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계선
계류
d라이브러리
"
정박
"(으)로 총 66건 검색되었습니다.
미국의 퍼즐 고수와 대결하다!
수학동아
l
200911
한쪽 부두에서 600m 되는 지점에서 서로 스쳐지나가오. 목적지에 도착한 배는 10분 동안
정박
한 뒤 다시 되돌아가고. 두 척의 배는 다시 스치는데, 이번에는 처음과 반대쪽 부두에서 350m 떨어진 지점에서 스쳐 지나간다고 하면 이 강의 정확한 폭은 얼마가 되겠소?”“풋! 이 정도 문제쯤이야. 나까지 ... ...
쓰나미 뚫고 통가 해저자원 탐사한다
과학동아
l
200911
바 있다. 대사 일행을 맞아 온누리호의 요리사들이 푸짐한 뷔페요리를 차렸다. 원래 배가
정박
하면 요리사들은 요리를 하지 않는데, 전 대사 덕분에 일급요리사들의 음식을 맛보게 됐다.“수바는 우리나라 남태평양 참치잡이 어선들이 모이는 곳입니다. 얼리지 않은 참치고기를 맛볼 수 있는 ... ...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
과학동아
l
200810
화물차로 이동한 뒤 다시 작은 배에 실을 필요 없이, 크레인으로 이동식 부두 반대편에
정박
한 작은 배에 바로 옮겨 실을 수 있기 때문.채 박사는 “최근 하이브리드 안벽에 대한 경제성 분석과 모형실험을 토대로 한 안전성 분석을 모두 마쳤다”며 “지능형 항만물류시스템이 우리나라를 동북아 ... ...
조선 명가(名家) 자존심 지켰다
과학동아
l
200810
크고 이는 곧 선박의 안전성 문제와 직결된다. 실제로 1999년 미국 오리건 주 쿠즈 만에
정박
해있던 44만 t급 선박 뉴카리사호는 5, 6일 동안 높은 파도와 거센 바람을 맞은 탓에 배에 균열이 생겨 결국 가라앉았다. 해법은 하나밖에 없다. 김 교수는 “지금까지 선박의 구조 연구와 유체 연구는 ... ...
PART 1 태안의 기억을 채집하다
과학동아
l
200801
12월 7일 충남 태안 앞바다에서 최악의 원유 유출 사고가 발생했다. 해상 크레인이
정박
중이던 홍콩 선적 유조선과 충돌하면서 유조선의 기름탱크에서 원유 1만2547㎘가 유출된 것. 사고 발생 닷새째인 12월 11일 사고현장인 만리포를 찾았다.“만리포 4km.”이정표 속 숫자가 줄어들수록 가슴은 ... ...
디지털... 노마드... 아이콘 다 빈치
과학동아
l
200609
견딜 수 있는 개인 잠수장치도 고안했다. 잠수 특공대는 물속을 평지처럼 걸어 다니면서
정박
해 있는 적함에 접근해 뾰족한 드릴로 배의 옆구리에 구멍을 뚫어 침몰시키는 임무를 맡았다.그는 소금쟁이를 흉내 내서 물 위를 걷는 신발도 발명했다. 소금쟁이가 다리의 가느다란 털 사이에 붙은 ... ...
해저 2만리 과학 3만리
과학동아
l
200608
물 속에서 소리가 얼마나 빠른지 측정하기 위해 실험을 했다. 배 두 척을 약 13km 떨어지게
정박
해 놓고 한 배에는 커다란 종을 매달아 물속에 넣어두고 나머지 배에는 소리를 들을 수 있는 깔때기 모양의 원통을 설치했다. 그리고 종을 치는 것과 동시에 화약을 터뜨려 불꽃을 만들고 다른 배에서는 이 ... ...
발해의 닻을 올려라
과학동아
l
200607
일반 선박의 접근이 불가능했다. 게다가 닻이 있는 위치마저 소형 보트가 아니면
정박
하기 어려웠다.사전 탐사에서 밝혀진 닻은 정확히는 닻의 일부였다. 그런데도 그 길이는 필자의 키를 넘어 정확히 183cm였고, 재질은 화강암으로 무게가 400kg은 족히 나갈 것으로 추정됐다. 장정 서너 명이 동시에 ... ...
녹둔도에 가고 싶다
과학동아
l
200606
마적단의 횡포가 심해 러시아인의 출입마저 통제됐다. 이 때문에 러시아는 항구에
정박
한지 3년이 지난 1863년에야 서서히 주변 탐색에 나섰고, 포시에트 항구 인근의 지신허에서 조선주민을 발견한 것이다. 실제 거리상 지신허 지역은 포시에트 항구와 가까워 충분히 걸어서 다닐 수 있는 곳에 있다 ... ...
1905년 11월 1일 날씨맑음
과학동아
l
200512
반대에도 불구하고, 일본은 군대를 파병했고 1904년 2월 8일 드디어 중국 다롄과 인천에
정박
해있던 러시아 함대를 공격하면서 러일전쟁의 서막이 올랐다.전시 상황에서 일본은 대량 해상수송과 해상안전을 위해 기상관측의 필요성을 절감했다. 전쟁을 시작한지 한 달 뒤인 3월초 도쿄 중앙기상대는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