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지수"(으)로 총 512건 검색되었습니다.
- [출동! 어린이과학동아기자단] 과학으로 신나게 달린다!어린이과학동아 l201613
- 자동차를 만들기 위해 서로 역할을 나눠 작업을 하기도 했답니다. 자동차에 관심이 많은 지수 친구는 “물로 가는 자동차를 만들고 싶다”며 포부를 밝히기도 했어요.환경을 오염시키지 않는 친환경 자동차가 나오면 지구의 공기도 훨씬 깨끗해지겠죠? 기자단 친구들이 만든 친환경 자동차가 마음껏 ... ...
- Part 3. 게임이론으로 본 항공사의 속사정수학동아 l201612
- 활주로에 영향을 미치는 비율을 정하고 나서 부담할 액수를 정합니다. 그 비율을 ‘공헌지수’라고 하는데, 비행기의 이착륙거리와 최대이륙중량에 비례합니다.최대이륙중량은 이륙하는 비행기의 최대 무게입니다. 짐과 승객, 승무원의 무게 등을 모두 더한 값이지요. 비행기별로 이착륙에 필요한 ... ...
- Part 1. 백두산 암석 ‘샘플파티’에 가다과학동아 l201612
- 보였다. 높은 가스압에 견디는 동안 만들어진 흔적이었다. 약 1000년 전 백두산이 화산폭발지수 7의 대폭발을 했을 땐 이런 부석이 천지에서 수백 km 떨어진 지점까지 날아갔다. 부석이 떨어진 범위를 보면 과거 화산의 분출 이력을 알 수 있다.3년째 백두산을 탐사하고 있는 손영관 경상대 ... ...
- [Knowledge] 뒤섞인 시체들의 신원 파악은?과학동아 l201612
- 좀더 정확히 추정하기 위해 링컨지수나 근사개체수 등의 방법을 이용하기도 한다.링컨지수(LI) : LI = LR/P(L = 왼쪽 뼈 개수, R = 오른쪽 뼈 개수, P = 동일인의 뼈라고 판단되는 좌우 뼈의 쌍). 예를 들어, 현장에서 왼쪽 뼈가 4점, 오른쪽 뼈가 7점 출토됐고 왼쪽 뼈 4점과 오른쪽 뼈 4점이 각각 쌍을 ... ...
- [수학 뉴스] 숫자, 음악의 과거를 쫓다수학동아 l201612
- 첫 번째 증거입니다.연구팀은 곡을 수로 나타내기 위해 ‘연속단위 변동성 표준화 지수(nPVI)’라는 방법을 이용했습니다. PVI는 원래 언어학에서 모음을 발음하는 길이를 활용해 언어의 특징을 설명하던 수학 공식입니다. 음악학에 쓸 때는 nPVI 공식을 수정해 음의 길이를 기준으로 리듬이 얼마나 ... ...
- Part 3. 20억t 천지 물이 마그마와 만나면?과학동아 l201612
- 전과 같거나(화산폭발지수 7), 심지어 그것의 10분의 1(화산폭발지수 6), 100분의 1(화산폭발지수 5)인 경우에도 화산재가 남한까지 내려오는 것을 확인했다. 강하 화산재가 남한으로 내려와 피해를 발생시킬 수 있는 날짜는 봄철이 겨울철보다 더 많았다. 백두산이 북서풍이 부는 겨울철에 남한까지 ... ...
- Part 2. 백두산 최신 연구 업데이트과학동아 l201612
- 만드는데(이것이 터져 굳으면서 화산재 등 화산쇄설물이 된다), 10세기 백두산에 화산폭발지수 7의 대분화가 일어났을 때 기공이 두 단계에 걸쳐 만들어지면서 백두산의 폭발력을 높였다는 가설이 있다.H 화산 지진2002~2005년 백두산이 분화징후를 보이면서 한 달에 수십~수백 번씩 지진이 관측됐다. ... ...
- PART 2. "받기도 힘들고 받아도 힘들었어요"과학동아 l201610
- 기존과 크게 달라진 것이 없다.특히 문제가 되는 것은 기초연구 과제를 대상으로 피인용지수가 높은 저널에 논문을 얼마나 냈는지, 특허가 얼마나 되는지 등을 따지는 정량적인 평가 방식이다. 논문 개수와 저널의 영향력이 과학적인 성과를 대표하는 지표가 아님에도 ‘공정성’이라는 이름으로 ... ...
- [과학뉴스] 사람은 초기 인류보다 뇌 혈류량 6배과학동아 l201610
- 크기를 재면 뇌로 흘러 들어간 혈액의 양을 알 수 있다.그 결과 인류는 진화 단계에 따라 지수함수 형태로 혈류량이 늘어났으며, 가장 오래 전에 살았던 오스트랄로피테쿠스 아파렌시스와 현생 인류는 6배 정도 차이가 났다. 뇌의 크기가 3.5배 가량 커진 것과 비교하면 엄청난 차이다. 공동연구를 한 ... ...
- PART 3. 건강한 네트워크에서 노벨상 씨앗 자란다과학동아 l201610
- 연구팀은 노벨상 수상자들과 다른 과학자들의 네트워크 특징을 비교했다. 논문 피인용지수를 기준으로 노벨상 수상자들과 비슷한 수준에 있는 엘리트 과학자들이었다.두 집단의 공저자 네트워크 형태에 뚜렷한 차이가 있었다(왼쪽 그림 참조). 노벨상 수상자들의 공저자 네트워크는 중심에 자리 ... ...
이전1234567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