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작은아들"(으)로 총 321건 검색되었습니다.
- 청개구리가 비만 오면 노래하는 이유는?어린이과학동아 l201508
- ‘개굴~ 개굴~ 개구리, 노래를 한다~♪ 아들 손자 며느리~ 다~ 모여서~♬’개구리가 우는 계절이 돌아왔어요! 겨우내 딱딱하게 언 땅에서 겨울잠을 자던 개구리들은 봄이 되면 앞다투어 즐겁게 노래하기 시작하지요. 그런데 정말 가족이 다 모여 반가워서 노래할까요? 아니면 다른 이유가 있는 걸까 ... ...
- 내 손은 동물농장!어린이과학동아 l201506
- 커다란 코끼리가 몸을 웅크리고 있어요. 멋진 상아를 보니 수코끼리네요. 자글자글한 피부 주름이 코끼리를 실제로 보고 있는 것처럼 생생하게 느껴져요. 가만, 코끼리의 귀를 보세요! 진짜 코끼리가 아니라 그림이었어요! 대체 어떻게 코끼리의 주름까지 생생하게 묘사한 것일까요? 몰라도, 알아 ... ...
- [생활] 1000년의 역사 앙코르 와트 신화 속으로 떠난 신비한 숫자 여행수학동아 l201506
- 힌두교 신화와 부처의 가르침이 함께 살아 숨 쉬는 신비의 땅 캄보디아에는 1000년의 세월을 버텨온 앙코르 시대의 유적이 많이 남아 있습니다. 우리에게 잘 알려진 앙코르 와트를 비롯해 앙코르 톰, 타 프롬, 반테이 스레이 등 유적 1000여 개가 수백 km에 걸쳐 흩어져 있지요.해마다 300만 명 이상의 ... ...
- [지식] 곰팡이로부터 명약을 떠올리다!수학동아 l201504
- 시큼, 새큼, 씁슬, 짭조름.치즈 한 조각을 말랑말랑한 빵 위에 올려 한 입 물었다. 부드러운 식감 뒤에 퀴퀴한 냄새가 코를 찌른다. 곰팡이 때문이다. 비록 식재료에 핀 곰팡이들은 혐오스러워 보이지만, 음식도 되고 때론 생명을 구하기도 하니 생각보다 쓰임이 다양하다. 오늘은 곰팡이가 구한 생 ... ...
- Part 3. 공유, 기술, 소통으로 본 똑똑한 물과학동아 l201504
- 스마트폰이 생기고 나서 아버지와 공유하는 순간이 늘었다. 대구와 서울, 수백 km 떨어진 거리지만 스마트폰으로 찰칵 사진을 찍어 메신저로 사진을 보내면 먼 거리는 무의미하다. 아들은 야근하는 난잡한 책상을, 아버지는 어머니와 탄 케이블카 사진을 보낸다. 똑똑한 물도 이런 공유를 전면에 내 ... ...
- [Hot Issue] 280만 년 전 최초 인류, 세상의 빛을 보다과학동아 l201504
- [‘최초의 호모 속 조상’은 이렇게 생겼다 | 280만 년 전 첫 호모 속의 턱뼈를 자세히 뜯어보자. 어떤 특성이 있을까. 이 화석은 원시적인 종인오스트랄로피테쿠스의 특성과, 진화한 종인 호모 속의 특성을 모두 갖고 있다.]이번 연구는 지금까지 밝혀진 가장 오래 된 호모 속 초기 인류를 밝혀냈 ... ...
- [지식] 자유를 사랑한 수학자 로랑 슈와르츠 탄생 100주년수학동아 l201503
- 3월 5일은 세계적인 수학자이자 프랑스 지성의 상징으로 존경받는 로랑 슈와르츠(1915~2002)의 탄생 100주년이 되는 날이다. 그는 함수의 개념을 일반화하는 이론을 발표해 1950년 프랑스인으로는 처음 필즈상을 받았고, 프랑스 식민지였던 알제리와 베트남의 독립을 지원하며 식민지 국민들의 인권 운 ... ...
- [화보] 종이, 날다수학동아 l201502
- 손 위에 살포시 앉은 새 한 마리가 보인다. 혹시 날아갈까 봐 살금살금 다가간다. 빛깔에 현혹돼 저절로 손이 먼저 나간다. 새는 움직이지 않는다. 슬쩍 날개를 만져 본다. 어라? 가짜다!진짜보다 더 진짜 같은 너! 종이였다. 만지면 퍼드덕하고 날아가 버릴 것 같았는데, 깃털이 모두 종이로 된 새 ... ...
- TWINS 같은 듯 다른 존재? 쌍둥이어린이과학동아 l201418
- 안녕~! 우린 쌍둥이야(쌍둥이야~)!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자꾸 이름을 바꿔 불러. 너희가 보기에도 우리가 구별하기 힘들 정도로 똑같이 생겼니? 우리가 보기엔 서로 다르게 생겼다고 생각하는데 말이지. 게다가 좋아하는 것도, 성격도 조금씩 다르다구(다르다구~)! 그런데 쌍둥이면 완전히 똑같아야 ... ...
- [hot science] 동물은 왜 수컷이 더 클까과학동아 l201412
- ‘종의 기원’으로 유명한 찰스 다윈은 수컷이 암컷보다 훨씬 더 큰 이유를 수컷끼리의 경쟁 때문이라고 설명했다. 이러한 ‘짝짓기 경쟁’ 가설은 20세기 후반에 성선택 연구가 활발해지면서 윤곽이 잡히기 시작했다. 한 예로 스웨덴 스톡홀름대 패트릭 린덴포스 교수팀이 2007년 포유류 1370종을 조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