d라이브러리
"추론"(으)로 총 434건 검색되었습니다.
-
- [Knowledge] ‘불청객’ 동물이 남긴 단서들과학동아 l201607
- 별로 없는 척추와 등은 대개 마지막까지 남기 때문에 원래 시체가 놓여 있던 자리를 추론할 때 유용한 단서가 된다. 시체가 훼손되는 동안 뼈가 몸통과 분리되는 순서도 이와 크게 다르지 않다. 이렇게 시체가 손상되고 분리되는 순서를 안다면 시체가 사망하고 얼마나 시간이 흘렀는지 판단하는 데 ... ...
-
- [지식] 통계 수업이 달라진다!수학동아 l201607
- 알고 싶다면 막대그래프를 그려야 적절하다. ‘페르미 추정’은 기초 지식과 논리적인 추론만으로 짧은 시간 안에 문제의 답을 추정하는 방법이다. 정확한 답을 구하기보다는 대략적인 값을 구한다.대구 영남중 학생들은 대구에 주유소가 몇 개 있는지를 페르미 추정으로 알아봤다. 대구 인구가 몇 ... ...
-
- Part 1. 그들의 동거는 언제 시작됐을까과학동아 l201607
- 여전히 추측만 할 뿐이다.두 조상을 토대로 이들이 어떻게 한 집에서 살게 됐는지도 추론해보자(Science 351, 659 (2016)). 진핵세포의 조상은 욕심쟁이였을 것이다. 세포막을 조심스레 여닫으며 주변에 풍부한 영양소를 흡수하는 대신, 세포막을 활짝 열어 아예 크게 한 움큼 베어 먹는 방법(세포내흡수)을 ... ...
-
- [Knowledge] 페르마, 진짜 여백이 부족했어?과학동아 l201607
- 다리로 바꾸는 일, 즉 타원방정식과 모듈형태가 1:1 대응된다는 ‘다니야마-시무라의 추론’이 옳다는 사실을 증명하는 것이다.증명에 사용된 어벤져스급 기법들여기에 도전한 사람이 앤드루 와일즈 교수다. 그는 영국 케임브리지대에서 타원방정식을 전공하고 미국 프린스턴대 수학과에 교수로 ... ...
-
- Part 3. 인공지능 키워드 2. 딥러닝어린이과학동아 l201607
- 발휘해요. 서울대학교 컴퓨터공학부 장병탁 교수 연구팀은 인공지능이 이야기를 스스로 추론하는 ‘상상력 기계’를 연구하고 있어요.연구팀은 딥러닝 알고리즘을 설계한 다음, 이 프로그램에게 애니메이션 ‘뽀로로’ 시리즈를 모두 보여 줬어요. 프로그램은 뽀로로에 나오는 단어들과 캐릭터, ... ...
-
- [Knowledge] 부러진 뼈 : 사건을 해결하는 퍼즐과학동아 l201606
- 향하고 있다면 사건이 발생할 당시 왼쪽에서 오른쪽 방향으로 타격이 이뤄졌다고 추론할 수 있다. 푸페의 법칙은 저속 충격에도 적용되기 때문에, 같은 뼈에 여러 개의 손상이 관찰되는 경우 골절이 중단된 양상을 살펴보면 타격의 순서를 판단할 수 있다.죽음 원인 밝히는 최후의 흔적매년 적지 ... ...
-
- [지식]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하다!수학동아 l201605
- 관계가 있을지도 모른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1993년 앤드루 와일스는 타니야마-시무라 추론을 증명해냈다. 즉,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를 증명한 것이다. 그는 강연을 통해 이 연구 결과를 발표했고, 페르마의 마지막 정리가 증명됐다는 소식은 전 세계로 퍼져나갔다.역사적인 강연 현장 속으로와일스는 ... ...
-
- [Knowledge] 시체부패는 ‘2차 방정식’을 따른다?과학동아 l201605
- 있다면, 야외에서 발견된 변사체가 추운 겨울을 겪은 시신인지 그렇지 않은 시신인지를 추론할때 도움이 된다.박테리아의 활동으로 몸속에는 황화수소나 메탄과 같은 가스가 쌓인다. 빠져나갈 곳이 없는 이 가스 때문에 시신은 한동안 부풀어 오르는데 모르는 사람이 보면 출산을 앞둔 임산부라고 ... ...
-
- [Knowledge] 과학인가 사기인가 과학 데이터와 통계 논란(下)과학동아 l201605
- 도입할 것을 주장한다. 최근 과학자들은 ‘베이지언 통계학’으로 알려진 새로운 통계적 추론방식에 주목하고 있다. 아직 과학계에 널리 보급된 것은 아니지만, 베이지언 통계방법론은 영가설 유의성 검정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보완재 내지 대안으로 점점 각광받고 있다.데이터분석 관행이 ... ...
-
- Part 3. ‘딥러닝’ 넘어야 인공지능 시대 온다과학동아 l201604
- 사람은 학습에서 얻은 지식의 범주를 넘어서는 정보를 마주해도 외삽(extrapolation)해 추론하는 데 뛰어난 반면, 인공지능은 자신이 가진 데이터 내에 새로운 것을 편입시키는 내삽(interpolation)에만 뛰어나다고도 볼 수 있다. 비슷한 사례가 기계학습을 오랫동안 괴롭힌 과적합(overfitting) 문제다. ... ...
이전1234567 다음