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메뉴바로가기
본문바로가기
동아사이언스
로그인
공지/이벤트
과학동아
어린이과학동아
수학동아
주니어
과학동아천문대
통합검색
뉴스
스페셜
D라이브러리
전체보기
뉴스
시앙스
과학쇼핑
스페셜
d라이브러리
추천검색어
증가
증대
번식
확장
증진
증가액
d라이브러리
"
증식
"(으)로 총 658건 검색되었습니다.
[News & Issue] 천연두 백신으로 메르스 잡는다
과학동아
l
201602
슈터 교수팀은 2년 전 개발한 백신 ‘MVA-MERS-S’를 이용해 낙타의 체내에서 바이러스
증식
을 억제하는 실험을 성공했다고 발표했다.연구팀은 메르스바이러스의 스파이크 단백질 발현 유전자를 천연두바이러스(MVA)의 유전체에 삽입해 백신을 제작했다. 바이러스 표면에 있는 스파이크 단백질은 해당 ... ...
PART1. 뇌 조종의 신기원을 열다
과학동아
l
201601
만든 올가미 단백질은 암세포에 서 세포 분열에 참여하는 단백질을 억제해 암세포의
증식
을 막았다.“우리가 처음 광유전학과 단백질을 결합한 뒤부터, 다른 경쟁 그룹들도 비슷한 기술들을 발표하고 있습니다. 기술개발경쟁이 심해지고 있다는 것이죠. 새로운 기술을 만드는 사람으로서 어쩔 수 ... ...
그것이 알고 싶다! 소시지는 발암물질?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3
아질산나트륨은 고기 고유의 붉은색을 유지하는 발색제예요. 게다가 고기에 미생물이
증식
하거나 지방 성분이 산화되는 것을 방지하는 역할도 하지요. 그래서 아질산나트륨은 가공육을 만들 때 꼭 필요한 첨가물이에요.아질산나트륨이 암을 일으키는 주범으로 지목된 이유는 아질산나트륨이 ... ...
[가상인터뷰] 바나나로 바이러스 치료제 만든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22
세포 분열을 촉진하는 렉틴이 에이즈 바이러스와 결합하면, 에이즈 바이러스를 오히려
증식
시키는 치명적인 부작용을 가져올 수 있답니다.닥터 그랜마 : 부작용이라니…, 무서워!바나나 : 걱정하지 마세요! 마코미츠 교수팀이 이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바나나에서 추출한 렉틴인 ‘반렉(BanLec)’ ... ...
바다의 숨은 지배자 플랑크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15
로, 우리나라 바다에서 많이 볼 수 있어요. 특별한 양분을 공급하지 않아도 빠른 속도로
증식
하는 특징이 있지요. 충분한 해양 배양장이 있다면 얼마든지 바이오디젤을 저렴하게 만들 수 있는 거예요. 지금은 바이오디젤이 일반 경유에 비해 1.5~2배 비싸지만, 플랑크톤을 이용한다면 곧 일반 경유와 ... ...
바이러스
수학동아
l
201512
반드시 다른 동물이나 식물, 세균을 통해서만
증식
할 수 있다. 다른 생물에 의존해야만
증식
할 수 있다는 뜻이다.프린시스 크릭과 제임스 왓슨은 구에 가까운 일부 바이러스가 정다면체 중에서도 ‘정이십면체’라고 추측했는데, 여기에는 여러 가지 수학적인 근거가 있다. 먼저 단백질이 서로 ... ...
PART 3. 생리의학상 자연에서 찾은 기생충 특효약
과학동아
l
201511
원충은 간에서
증식
을하는데, 이때 적혈구에 큰 피해를 입히며 고열을 일으킨다.
증식
만 넘기면 원충이 다시 조직에 숨어들어 정상 체온으로 돌아와 생명에 위협이 되지 않는다.투 교수는 중의학에서 열성질환에 효과가 있다고 기록된 약재로부터 치료제를 찾기 시작했다. 200개 가량의 후보를 ... ...
인간과 바이러스 ‘공존’가능할까
과학동아
l
201511
것처럼 보인다. 일본뇌염 바이러스는
증식
속도를 늦추는 대신 숙주의 몸속에 장기간
증식
할 수 있고, 숙주는 최소한의 바이러스를 허용하는 대신 세포의 손상을 줄일 수 있다.“관용 또는 협상이 시사하는 바가 있습니다. 우리 사회는 구제역이나 메르스 같은 급성 바이러스성 전염병을 볼 때 흔히 ... ...
[Hot Issue] 소나무재선충병 방제 현장을 가다
과학동아
l
201504
대륙이다. 길이 1mm 미만의 가는 실처럼 생겼다. 한 쌍이 20일 만에 20만 마리로 급속히
증식
한다. 혼자서는 이동할 수 없고 곤충을 날개 삼는다. 우리나라에서는 솔수염하늘소와 북방수염하늘소가 선충을 나르는 매개곤충으로 알려져 있다. 솔수염하늘소는 주로 남부지방에 살면서 소나무와 해송을 ... ...
낮은 기온에서 더 활발한 감기 바이러스
어린이과학동아
l
201503
주입했어요. 연구팀의 예상대로 리노바이러스는 온도가 낮은 세포에서 훨씬 빠르게
증식
했지요.연구팀은 세포가 바이러스에 감염된 직후 바이러스에 저항하는 정도를 추가로 조사했어요. 조사 결과 두 세포 간에는 바이러스의 침입을 1차적으로 막아 주는 물질인 인터페론의 분비량이 다른 것으로 ... ...
이전
1
2
3
4
5
6
7
다음
공지사항