만으로 로봇 팔을 움직이고, 또 로봇 팔이 사물에 닿을 때 촉감을 느끼게 하는 데 최초로 성 ... ...
- [Career] 뇌와 컴퓨터가 만나면 어떤 향기가 날까과학동아 l201611
- “처음엔 간단한 서류작업 때문에 만난 사이였어요. 그런데 강 연구원님이 제 일을 자기 일처럼 깔끔하게 해 주신 걸 보고 ‘이런 사람과 함께 일하고 싶다’는 마음이 생겼죠. 그게 시작이었어요.”문제일 DGIST 뇌·인지과학전공 책임교수는 6년 전 처음 강원석 DGIST 웰니스융합연구센터 선임연구 ... ...
- [Tech & Fun] 센서스 코무니스과학동아 l201611
- 정치부 기자로 일하던 시절에 나는 소위 ‘정보맨’들의 모임에 참석한 적이 몇 번 있었다. 자기들끼리 네트워크가 있는 국회의원 보좌관, 국정원 IO(국내 정보관), 중수부 수사관, 정보과 형사, 월간지 기자, 대기업의 홍보 담당자 등이 삼삼오오 모여 소문도 전해 듣고 ‘찌라시’도 돌려보고 인물 ... ...
- [News & Issue] 꿀벌은 꿀맛을 알까?과학동아 l201609
- explained or consciousness redefined)?’라는 반박 논문을 통해 “바론과 클라인 교수는 ‘자기인식’ 같은 의식과 관련된 대부분의 능력은 배제한 채, 의식을 너무 좁게 정의했다”고 지적했다.의식은 매우 포괄적인 개념이다. 색깔이나 소리 같은 감각을 의식하고 과거의 경험을 기억(주관적 경험)하는 ... ...
- [Tech & Fun] 박흥보 특급과학동아 l201608
- 우리 회사가 망하기 직전에 마지막으로 시도한 사업은 바로 흥부놀부 이야기를 흉내내서 박씨를 심어 보겠다는 것이었다. 처음 그 말을 듣고 나는 농담을 하는 줄 알았다. 그런데 농담이라고 하기에는 재미가 없었다. 우리 회사의 유일한 장점은 농담이 재미가 없으면 아무리 사장이 이야기 하더라 ... ...
- [News & Issue] 올 여름, 진화한 공포가 몰려온다!과학동아 l201608
- 지구가 더워질수록 귀신도 진화하고 있다. 화면에서만 보던 귀신은 가고 내 등 뒤를 쫓아오는(!) 귀신이 나타났다. 가상현실(VR) 속 귀신이다. VR의 킬러 콘텐츠로 급부상하고 있는 VR 공포 콘텐츠, 기자가 직접 체험해 봤다. 귀신을 눈 앞으로 튀어나오게 하는 기술에 대해 알아보는 게 목적이었는데…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기보 16만 개를 달달 외웠으니 이길 수밖에 없겠다고? 바둑은 기보를 외운다고 할 수 있는 게임이 아니라니깐! 그럼 기억력 좋은 사람이 무조건 바둑에서 이기게? 내 진짜 실력은 기보에 나온 고수들의 방법을 스스로 공부하고 이길 수 있는 수를 열심히 계산한 데서 나와. 그게 바로 ‘딥러닝’이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