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종점
터미날
터미널
종단역
종착지
시발역
종점도시
d라이브러리
"
종착역
"(으)로 총 30건 검색되었습니다.
수증기 먹고 자라는 거대에너지 태풍
과학동아
l
199608
나선 모양이 형성된다(그림3). 3. 태풍은 어떻게 생을 마감하나 - 바람 타고 북상, 육지가
종착역
태풍의 수명은 1주일에서 1개월 정도다. 태풍은 북동무역풍(북위 0-30도)과 편서풍(북위 30-60도)을 타고 움직이기 때문에 처음에는 서쪽으로 치우쳤다가 북동쪽으로 방향을 바꾸면서 북상한다. 태풍은 이 ... ...
1 아날로그·디지털전쟁, 누가 승자일까
과학동아
l
199408
TV수상기에서는 아날로그신호로 바뀌어야 시청자들이 알아본다. 디지털의 출발과
종착역
은 아날로그다. 그렇다면 디지털은 영원히 아날로그에 승리를 거둘 수 없을지도 모르는 일이다 ... ...
침강된 지각 용암형태로 재분출한다
과학동아
l
199308
자신이 그 이론을 선호하기는 하지만 아직 경계부나 상부 맨틀의 바닥이 지판의 마지막
종착역
이며 플룸들의 기원인지는 확신할 수 없다고 말했다.화산형성을 둘러싼 세가지 이론많은 지질학자들은 핵으로부터 상승한 열이 플룸을 움직이는 에너지의 1차적인 기원이라고 믿는다. 과거 언급돼왔던 ... ...
AIDS비상, 환자관리 이상 없나?
과학동아
l
199201
AIDS(Acquired Immune Deficiency Syndrome, 후천성면역결핍증)라고 칭한다.즉 AIDS란 HIV 감염증의
종착역
이다. 여기에 이르면 면역기능이 저하돼 각종 기회감염이나 이차적인 악성종양에 걸림으로써 결국은 사망하게 된다. HIV에 감염된 후 AIDS로 발전할 때까지 걸리는 기간은 사람에 따라 차이가 많지만, ... ...
새로운 구조를 찾아서
과학동아
l
199108
아이러니가 아닐 수 없다.주판에서 시작하여 톱니바퀴식 파스칼계산기를 거쳐서 결국
종착역
에 도달한 컴퓨터는 인간의 두뇌구조에까지 왔다. 최근 들어서 인간두뇌에 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보다 대용량의 병렬처리기를 만들기 위해선 동물 가운데 생리기능이 가장 복잡한 인간을 연구해야만 ... ...
공상에서 과학으로
과학동아
l
199106
진출하고 거기서 새로운 고향을 만들어나가는 인간들의 모습을 묘사한 작품 계열의
종착역
이라 할 만하다. 또한 이것은 '접촉 이후' 즉 지구와 행성 탐사의 새로운 가능성을 대담하게 다룬 작품이다. 클라크는 그의 뛰어난 과학적 상상력과 그에 따른 치밀한 구성력으로 70년대 이후에도 정통 ... ...
유전공학의
종착역
단백질공학
과학동아
l
199106
입체적인 구조연구에 중점을 둬 온 단백질연구는 그 1차목표가 달성되자 이제는 유전자재조합기술과 결합해…어떤 기계의 작동원리를 이해하려면 그 구조를 우선적으로 파악해야 하는 것이 순서다. 마찬가지로 단백질의 생물학적 기능을 분자 메커니즘 수준으로 밝혀내기 위해서는 단백질 자체 ... ...
계산하는 기계를 좇아서
과학동아
l
199103
숙달에만 전념해왔다. 그러나 서양에서는 계산 기구자체의 개량이 거듭되어 왔다. 그
종착역
은 물론 컴퓨터다. 17세기 스코틀랜드의 존 네이피어는 복잡한 수의 간편한 계산을 위해서 대수표를 만들기 시작했다. 그의 노력은 오트레드의 도움으로 계산자(slide rule)로 발전했다. 그 기구는 15년전만 ... ...
PART2 격렬하고 짧거나,평온하고 긴 두가지의 생존방식
과학동아
l
198707
지나면 별들은 각기 질량의 크기에 따라 극적인 최후를 맞게 된다. 블랙홀은 거대별의
종착역
태양보다 30배 이상 질량이 큰 별의 일생은 다음과 같은 과정을 겪게 된다. 우선 중심의 수소가 핵융합 반응을 일으키는 주계열성 단계에서 중력과 방출 에너지가 균형을 이루어 안정된 상태를 유지한다. ... ...
20대 박사들
과학동아
l
198703
에서 물리학박사학위를 받은 과학기술대학 장충석교수의 이야기다."박사학위가 학문의
종착역
이 아닌 이상 빨리 학위를 받고 연구를 계속하는 것이 바람직하지요. 우리나라에서는 학위 자체가 목적이 되어 학위를 받고 나면 지쳐버리는 수가 많았으니까요. 또한 학문을 깊이 하려면 사람이 ... ...
이전
1
2
3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