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난"(으)로 총 7,094건 검색되었습니다.
- Part 3. [도전 ➋] 얼린 세포를 다시 녹여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불임이 될 수도 있다는 의사의 말에 정자를 따로 냉동 보관했어요. 그리고 23년이 흐른 지난 2015년, 이 정자를 녹여 체외수정을 했고, 아이를 출산하는 데 성공했답니다. ▼관련기사를 계속 보시려면? Intro. 꽁꽁 얼려서 미래에 녹인다! 냉동인간Part 1. 21세기 미라, 냉동인간Part 2. [도전 ➊] 세포를 ... ...
- [비주얼 과학교과서] 바닷속에 숨겨진 보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전세계 바다의 해류 지도를 작성할 계획을 세운 거예요. 러버덕을 추적한 지 15년이 지난 2007년, 에베스메이어 연구원은 드디어 해류의 흐름을 지도로 나타내 발표했어요. 1992년 맨 처음 미국 싯카에 도착한 이후 알래스카 연안, 알류산 섬 등을 거쳐 전세계로 퍼지는 러버덕의 위치를 기록했지요. ... ...
- Part 2. [도전 ➊] 세포를 냉동하라!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어는 것을 막는 역할을 하지요. 효과가 뛰어나고, 부작용이 적다는 장점이 있답니다. 지난 2010년, 국내 연구팀도 북극에서 새로운 결빙방지단백질을 찾는 데 성공했어요. 극지연구소 김학준 박사팀은 북극 다산기지 근처의 쌍둥이 호수의 얼음 속에서 새로운 북극 효모(Leucosporidiumsp.)를 발견했어요. ... ...
- Part 1. [고리 1호기] 시작과 끝어린이과학동아 l201716
- 낮아지자, 한국수력원자력은 고리 1호기의 영구 정지를 선언했답니다. 고리 1호기는 지난 2007년, 30년의 설계 수명이 만료된 이후에도 안전하다는 평가를 받고 10년 더 전기를 생산해 왔어요. 하지만 2011년 일본 대지진으로 후쿠시마 원자력 발전소 사고가 일어났어요. 이후 우리나라에서도 원자력 ... ...
- Part 4. 바닷속 도시를 만드는 수중건설로봇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이상이 없는지를 먼저 시험해 보는 거예요. 작년 12월에 완성된 중작업용 수중건설로봇은 지난 3월에 이곳에서 1차 수조 테스트를 마쳤답니다.수중건설로봇은 수중로봇 중에서도 개발하기가 가장 까다로워요. 나사를 조이고 플러그를 끼우는 등 정확하게 힘과 방향을 조절해야 하는 일이 대부분이기 ... ...
- Intro. 전국이 "후끈후끈" 폭염의 습격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지난 7월 13일 경주의 최고 기온이 39.7℃까지 올랐어요. 7월 기온으로는 75년 만에 최고 기온이었죠. 이날 경주 외에도 경상도 지역에는 40℃를 육박한 곳이 수두룩했어요. 더군다나 이때는 폭염이 본격적으로 시작하기도 전인 장마철이었답니다. 올해 여름 폭염은 왜 이렇게 심해진 걸까요 ... ...
- Part 1. 폭염, 지구를 녹이다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2000명 가까이 됐어요. 폭염을 여름의 한낱 더위라고 생각하는 사람들도 있지만, 사실 지난 100년간 우리나라에서 가장 많은 사상자를 발생시킨 기상재해는 바로 폭염이지요.●온열질환 : 열사병과 일사병 등 폭염에 직접적으로 피해를 입어 발생하는 질환.우리나라뿐만이 아니라, 전세계가 지금 ... ...
- [현장취재] 별똥별 아줌마가 들려 주는 생생한 사막 이야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지난 7월 5일 저녁, ‘별똥별 아줌마’가 친구들을 만나러 왔어요. ‘별똥별 아줌마’로 불리는 이지유 작가님은 우주와 지구, 화산 등 다양한 주제로 어린이를 위한 과학책을 썼지요. 이날 작가님은 여행을 다니며 직접 보고 느낀 생생한 사막 이야기를 들려 주셨답니다. 직접 지구 곳곳을 다니다 ... ...
- [이 얼굴을 지켜 주세요!] 일곱 가지 색을 띠는 팔색조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찾아와 알을 낳고, 가을이 되기 전에 따뜻한 남쪽으로 이동하는 여름 철새랍니다.지난 6월에는 남해의 한려해상국립공원에서 작은 뱀을 물고 있는 팔색조의 모습이 포착됐어요. 1964년 한국문화연구원이 발표한 자료에 이런 습성이 적혀 있지만, 실제로 뱀을 사냥한 모습을 촬영한 건 이번이 ... ...
- [공룡은 왜?] 골반 뼈가 넓으면 암컷? 공룡의 암수 구별법어린이과학동아 l201715
- 콧잔등 위가 매끈했고, 수컷은 콧잔등에 돌기가 두드러지게 나 있었답니다.하지만 지난 2015년 이탈리아의 마이모리노 박사팀이 프로토케라톱스 29마리로 다시 연구를 진행해 본 결과, 암수를구별할 수 있는 차이점을 발견할 수 없다는 결론을 내렸어요. 프릴과 두개골의 특징들은 연령대가 다르거나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